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닫기
민사소송법(제11판)
개정판
민사소송법(제11판)
저자
김홍엽
역자
-
분야
법학 ▷ 소송법
출판사
박영사
발행일
2023.02.15
개정 출간예정일
페이지
1392P
판형
크라운판
ISBN
979-11-303-4367-9
부가기호
93360
강의자료다운
-
정가
62,000원
제11판 2023.02.15
제10판 2021.08.15
제9판 2020.02.10
제8판 2019.01.25
제7판 2018. 1. 30
제6판 2016. 8. 30
제5판 2014. 8. 30.
제4판 2013. 7. 30. 
제3판 2012. 2. 29.
제2판 2011. 2. 28. 
초판 2010. 3. 20.


제10개정판을 발간한 지 1년 반 되어 제11개정판을 발간하게 되었다. 거의 매년 개정판을 발간하다가 작년 6월 민사집행법 제7개정판의 발간 작업으로 몇 개월 늦어졌다. 법원에서 실무를 통하여 연구 결과를 점검하고, 연구 결과를 실무에 반영하는 연구와 실무의 상호 순환적 일상의 생활은 아무런 변화가 없었다. 이번 개정판 역시 1년 반 동안 변경된 법령 및 예규, 새로 나온 판결 및 결정 등 판례, 새로 발표된 논문 등 문헌을 분석하여 이를 반영했다. 
민사소송법의 개정에 따른 변론기일에서의 영상재판의 확대(2021. 11. 18.자 시행), 미확정판결서에 대한 인터넷 열람서비스 개시(2023. 1. 1.자 시행), 국제사법의 전부개정(2022. 7. 5.자 시행)에 따른 국제재판관할권과 관련된 중요 쟁점들에 관한 전면적 재검토의 필요, ‘민사 및 가사소송의 사물관할에 관한 규칙’의 개정에 따른 단독사건의 사물관할의 변경과 이로 인한 항소심 관할의 변경(2022. 3. 1.자 시행) 등 제도적 변경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했다. 단순히 관련 법률의 개정 내용뿐만 아니라 관련 개정 규칙 및 개정 예규(특히 ‘법관 등의 사무분담 및 사건배당에 관한 예규’, ‘고등법원에서 항소·항고심을 관할하는 민사단독사건의 업무처리 예규’, ‘소액사건 심판사무의 처리에 관한 예규’ 등)까지 분석하여 보다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상고심의 개혁과 관련하여 상고심사제의 도입 및 대법관 증원의 문제에 대해 2023. 1. 5.자로 국회에 제출한 대법원장의 입법의견까지 소개하면서 상세히 다루었다. 한편 민사소송의 이상에서 적정과 신속의 갈등 및 신속한 재판의 필요성에 관해서는 기존 내용을 보충하면서 문제의 심각성에 따른 재인식을 촉구했다.
판례는 2021. 7. 이후 2023. 12. 29.까지의 민사소송법 관련 주요 판결 및 결정들을 모두 검토하여 반영했다. 전원합의체 판결들 가운데 ① 기존의 판례를 변경한 경우로, 외국법원의 확정재판 등의 승인요건상 적법한 송달에 보충송달을 포함시킬 것인지에 관한 대판(전) 2021. 12. 23. 2017다257746, ② 기존의 판례를 재확인하고 있는 경우로, 부작위채무나 부대체적 작위채무의 이행을 청구하는 민사소송에서 간접강제청구를 병합할 수 있는지에 관한 대판(전) 2021. 7. 22. 2020다248124, ③ 기존의 판례가 여태껏 다루지 않았던 쟁점에 관한 경우로, 주주총회결의의 부존재확인 또는 무효확인을 구하는 소를 여러 사람이 공동소송으로 제기한 경우와 필수적 공동소송에 관한 대판(전) 2021. 7. 22. 2020다284977들은, 국제화 시대에 대응하는 전향적인 태도를 취함으로써 사법선진적 모습을 보여주었을 뿐만 아니라(① 전원합의체 판결), 소송절차와 집행절차와의 관계, 통상공동소송과 필수적 공동소송과의 관계 등 민사절차법의 중요 쟁점들을 근본적인 면에서 치열하게 다루고 있어(②, ③ 전원합의체 판결), 학문적으로도 시사하는 점이 많았다. 
