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닫기
정치학의 이해(제2판)
개정판
정치학의 이해(제2판)
저자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정치학 교수진
역자
-
분야
정치/외교학 ▷ 정치/외교 일반
출판사
박영사
발행일
2019.03.10
개정 출간예정일
페이지
400P
판형
크라운판
ISBN
979-11-303-0719-0
부가기호
93340
강의자료다운
정가
23,000원
중판발행 2024.07.25
중판발행 2024.01.31
중판발행 2023.01.30
중판발행 2022.09.10
제2판발행 2019. 3. 10
초판발행 2002. 3. 25.

이 책은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정치학 전공 교수들이 이번에 새롭게 고쳐 쓴 정치학 개론서이다. 이 책의 연원은 1975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정치학과 교수들이 처음으로 공동 작업을 통해 만든 「정치학개론」을 서울대학교 출판부에서 출간했다. 이후 몇 차례 개정판이 발간되었다.

첫 책이 발간된 3년 후인 1978년 초판을 대폭 수정한 「신정치 학개론」이 발간되었다. 그리고 1986년에는 정치학의 새로운 연구 동향을 반영하기 위해 기존 내용을 전면 개정한 「정치학개론」을 박영사에서 출간했다. 그리고 9년 뒤인 1995년에는 그 책을 개정한 「정치학개론」이 출간되었다. 2002년에는 1995년 개정판 「정치학개론」의 내용을 수정, 보완하고 새로운 내용을 추가한 책이 「정치학개론」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발간되었다.

우리는 이번에 2002년에 발간된 「정치학개론」을 수정, 보완 하고 또 새로운 주제를 포함하여 개정판으로 내놓게 되었다. 이전 의 개정판이 8~9년의 시차를 가졌던 것에 비하면 이번에는 개정 작업에 무려 17년이나 걸렸다. 제때 개정판을 내지 못한 것에 대 해 우리는 학생들에게 미안함을 느낀다. 그 긴 세월 사이에 우리 정치의 특성과 우리 정치를 둘러싼 대내외적 환경은 크게 바뀌었다. 또한 그 사이 정치적으로 중요한 이슈나 관심사에도 상당한 변화가 생겨났다. 우리는 정치학 연구의 기본을 지키면서 동시에 우리 정치를 둘러싼 변화를 가능한 많이 이 책에 반영하고자 했 다. 앞서 출간된 책들이 모두 그랬던 것처럼, 우리는 이 책이 정 치학을 본격적으로 공부하려고 하는 학생들을 위한 좋은 입문서가 되기를 기대한다.

기존 내용을 수정하고 또 새로운 내용을 많이 담고자 했지만 여전히 다루지 못한 부분이 있을 것이다. 이 개론서의 내용이 보 다 충실해지도록 우리는 앞으로 계속해서 노력해 갈 것이다.
끝으로, 이번에도 좋은 책으로 꾸며주시느라 노고를 아끼지 않으신 박영사 임직원들, 특히 이영조 차장과 전채린 과장께 감사드 린다.

2019년 2월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정치학 전공 교수 일동
1    김주형 (민주주의)
- 학력: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학사 및 석사, 미국 인디애나 대학교 정치학 박사
- 주요 저서 및 논문: 시민정치와 민주주의(2016), 숙의와 민주주의: 토의민주주의의 관점에서 본 공론화위 원회(2018)

2    유홍림 (서양 정치사상)
- 학력: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학사 및 석사, 미국 럿거스 대학교 정치학 박사
- 주요 저서 및 논문: 현대 정치사상 연구, 현대 정치와 사상(역서) 외.

3    김영민 (한국 정치사상 서설)
- 학력: 고려대학교 철학과 학사 및 석사, 하버드 대학교(동아시아 사상사 연구) 박사
- 주요 저서 및 논문: A History of Chinese Political Thought(2018) 아침에는 죽음을 생각하는 것이 좋다 외

4    권형기 (국가론)
- 학력: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학사 및 석사, 미국 시카고 대학교 정치학 박사.
- 주요 저서 및 논문: 세계화 시대의 역행? 자유주의에서 사회협약의 정치로(2014)
Fairness and Division of Labor in Market Societies (New York: Berghahn Books, 2004).
“The State’s  Role in Globalization:  Korea’s  Experience  from a Comparative Perspective.” Politics and Society, 2017 외 다수

5-6   강원택 (정부 형태 ․ 정당, 선거, 의회)
- 학력: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학사,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석사, 영국 런던정경대(LSE) 정치학 박사
- 주요 저서 및 논문: 한국정치론(2018), 어떻게 바꿀 것인가(2016), 통일 이후의 한국민주주의(2011) 등

7    안도경 (관료제와 공공행정)
- 학력: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학사 및 석사, 미국 인디애나 대학교 정치학과 박사
-주요 저서 및 논문:
Ahn, T.K., Robert Huckfeldt, and John B. Ryan. 2014. Experts, Activists, and Democratic Politics: Are Electorates Self-Educat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Ostrom, Elinor, and T.K. Ahn. (eds.) 2003. Foundations of Social Capital. London: Edward Elgar.

