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닫기
머핸시대 이후 중국의 해양력
신간
머핸시대 이후 중국의 해양력
저자
후보(胡波)
역자
이진성, 이희정
분야
군사학
출판사
박영사
발행일
2021.05.31
개정 출간예정일
페이지
314P
판형
크라운판
ISBN
979-11-303-1202-6
부가기호
93390
강의자료다운
-
정가
17,000원

초판발행 2021.05.31


중국의 해양력을 다룬 많은 말과 글이 있지만, 미국 중심의 우려와 대비가 주를 이루고, 중국 내부의 목소리는 잘 전해지지 않는다. 중국은 체제의 특성상 국가정책에 대한 다양한 목소리가 전해지기 어려우며, 그 선전에 치우쳐 외부의 궁금증을 충분히 만족시켜주지 못한다. 이 글은 중국의 해양력을 연구하는 중국 학자의 목소리라는 점에서, 우리나라와 외부에 의미가 있다.
우리 해군은 한반도를 둘러싼 잠재적 위협에 대비하기 위해 전력분석시험평가단을 중심으로 주변국 해군에 관해 연구하며, 격월간 「세계해군 발전소식」과 「중국 해양전략과 해군(2018)」 등을 발간하여 그 이해를 나누어 왔다. 이 책 역시 그 연장에서 시작하였으며, 2018년 당시 주중 해군무관 박노호 대령님의 제안으로, 중국통 해군 장교들이 번역의 뜻을 모아 국내에 전하게 되었다.
글쓴이는 오늘날 바다의 중요성과 중국의 굴기를 인정함과 동시에 중국 해양력의 한계도 받아들이고 있다. 핵심?중대?중요 해양이익을 지키기 위하여, 도광양회(韜光養晦, 재능을 감추고 드러내지 않다)를 벗어나 근해통제, 지역존재와 전 세계 영향을 목표로 제시하고, 패러다임과 기술 그리고 제도의 혁신을 주장한다. 지금까지의 전략적 모호성은 오히려 독이 되었다고 평가하며, 중국 위협론을 씻어 버리기 위해 외교의 역할을 강조한다.
중국은 미국의 해상패권에 도전할 조건도 의지도 심지어 능력도 없다고 분석하고, 평화발전과 해양경제의 민간영역 확대 등 효율성 제고를 주장한다. 중국의 해양력과 경제체제의 한계를 인정하고 중국 특색 해양력의 길을 찾는 모습이다. 특히, 해양분쟁과 타이완, 극지 개발에 대한 논리와 입장, 대양해군을 위한 태평양함대와 남중국해 원양함대 구성 제안 그리고 항공모함 개발 논리는 우리에게 참고가 될 만하다.
그렇다면, 과연 오늘날 중국 해양력의 발걸음은 어디로 향하는가? 주변국과의 해양 경계획정과 도서 영유권 분쟁에서 보이는 태도, 만두 빚듯 찍어내는 전력 증강, 해경의 인민해방군 편입과 해경법 제정 그리고 해상민병 운용 등 다양한 형태로 해양패권에 도전하는 모습을 감추지 않고 있다. 해양이익이 충돌하는 한?중 관계에서 평화발전과 선린외교라는 말에 우리는 경계를 늦출 수 없다.
앞으로도 중국 해양력의 길은 우리나라와 평행하기도, 교차하기도 하겠지만, 서로의 입장과 상황에 관한 인식은 그 마찰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역사와 이론 그리고 혜안으로 중국 해양력의 길을 제시한 후보 교수님께 감사드리고, 우리말로 쓰인 책이 우리나라에 나올 수 있도록 도와주신 우리나라, 우리 군, 한국해양전략연구소와 박영사 그리고 일과 가정 사이에서 시간과 노력을 쏟을 수 있도록 배려해준 가족들에게 감사한다.

2021년 5월
이진성, 이희정

글쓴이

후보(胡波) 박사

베이징대학 해양전략연구중심의 주임이자, 남해전략태세감지계획의 주임을 맡고 있다.
오랫동안 해양전략과 정책, 국제안보 분야에서 연구하였으며, 『세계 경제와 정치(世界经济与政治)』, 『국제관찰(国际观察)』, 『외교평론(外交评论)』, 『Journal of Chinese Political Science』 등 국내외 핵심 정기간행물에 40여 편의 학술논문을 발표하고, 여러 권의 학술저서를 출판하였다.
해양전략과 정책 분야의 저서에는 『2049년 중국의 해상권력(2049年的中国海上权力)』(中国发展出版社, 2015년), 『머핸시대 이후 중국의 해양력(后马汉时代的中国海权)』(海洋出版社, 2018년)과 『Chinese Maritime Power in the 21st Century』(Routledge, 2019년)가 있다.