한편 판례 중에는 새로운 쟁점에 대하여 처음으로 다루거나, 기존 판례의 입장을 논리적으로 더 확장·보충하여 다루고 있는 판례들(특히 ① 상계항변선행형과 중복소송에 관한 대판 2022. 2 17. 2021다275741, ② 반대급부와 동시이행의 지급명령을 명하는 경우 반대급부의 대상 및 이를 이행할 사람에 관한 대결 2022. 6. 21. 2021그753, ③ 집합건물 위탁관리업자의 구분소유자에 대한 연체관리비청구의 소송계속 중 위탁관리업자와의 위탁관리계약이 종료될 때의 소송절차중단 및 소송수계의 문제에 관한 대판 2022. 5. 13. 2019다229516, ④ 소송비용부담의 재판에서 보조참가로 인한 부분에 대하여 별도로 판결주문에서 특정하여 판단하지 않고 있는 경우 재판의 누락으로 볼 것인지 여부의 판단기준에 관한 대결 2022. 4. 5. 2020마7530, ⑤ 외국재판이 실제 손해액의 일정 배수를 자동적으로 최종 손해액으로 정하고 있는 경우 승인 여부의 판단방법에 관한 대판 2022. 3. 11. 2018다231550, ⑥ 여러 채권자에 의한 채권자취소소송의 확정판결에 대하여 일부 가액반환을 한 수익자가 청구이의의 소를 제기하는 경우 집행력 배제를 구할 수 있는 범위의 판단방법에 관한 대판 2022. 8. 11. 2018다202774 등)이 많이 생성되고 축적되어 판례이론 역시 보다 정치화(精緻化)되고 있음은 고무적이다. 
특히 판례가 사실심법원이 재판운영상 반드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강조하는 경우들이 상대적으로 많아졌는데(예컨대 ① 현재의 법률관계의 확인을 구하는 소송계속 중 현재의 법률관계가 과거의 법률관계로 된 경우 법원이 취할 조치에 관한 대판 2022. 6. 16. 2022다207967, ② 묵시적 재판상 자백과 자백간주와의 구별기준에 관한 대판 2021. 7. 29. 2018다267900 및 대판 2022. 4. 14. 2021다280781, ③ 동시이행판결을 하는 경우 반대의무의 내용을 명확히 할 필요성에 관한 대판 2021. 7. 8. 2020다290804, ④ 부대항소로 취급할 수 있는지 여부와 관련하여 이를 명확히 하기 위한 법원의 조치에 관한 대판 2022. 10. 14. 2022다252387, 대판 2022. 12. 29. 2022다263462 등) 하급심법원으로서는 판례가 거듭 언급하고 있는 문제들에 대하여 보다 정확한 지식과 통찰이 필요하지 않나 생각이 들었다. 저자는 이러한 판례들이 지니는 의미들을 판례의 맥(脈)과 결에 충실하게 개정판에 반영하도록 고심했다. 물론 판례 가운데 결론에 동의하기 어려운 판결(수감 중인 당사자의 종전 주소로의 공시송달의 유효성에 관한 대판 2022. 1. 13. 2019다220618) 및 결론에 동의하되 논리적 설명이 부족한 판결(항소심에서 확정된 화해권고결정상 원고의 소취하 및 피고의 동의가 제1심 본안판결 선고 뒤 소취하와 같이 보아 재소금지의 규정을 적용할 것인지에 관한 대판 2021. 7. 29. 2018다230229)에 대해서는 각 그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지적했다.
한편 민사소송과 집단소송 및 가사소송 등과 관련하여 국회에 계류 중인 법률안들에 대해서도 일일이 언급했다. 통계자료가 필요한 경우에는 2022년판 사법연감과 국회에 제출된 자료 등을 참고하여 정확하게 수치적으로 밝히려고 했다.
