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닫기
문화정책론(제2판)
개정판
문화정책론(제2판)
저자
이흥재, 김영주
역자
-
분야
행정학 ▷ 행정학일반
출판사
박영사
발행일
2023.03.10
개정 출간예정일
페이지
392P
판형
크라운판
ISBN
979-11-303-1710-6
부가기호
93350
강의자료다운
정가
28,000원

초판 2014. 6. 11.


문화활동은 이제 발보다는 마음으로 선택한다. 물리적 공간보다는 마음이 닿는 곳이면 어디서든 이뤄진다. 상상이 뻗어 나가는 데까지가 문화활동 영역이다. 전문성이 없어도 망설임 없이 문화활동에 참여하고, 실적이 없어도 경험만으로 만족한다. 시간이 흐르면서 문화지평은 다양하고 넓어졌다. 많은 활동들은 문화와 접목하면서 내재가치를 높이려고 애쓴다. 이제 문화생태계에 예전 방식만으로 접근한다면 감당하기 벅찬 시대가 되었다.

그러다 보니 전략보다 철학을, 성과보다 맥락을 갖춘 정책들이 필요하다. 그런데 정책이 정치에 끌려다니거나, 정책을 위장하며 날뛰는 정치로 먹구름이 드리운 문화정책이 눈에 거슬린다. 중앙에서 이러하니 지역에서는 아예 문제의식조차 없고 정책의지도 실종되었다.
지금 우리는 웹 3.0시대에 문화생태계의 전환점을 마주하고 있다. 이 정책환경을 엄중하게 보고 전략이나 현장 적응력 못지않게 기획역량이나 논리기반에 힘써야 한다. 사업으로 펼치는 활동들은 경영적 접근보다 정책적 시야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해졌다. 문화수요층 증가에 걸맞는 수준으로 문화재정을 점증적으로 늘려야 한다. 문화활동 생태계를 지속발전가능하게 만드는 데 정책 우선순위를 두고 진지하게 창발적 접근을 해야 할 때다.   
‘문화공유정부’를 내세우며 그나마 문화정책이 비전을 제시하며 정책대안을 개발하려 애쓰던 시절을 추억만으로 간직해야 한다면 회한이 클 것이다. 
이런 문제점을 알고 있으면서도 이번 개정판에서 더 과감하게 다루지 못해 아쉽다. 우선 역량 부족이고, 소용돌이 환경을 내다보는 데 문화정책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지능정보화에 적합하도록 정책활동 궤도 수정도 일반론으로 소개하는 데 그친다. 그러나 새로 추가된 정책활동을 소개하고, 이미 성과를 달성한 정책을 삭제하며 내용을 바꿨다. 생명공동체로 나아가는 전환기, 웹 3.0을 반영하는 문화정책 논리를 해당되는 곳곳에 넣어 힘주었다. 문화예술생태계의 지속가능 조건에 대해서 거시적이고 사회문화적인 담론 접근을 시도해 별도의 장으로 추가했다. 각주는 외국사례나 이미 검증된 정책은 삭제했으나, 역사적 의미가 있는 부분은 남겨두며 큰 폭으로 정돈하였다.
개정판을 내면서 공저로 하여 적실성 있는 정책, 현장에서 참여한 논의 결과들이 생생하게 들어가게 되어 이 또한 보람이다. 개정판에서 저자들은 모험보다 맥락성 있는 정책개발에 중점을 두었다. 최근 문화정책 교과서들이 많이 출판되어 이 책에서 모두 다룰 필요가 없어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늘 하는 이야기지만 진심으로 박영사 대표님, 조성호 이사님, 편집부 여러분께 감사드린다.
문화정책이라는 산을 오르거나 둘레길을 산책하는 이들과 함께 생각을 나누는 자리로 가다듬어 내놓는다.

2023년 봄에
저자들 씀

이흥재
서울대 행정대학원 석사, 성균관대대학원 행정학박사.
전, 추계예술대학교 교수로서 문화예술경영대학원장과 문화예술경영연구소장을 지냈다. 한국문화경제학회장, 한국지역문화학회장을 맡았다. 정책현장에서 한국문화정보센터(현 한국문화정보원)소장, 전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장으로 일했다. 

문화정책에 관련해서 문화정책론(2014), 문화재정책개론(역, 2007), 문화정책(2006), 문화예술정책론(2005), 예술경영과 문화정책(역, 2002)을 펴냈다. 그 밖에 4차산업혁명과 소셜디자인 문화전략(2018), 현대사회와 문화예술(2012), 문화사회만들기(2010), 문화예술과 도시경제(편, 2002), 문화예술경제학(2000), 왕의 소통: 권력과 문화의 짝춤(2022), 삶이 계절이라면 가을쯤 왔습니다(2019)를 저술했다.


김영주
문화예술학 박사.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연구소 연구교수로서 문화정책 연구를 하고 있으며, 가톨릭대학교와 국제예술대학교 겸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문화경제학회 학술위원장, 한국지역문화학회 이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전문자문위원, 은평문화재단 이사 등 문화정책 현장에서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으며, 일본 문화정책에도 관심이 많다. 

주요 문화정책 연구로는 로컬푸드직매장지원사업 문화영향평가연구(2016), 지역문화예술지원사업평가연구(2016), 어르신문화프로그램지원사업평가 및 발전방안연구(2017), 평창문화올림픽 의미 및 성과분석 연구(2018), 서울어젠다 이행실적 점검을 위한 기초연구(2018), 오산문화도시 조성사업 계획 문화영향평가(2019), 아르코청년예술가지원사업 만족도조사 및 사업개선연구(2020), 인생나눔교실 사업평가연구(2021), 문화예술교육 1차 종합계획 이행현황 분석(2021), 우리가치인문동행사업평가연구(2022), 전통문화산업 정책 효율화를 위한 기초연구(2023) 등이 있으며, 저서로는 ‘기억력을 지켜주는 컬러링북(학고재)’ 3권이 있다.

PART 01 문화정책의 논리
Chapter1  문화정책의 역할과 접근
Chapter2  문화정책의 이념과 가치
Chapter3  문화정책의 목표와 수단

PART 02 문화자원의 개발과 활용
Chapter4  문화인력의 육성과 보호
Chapter5  문화재정의 동원과 배분
Chapter6  문화시설의 확충과 경영
Chapter7  지역문화의 창조와 발전
Chapter8  문화콘텐츠의 육성과 산업화

PART 03 문화예술의 사회 확산
Chapter9  품격있는 생활문화
Chapter10  문화예술 학습과 사회자본 구축
Chapter11  문화흐름(文流)과 서비스
Chapter12  문화협동과 거버넌스

PART 04 문화정책의 혁신
Chapter13  문화정책 형성, 집행과 평가
Chapter14  전환기 지속발전 혁신 생태계
Chapter15  창조성 확산과 정책혁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