옮긴이

이진성

해군 소령
해군사관학교 조교수
중국 베이징대학 신호정보처리학 석사(’14년)
국방어학원 중국어과정(’09년)
해군사관학교 정보통신공학 학사(’04년)

이희정

해군 대령
국립통일교육원 통일정책지도자과정(’21년)
국방대학교 합동고급과정(’14년)
국방어학원 중국어과정(’04년)
해군 사관후보생(OCS) 92기(’97년)

서론  1
해양력은 무엇인가? 2
해양력과 중국 6


제1부  개념과 정세

제1장 꿈과 논쟁  15
제1절 역사가 빚은 백 년의 꿈 15
제2절 현실이 요구하는 강대한 해양력 17
제3절 주요 논쟁과 어려움 23
Ⅰ. 개념과 함의 24
Ⅱ. 전략목표와 의도 26
Ⅲ. 경로문제 30
Ⅳ. 육·해 통합의 문제 32
Ⅴ. 역량 건설 34

제2장 중국 해양력 발전의 조건  39
제1절 바다의 선천적 조건 39
제2절 시대적 배경 45
제3절 군사기술 추세 49

제3장 중국 해양력 굴기의 국제환경  52
제1절 미국의 해상 ‘국지억제’ 52
Ⅰ. 미국의 아·태 지역 전략 및 정책 변화 53
Ⅱ. 미국의 강한 아·태 지역 군사력 57
Ⅲ. 아·태 지역에서 미국의 강대한 정치 영향력 62
제2절 일본의 균형 63
Ⅰ. 일본은 중국 해양력 발전을 견제 63
Ⅱ. 일본의 해상 군사력과 방위정책 68
제3절 인도와 호주의 불확실성 70
제4절 다른 주변국의 시기와 대비 72

제4장 중국의 중요한 해양이익  75
제1절 핵심 해양이익 78
Ⅰ. 내수 및 영해 해·공 공간의 절대안전 78
​Ⅱ. 타이완과 대륙의 통일 79
Ⅲ. 댜오위다오와 난사군도 등 분쟁 도서의 주권 80
Ⅳ. 근해 지리적 공간의 전략적 안보 83
Ⅴ. 세계 주요 해상교통로의 안전 84
제2절 중대 해양이익 85
Ⅰ. 배타적경제수역과 대륙붕의 자원개발 권익 및 생태 안전 85
Ⅱ. 중요 해양규칙의 발언권 86
Ⅲ. 공해, 심해저 및 남북극지를 평화롭게 이용할 권리 87
Ⅳ. 전통적 해양권익 87
제3절 중요 해양이익 88
Ⅰ. 중요 해양산업의 발전과 안전 89
Ⅱ. 공해의 자유와 안전 89
Ⅲ. 해외 해양권익 90


제2부  현황과 목표

제1장 해양력의 요소와 중국 해양력 평가  93
제1절 논쟁 중인 해양력의 제 요소 93
제2절 해양력 강약의 평가지표 98
제3절 중국 해양력의 중간평가 102
Ⅰ. 해상역량 103
Ⅱ. 해양지리 105
Ⅲ. 경제력 107
Ⅳ. 정치력 108

제2장 중국 해양력의 목표를 확정하는 원칙  112
제1절 국익에 따른 분포 112
Ⅰ. 주권과 영토보전 113
Ⅱ. 국가안보 114
Ⅲ. 발전이익 117
제2절 자기 실력에 대한 객관적 인식 119
Ⅰ. 중국 해상역량 – 빠른 성장, 하지만 수준과 경험의 향상 필요 120
Ⅱ. 중국 외교력 – 외교자원은 풍부하나, 전환수단이 부족 122
Ⅲ. 경제력 – 중국의 경제력은 강대하지만, 수준 향상이 시급 131
Ⅳ. 국제여론 가운데 영향력 – 중국 ‘목소리’의 영향이 적다. 131
제3절 중국 지상력 우위에 따른 감소원칙 132
제4절 평화발전에 부합한 총노선 135
Ⅰ. 패권주의 억제와 강권정치의 충동 135
Ⅱ. 중국 대전략에 적합한 수단 요구 137

제3장 향후 30년 중국 해양력의 목표  140
제1절 근해통제 141
제2절 지역존재 148
제3절 전 세계 영향 151


제3부  수단과 방법

제1장 중국의 해상역량  157
제1절 날로 복잡해지는 임무 158
Ⅰ. 근해 159
Ⅱ. 가까운 원양 165
Ⅲ. 전 세계 기타 해역 168
제2절 역량 건설 구상 172
Ⅰ. 기본원칙 173
Ⅱ. 역량편성 176
제3절 전략, 책략과 집행 199
Ⅰ. 해상 적극방어란 무엇인가? 199
Ⅱ. 해상책략과 전술 204
Ⅲ. ‘벌교(伐交: 적의 외교를 제거)’와 대외소통 211

제2장 해양경제력  218
제1절 3대 해양공간 220
Ⅰ. 주권 범위 내의 해양 지리적 공간 220
Ⅱ. 공해와 ‘심해저’ 225
Ⅲ. 타국의 관할해역 228
제2절 번영과 환상 230
제3절 ‘대’에서 ‘강’으로 가는 전략 234
Ⅰ. 해양경제체제 개혁과 제도건설 강화 234
Ⅱ. 해양 과학기술의 수준을 높여, 과학기술의 발전을 촉진 236
Ⅲ. 해양발전 공간을 적극적으로 유지하고 확장 238

제3장 외교혁신과 해양력 발전  242
제1절 대륙에서 해양으로 244
제2절 ‘도광양회’를 넘어 252
제3절 주권과 해양력의 균형 260
제4절 억제전략의 응용 강화 268

맺음말 중국 해양력 전략 수립  277
제1절 패러다임 혁신 281
제2절 기술혁신 284
제3절 제도혁신 285


후기 290
찾아보기 2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