매번 개정판을 낼 때마다 추가되는 내용을 어느 정도의 범위에서 담아내어야 하는지에 관한 실체적인 부분 외에도 이러한 추가로 책의 분량이 어느 정도로 늘어나게 될 것인지에 관한 형식적인 부분 등으로 인하여 개정작업에는 엄청난 부담감이 따르게 된다. 새로운 내용들의 추가로 내용의 풍부함을 도모할 수 있으나 그 대가로 책의 부피가 늘어날 수밖에 없게 되어 이러한 긴장관계 속에서 균형점을 찾으려고 노력해야 했다. 지금까지는 조심스럽게 기존 내용을 적절히 조절하면서 새로운 내용을 추가하는 방식을 취했으나 그마저 한계에 봉착했다. 견해에 따라서는 교재에서는 꼭 필요한 내용만을 담고 그 범위를 벗어나는 내용들은 논문으로 담아야 한다고 한다. 우리나라 법공부의 현실에 비추어 그러한 견해가 지니는 위험성을 일단 차치하면 일리가 없는 말이 아니므로 경청의 여지는 있다. 그러나 하나의 문제를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문제의 실체와 관련된 현재적 및 잠재적 쟁점(existing & potential issues)을 다룰 수밖에 없고 교재에서 다룰 쟁점과 논문으로 다룰 쟁점이 별개의 것이 아닌 이상 문제점과 그 발전(development)에 대하여 최소한 그 가치적 쟁점(ramifications)에 대한 언급을 통해 스스로 해당 문제점의 실체를 정확히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 저자의 지론(持論)이다. 이번 개정판에서도 이러한 갈등을 여과해나가는 고통스런 과정이 필요했다. 결국 기존 내용을 전반적으로 점검하여 압축적 설명이 가능한 부분들을 찾아내어 이를 짜임새 있게 조절했다. 그리고 해당 내용을 미리 파악하도록 소제목을 많이 활용했던 부분을 줄이고 가능한 한 줄을 이어 쓰는 방법을 취하되 제목에 해당할 수 있는 주요개념에 대해서는 블록(block) 처리를 하여 가독성(可讀性)에는 달리 영향을 받지 않도록 했다. 
이제 개정 10판을 넘어섰다. 거의 매년마다 민사소송법 개정이 가능한 것은 출판사의 판단에 기한 것이다. 늘 개정 준비를 하고 있음에도 막상 해마다 개정 원고의 부탁을 받으면 고마운 마음과 더불어 책임감으로 부담감을 더하게 된다. 늘 저자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격려해 주시는 박영사 안종만 회장님과 안상준 대표님, 출간 계획과 일정을 조율해 주시면서 좋은 책이 발간될 수 있도록 많은 배려를 해주시는 조성호 이사님, 이번 개정판은 체제면에서도 전반적인 조정이 필요하여 이전 개정 때보다 훨씬 더 힘드셨음에도 정말 훌륭히 편집 작업을 해주신 김선민 이사님 등께 깊이 감사드린다. 법률을 다루는 법조인과 법학자의 천직에 평정(tranquility)과 안정(stability)으로 매진할 수 있도록 도와준 가족에게 늘 한결같은 감동으로 감사한다. 힘이 드는 순간에도 가족의 사랑과 성원에 힘입어 힘을 얻게 된다. 개정판을 거듭할 수 있는 것은 독자 때문이다. 법조인이나 학자, 그리고 법을 배우는 분들이 저자의 책을 아끼시는 덕분에 더욱 용기를 내고 연구 자세를 가다듬게 된다. 다시 한 번 모든 분께 감사드린다.

2023. 1.
저  자 씀
김홍엽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 졸업
미국 컬럼비아 로스쿨(Columbia School of Law) 졸업(LL.M.)