8    임혜란 (정치경제)
- 학력: 이화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학사 및 석사,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교 Davis 박사
- 주요 저서 및 논문: 동아시아 발전국가모델의 재구성(2018)
Haeran Lim. 1998. Korea’s Growth and Industrial Transformation. London: Macmillan Press.

9    임경훈 (정치변동: 민주화와 사회운동의 동학)
- 학력: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학사 및 석사, 미국 시카고 대학교 정치학 박사
- 주요 저서 및 논문: “포스트 소비에트 시기 러시아 정치적 전통의 재구성: 권위주의로서의 푸틴 체제 공고 화 요인을 중심으로”
“Labor Strike in Communist Society: A Comparison between the Soviet Union and Poland”

10    손인주 (권위주의론)
- 학력: 서울대, 동양사학과 학사, 미국 조지워싱 턴대학교, 엘리엇 국제관계 대학 석사 및 정치학 박사
- 주요 저서 및 논문: “Toward Normative Fragmentation: An East Asian Financial Architecture in the Post-Global Crisis World,” Review of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19-4.
“After  Renaissance:  China’s  Multilateral  Offensive  in the Developing World,” European Journal of International Relations 18-1.

11    송지우 (법과 정치)
- 학력: 서울대학교 사회학 학사, 하버드 로스쿨 법학 J.D., 하버드대학교 철학 박사
- 주요 저서 및 논문: “주권과 보충성: 개념 검토를 통해 본 국제법 규범 이론의 필요성”, 법철학연구 21 권 2호, pp. 383-416
“Pirates and Torturers: Universal Jurisdiction as Enforcement Gap-Filling,” Journal of Political Philosophy 23:4 (2015), pp. 471-90 외

12    백창재 (국제관계)
- 학력: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학사 및 석사, 미국 캘리포니아(버클리) 대학교 정치학 박사
- 주요 저서 및 논문: Politics of Super 301, 미국패권연구, 미국무역정책연구 외
1    민주주의 (김주형) 1
제1절 서론  _2
제2절 민주주의의 역사  _6
제3절 현대 민주주의 이론의 쟁점  _19
제4절 결론  _33

2    서양 정치사상 (유홍림) 37
제1절 고전 정치철학 _39 
제2절 중세 정치사상 _46
제3절 근대 정치사상  _50
제4절 현대 정치사상의 조류들  _66

3    한국 정치사상 서설 (김영민) 81
제1절 서론  _82
제2절 한국 정치사상의 정체성  _84 
제3절 한국 사상의 역사성  _91
제4절 한국 사상의 현대성  _94 
제5절 결론  _98

4    국가론 (권형기) 103
제1절 왜 국가 연구가 중요한가?  _104
제2절 국가란 무엇인가? _105
제3절 정치학에서 국가연구  _113
제4절 세계화시대 국가변형 그리고 관련 논쟁들  _127
제5절 결론  _132

5    정부 형태 (강원택) 141
제1절 서론  _142 제2절 대통령제  _144 제3절 내각제  _152
제4절 이원정부제  _163
제5절 결론  _170

6    정당, 선거, 의회 (강원택) 175
제1절 정당  _177
제2절 선거  _184
제3절 비례대표제  _192
제4절 혼합형 선거제도  _196
제5절 의회  _198
제6절 결론  _204

7    관료제와 공공행정 (안도경) 209
제1절 민주주의 정치의 투입과 산출  _210
제2절 관료제 이론  _214
제3절 공공관료제의 제 문제  _228
제4절 관료제에 대한 대안  _234

8    정치경제 (임혜란) 241
제1절 서론  _242
제2절 정치경제의 개념과 이론적 시각  _245 
제3절 20세기 이후 정치경제질서의 변화  _255 
제4절 21세기 새로운 도전과제  _265

9    정치변동: 민주화와 사회운동의 동학 (임경훈) 275
제1절 민주주의의 발전  _277
제2절 사회운동  _292

10   권위주의론 (손인주)
제1절 서론  _310
제2절 권위주의 정의와 기원  _312
제3절 권위주의 유형과 체제변화  _316
제4절 권위주의 생존전략  _322
제5절 권위주의의 진화와 세계정치의 미래  _326

11    법과 정치 (송지우) 335
제1절 법과 정치의 영역 _336 
제2절 분야별 주요 쟁점 _337
제3절 법과 민주주의  _346

12    국제관계 (백창재) 355
제1절 국제관계와 국제관계학  _356
제2절 시각과 이론  _360
제3절 연구방법  _373
제4절 국제환경의 변화와 국제관계학  _3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