사법시험 20회 합격(사법연수원 10기 수료)
서울지방법원 등 판사, 서울고등법원 판사
헌법재판소 헌법연구관, 대법원 재판연구관
서울지방법원 등 부장판사
언론중재위원회 중재부장
사법연수원 교수
법무법인 산경 대표변호사
대한변호사협회 인권과 정의 편집위원, 대한변협신문 편집위원회 부위원장
대한변호사협회 전문분야등록변호사심사위원회 부위원장
대법원 송무제도개선위원회 위원
법무부 민사특별법제정자문위원회 위원
대법원 사법제도비교연구회 부회장
한국도산법학회 부회장
헌법재판소 헌법재판소법개정위원회 위원, 헌법소송규칙제정위원회 위원
법률신문 논설위원․편집위원
대법원 법관임용제도 자문교수
법무부 민법․민사집행법개정 자문교수
법무부 변호사제도개선위원회 분과위원장
법무부 민사집행법개정위원회 위원장
명지대학교 법과대학 교수
연세대학교 법과대학 교수
성균관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전국법학전문대학원 실무가교수협의회 회장
한국민사소송법학회 부회장
한국민사집행법학회 회장
법무부 집단소송제개선위원회 위원장
법무법인 법교 대표변호사
대법원 국민과 함께하는 사법발전위원회 위원
성균관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초빙교수
서울북부지방법원 상임조정위원장
제1편  총    론
제1절  민사소송의 목적과 이상 2
Ⅰ. 민사소송의 목적 2
Ⅱ. 민사소송의 이상 2
제2절  민사소송과 다른 소송 등과의 관계 4
Ⅰ. 형사소송과의 관계 4
1. 의    의 4
2. 형사소송상 민사적 구제절차 4
3. 형사판결과 민사판결의 상호관계 5
Ⅱ. 행정소송과의 관계 6
1. 의    의 6
2. 행정소송에서의 직권탐지주의 적용 여부 7
3. 민사소송에서 행정처분의 위법성이 선결문제가 되는 경우 7
Ⅲ. 가사소송과의 관계 9
1. 의    의 9
2. 가사소송사건의 종류 및 특질 10
Ⅳ. 비송사건과의 관계 11
1. 의    의 11
2. 비송사건의 종류 및 특질 12
제3절  소송을 갈음하는 분쟁해결제도 14
Ⅰ. 개    관 14
Ⅱ. 화    해 14
1. 의    의 14
2. 효    력 15
Ⅲ. 조    정 15
1. 의    의 15
2. 법원의 조정 16
3. 법원 외 조정(각종 분쟁조정위원회) 17
Ⅳ. 중    재 19
1. 의    의 19
2. 효    력 20
3. 중재합의와 소송상 처리 20
제4절  민사소송상 신의칙 21
Ⅰ. 총    설 21
1. 민사소송상 신의칙의 의의 21
2. 신의칙 적용의 대상 22
3. 신의칙 적용의 한계 22
Ⅱ. 신의칙의 발현형태 23
1. 소송상태의 부당형성 24
2. 선행행위와 모순되는 거동(소송상 금반언) 25
3. 소권(소송상 권능)의 실효 26
4. 소권(소송상 권능)의 남용 28
Ⅲ. 신의칙의 위반과 그 효과 30
1. 신의칙과 직권조사사항 30
2. 신의칙 위반의 효과 30
제5절  민사소송절차 및 민사소송법의 일반 31
Ⅰ. 민사소송절차의 종류 31
Ⅱ. 민사소송법의 의의와 종류 31
1. 공법과 절차법 31
2. 효력규정과 훈시규정 31
3. 강행규정과 임의규정 32
Ⅲ. 민사소송법의 해석 32
1. 헌법합치적 해석 32
2. 법규내적 해석 32
Ⅳ. 민사소송법의 연혁 33
1. 2002년 민사소송법 전부개정 전의 연혁 33
2. 2002년 민사소송법 전부개정 후의 연혁 33
제2편  소송의 주체
제1장  법    원
제1절  민사재판권 36
Ⅰ. 의    의 36
Ⅱ. 인적 범위 36
1. 일반적 경우 36
2. 외국국가에 대한 재판권 37
3. 주한미군에 대한 재판권 39
Ⅲ. 물적 범위(국제재판관할권) 40
1. 의    의 40
2. 판단기준 40
3. 국제재판관할의 배타성 여부 43
4. 국제재판관할의 특수성을 고려한 국제재판관할권의 결정 44
5. 국제재판관할권 유무의 심리 및 법원의 처리 45
Ⅳ. 장소적 범위 46
1. 국제민사사법공조 46
2. 송달방식 47
3. 증거조사 48
Ⅴ. 재판권이 없을 때의 효과 49
1. 재판권의 흠과 소각하판결 49
2. 치외법권자에 대한 재판권 행사의 상대성 50
제2절  민사법원의 종류와 구성 50
Ⅰ. 법원의 의의 50
Ⅱ. 법원의 종류 50
1. 민사법원 50
2. 지원, 시․군법원 및 고등법원 원외재판부 51
Ⅲ. 법원의 구성 51
1. 법    관 51
2. 재판연구관 등 52
3. 법원사무관 등 및 사법보좌관 52
4. 그 밖의 구성원 54
제3절  법관의 제척․기피․회피 55
Ⅰ. 의    의 55
Ⅱ. 법관의 제척 56
1. 제척이유 56
2. 제척의 재판 등 58
Ⅲ. 법관의 기피 58
1. 기피이유 58
2. 기피신청 60
3. 기피신청에 대한 재판 60
Ⅳ. 법관의 회피 63
제4절  관    할 64
Ⅰ. 관할의 의의와 종류 64
1. 의    의 64
2. 종    류 64
Ⅱ. 사물관할 66
1. 의    의 66
2. 합의부의 관할 66
3. 단독판사의 관할 68
4. 소송목적의 값 71
Ⅲ. 토지관할 75
1. 의    의 75
2. 재판적의 종류 75
3. 보통재판적 76
4. 특별재판적 77
5. 관련재판적(병합청구의 재판적) 82
Ⅳ. 지정관할 83
Ⅴ. 합의관할 84
1. 의    의 84
2. 관할합의의 성질 84
3. 관할합의의 요건 85
4. 관할합의의 모습 85
5. 관할합의의 효력 90
Ⅵ. 변론관할 91
1. 의    의 91
2. 요    건 92
Ⅶ. 관할권의 조사 93
1. 직권조사 93
2. 조사방법 94
3. 관할결정의 표준시 95
4. 관할의 존재에 관한 재판 95
Ⅷ. 소송의 이송 96
1. 의    의 96
2. 관할위반에 의한 이송 97
3. 심판의 편의에 의한 이송 103
4. 반소제기 등에 의한 이송 106
5. 이송의 절차 106
6. 이송의 효과 107
제2장  당 사 자
제1절  총    설 111
Ⅰ. 의    의 111
Ⅱ. 당사자권(절차적 기본권) 112
제2절  당사자의 확정 112
Ⅰ. 의    의 112
Ⅱ. 당사자확정의 기준 113
1. 학설의 대립 113
2. 판례가 의사설을 부분적으로 채택하고 있는지 여부 114
Ⅲ. 당사자표시정정 114
1. 의    의 114
2. 판례의 태도 및 분석 114
3. 당사자표시정정과 재판 118
Ⅳ. 성명모용소송 122
1. 의    의 122
2. 성명모용소송과 재판 122
3. 송달과정상 피고 측 모용의 경우와의 구별 123
Ⅴ. 사망한 사람을 당사자로 한 소송 124
1. 소제기 전에 사망한 경우 124
2. 소제기 뒤에 사망한 경우 129
Ⅵ. 법인격부인과 당사자 131
1. 법인격부인의 의의 131
2. 법인격부인과 소송상 당사자의 교체 132
3. 법인격부인과 판결의 효력 133
제3절  당사자의 자격 135
제1관  당사자능력 135
Ⅰ. 의    의 135
Ⅱ. 당사자능력자 135
1. 권리능력자 135
2. 법인 아닌 사단 137
3. 법인 아닌 재단 142
4. 민법상 조합 143
5. 조합 명칭의 단체가 당사자능력을 가진 경우 147
6. 법인이지만 일정한 경우 민법상 조합으로 취급되는 경우 147
7. 당사자능력이 없는 자에게 권리행사를 허용하는 경우 147
Ⅲ. 소송상 취급 147
1. 소송요건 및 심리방법 147
2. 당사자능력이 없는 경우와 법원의 조치 149
3. 당사자능력의 흠을 간과한 판결의 효력 149
제2관  당사자적격 150
Ⅰ. 의    의 150
Ⅱ. 당사자적격자 151
1. 이행의 소 151
2. 확인의 소 153
3. 형성의 소 155
4. 고유필수적 공동소송 155
Ⅲ. 제3자 소송담당 155
1. 의    의 155
2. 법정소송담당 156
3. 임의적 소송담당(임의적 소송신탁) 162
4. 법원허가에 의한 소송담당 168
5. 제3자 소송담당과 기판력 169
Ⅳ. 소송상 취급 170
1. 당사자적격의 조사와 법원의 조치 170
2. 당사자적격의 흠을 간과한 판결의 효력 171
제3관  소송능력 171
Ⅰ. 의    의 171
Ⅱ. 소송능력자 171
Ⅲ. 소송무능력자(제한능력자제도) 172
1. 개정 민법상 성년후견제도의 도입과 민사소송법상 소송능력에 관한  규정의 적용관계 172
2. 제한능력자의 소송능력 유무 173
Ⅳ. 소송상 취급 176
1. 소송능력의 흠과 그 효력 176
2. 소송능력의 조사와 법원의 조치 177
3. 소송무능력을 간과한 판결의 효력 178
제4관  변론능력 179
Ⅰ. 의    의 179
1. 개    념 179
2. 변호사강제주의 179
3. 변호사소송대리원칙 180
Ⅱ. 변론능력이 없는 사람 180
1. 진술금지재판 180
2. 변호사선임명령 181
3. 발언금지명령 181
4. 진술보조인제도 182
Ⅲ. 소송상 취급 182
1. 소송행위의 유효요건 182
2. 변호사선임명령의 불이행시 법원의 조치 183
3. 변론능력의 흠을 간과한 판결의 효력 184
제4절  소송상 대리인 184
제1관  총    설 184
Ⅰ. 의    의 184
Ⅱ. 종    류 185
1. 법정대리인과 임의대리인 185
2. 포괄적 대리인과 개별적 대리인 185
제2관  법정대리인 185
Ⅰ. 실체법상 법정대리인 185
1. 제한능력자의 경우 185
2. 그 밖의 경우 186
Ⅱ. 소송법상 특별대리인 186
1. 제한능력자 등을 위한 특별대리인 186
2. 판결절차 외의 특별대리인 191
Ⅲ. 법정대리인의 지위 191
Ⅳ. 법정대리인의 권한 192
1. 법정대리권의 범위 192
2. 공동법정대리(공동대표) 194
3. 법정대리권의 증명 195
Ⅴ. 법정대리권의 소멸 195
1. 소멸원인 195
2. 소멸통지 195
Ⅵ. 법인 등의 대표자 197
1. 법인 등의 대표기관 197
2. 대표자의 권한과 지위 등 200
3. 소장상 대표자를 잘못 지정하여 표시한 경우의 소송상 처리 201
4. 소송상 대표권 유무가 쟁점이 된 경우의 소송상 처리 201
제3관  임의대리인(소송대리인) 202
Ⅰ. 의    의 202
Ⅱ. 종    류 202
1. 법률상 소송대리인 202
2. 소송위임에 의한 소송대리인(좁은 의미의 소송대리인) 204
Ⅲ. 소송대리인의 자격 205
1. 의    의 205
2. 소송대리인 자격의 예외 206
Ⅳ. 소송대리권의 수여 211
1. 법적 성질 211
2. 대리권의 존재 및 범위의 증명 211
Ⅴ. 소송대리권의 범위 212
1. 소송대리권의 범위제한 여부 212
2. 소송위임에 의한 소송대리권의 범위 213
Ⅵ. 소송대리인의 지위 219
1. 제3자 및 소송수행자로서의 지위 219
2. 당사자의 경정권 220
3. 개별대리의 원칙 220
Ⅶ. 소송대리권의 소멸 222
1. 소멸하지 않는 경우 222
2. 소멸하는 경우 223
제4관  무권대리인 224
Ⅰ. 의    의 224
Ⅱ. 소송상 취급 225
1. 무권대리와 추인 225
2. 무권대리의 심리와 재판 226
Ⅲ. 쌍방대리의 금지 228
1. 통상의 쌍방대리 228
2. 변호사법 31조 1항 1호․2호 위반의 대리행위 229
Ⅳ. 소송행위와 표현대리 232
1. 무권대리인의 소송행위의 경우 232
2. 대표권한이 없는 사람의 소송행위의 경우 233
Ⅴ. 비변호사 등의 대리행위 234
1. 정직 중의 변호사의 대리행위의 경우 234
2. 등록취소된 변호사 또는 비변호사의 대리행위의 경우 234



제3편  제1심의 소송절차
제1장  소송의 개시
제1절  소의 의의와 종류 238
Ⅰ. 의    의 238
Ⅱ. 이행의 소 239
1. 의    의 239
2. 종    류 239
Ⅲ. 확인의 소 239
1. 의    의 239
2. 종    류 240
Ⅳ. 형성의 소 240
1. 의    의 240
2. 형성의 소인지 여부가 문제되는 경우 241
3. 종    류 246
4. 형성판결의 효력 248
Ⅴ. 소제기의 모습․시기에 의한 분류 249
1. 단일의 소와 병합의 소 249
2. 독립의 소와 소송 중의 소 249
제2절  소송요건 250
제1관  총    설 250
Ⅰ. 의    의 250
Ⅱ. 종    류 250
1. 법원에 관한 것 250
2. 당사자에 관한 것 251
3. 소송물에 관한 것 251
4. 특수소송에 관한 것 251
Ⅲ. 모    습 252
1. 적극적 요건과 소극적 요건 252
2. 직권조사사항과 항변사항 252
Ⅳ. 소송요건의 조사 253
1. 원칙적 직권조사사항 253
2. 증명의 방법 255
3. 판단의 표준시 255
4. 조사순서 256
5. 재    판 257
제2관  소의 이익(권리보호요건) 258
Ⅰ. 의    의 258
Ⅱ. 각종의 소의 공통적인 소의 이익(권리보호자격) 261
1. 소구할 수 있는 구체적인 권리 또는 법률관계에 관한 것일 것 261
2. 법률상․계약상 소제기금지사유가 없을 것 263
3. 특별구제절차가 없을 것 268
4. 원고가 동일한 청구에 대하여 승소확정판결을 받거나 이와 같은 기판력을 가진 집행권원을 취득한 경우가 아닐 것 269
5. 신의칙을 위반한 소제기가 아닐 것 271
Ⅲ. 이행의 소의 소의 이익 272
1. 현재의 이행의 소 272
2. 장래의 이행의 소 278
Ⅳ. 확인의 소의 소의 이익 286
1. 의    의 286
2. 청구적격 286
3. 확인의 이익 289
4. 증서의 진정 여부를 확인하는 소 305
Ⅴ. 형성의 소의 소의 이익 307
1. 의    의 307
2. 예외적으로 법률상 명문의 규정에 따라 형성의 소를 제기해도 소의 이익이 없는 경우 307
3. 형성의 소의 제기시 추후 형성될 법률관계에 기한 이행의 소 등을 병합할 수 있는지 여부 309
제3절  소 송 물 312
Ⅰ. 의    의 312
Ⅱ. 소송물에 관한 이론 313
1. 구소송물이론(구실체법설) 313
2. 신소송물이론(소송법설) 313
3. 신실체법설 및 상대적 소송물설 314
4. 소송물에 관한 현행법의 태도 315
5. 신소송물이론의 도입 여부 및 그 한계 315
Ⅲ. 판례의 입장 316
1. 기본적 입장 316
2. 인신사고로 인한 손해배상청구의 경우 317
3. 구소송물이론의 엄격성․경직성의 완화문제 319
Ⅳ. 소의 종류에 따른 소송물의 특수성 320
1. 이행의 소의 소송물 320
2. 확인의 소의 소송물 326
3. 형성의 소의 소송물 326
제4절  소의 제기 331
Ⅰ. 소제기의 방식 331
1. 소장제출주의 331
2. 소제기가 간주되는 경우 333
Ⅱ. 소장의 기재사항 333
1. 필수적 기재사항 333
2. 임의적 기재사항 336
제5절  재판장 등의 소장심사와 소제기 후의 조치 336
Ⅰ. 재판장 등의 소장심사 336
1. 의    의 336
2. 심사의 대상 337
3. 보정명령 337
4. 소장각하명령 340
Ⅱ. 소장부본의 송달 343
1. 소장부본의 송달과 답변서제출의무의 고지 등 343
2. 소장부본의 송달의 효과 343
Ⅲ. 피고의 답변서제출의무와 법원의 조치 344
1. 답변서제출의무 344
2. 답변서 부제출에 의한 무변론판결 345
Ⅳ. 변론기일의 지정 347
제6절  소송구조 348
Ⅰ. 의    의 348
Ⅱ. 구조의 요건 348
1. 자금능력이 부족한 경우 348
2. 패소할 것이 분명하지 않는 경우 349
Ⅲ. 구조의 절차 349
1. 소송구조의 신청 349
2. 소송구조신청에 대한 재판 350
Ⅳ. 구조의 효과 350
1. 소송구조의 내용 350
2. 소송구조의 주관적 범위 351
제7절  소제기의 효과 351
제1관  소송계속 351
Ⅰ. 의    의 351
Ⅱ. 발생시기 351
Ⅲ. 효    과 352
Ⅳ. 종    료 352
제2관  중복소송의 금지 353
Ⅰ. 의    의 353
Ⅱ. 당사자의 동일 353
1. 당사자 동일의 의미 353
2. 채권자대위소송과 중복소송 353
3. 추심금청구소송과 중복소송 356
4. 채권자취소소송과 중복소송 358
Ⅲ. 청구(소송물)의 동일 359
1. 실체법상 권리가 다른 경우 359
2. 선결적 법률관계에 있는 경우, 즉 후소 소송물이 전소 소송물의 선결관계에 있는 경우 또는 그 반대의 경우 359
3. 동시이행항변 또는 유치권항변의 경우 359
4. 상계항변의 경우 360
5. 동일한 권리관계에 관하여 소의 종류를 달리하든지 청구취지를 달리하는 경우 362
6. 일부청구의 경우 366
Ⅳ. 전소의 소송계속 중 후소의 제기 367
1. 중복소송과 전․후소의 관계 367
2. 전소와 소송요건 구비 여부 368
Ⅴ. 중복소송의 효과 368
1. 소극적 소송요건 368
2. 중복소송을 간과한 판결의 경우 369
Ⅵ. 외국법원의 소송과 국내법원의 소송 사이의 중복소송 여부 370
1. 국제적 소송경합 인정여부 370
2. 국제적 소송경합에 해당하는 경우와 소송상 처리 등 370
제3관  실체법상의 효력 371
Ⅰ. 의    의 371
1. 시효중단․기간준수 등 효력 371
2. 그 밖의 실체법상 효과 372
Ⅱ. 시효의 중단 372
1. 중단의 근거 372
2. 권리관계 자체에 관한 재판상 청구 372
3. 경합하는 권리관계에 관한 재판상 청구 376
4. 기본적․선결적․파생적․후속적 권리관계 등에 관한 재판상 청구 379
5. 응소행위와 재판상 청구 380
6. 보조참가와 재판상 청구 383
7. 일부청구와 시효중단의 범위 383
Ⅲ. 법률상 기간준수 386
1. 의    의 386
2. 제척기간과 직권조사사항 387
3. 제척기간 도과의 법적 효과 387
4. 제척기간과 소송물 388
Ⅳ. 시효중단․기간준수의 효력의 발생 및 소멸 389
1. 효력의 발생시기 389
2. 효력의 소멸시기 389
Ⅴ. 지연손해금의 법정이율의 인상 390
1. 의    의 390
2. 적용범위 390
제8절  배상명령제도 393
Ⅰ. 의    의 393
Ⅱ. 배상명령의 요건 393
1. 배상명령의 대상 393
2. 배상명령이 허용되지 않는 경우 393
Ⅲ. 배상신청 및 배상명령 394
1. 배상신청 및 재판 394
2. 배상명령의 효력 395
제2장  변    론
제1절  총    설 396
Ⅰ. 변론의 의의 396
Ⅱ. 변론의 종류 396
1. 필수적 변론 396
2. 임의적 변론 397
제2절  심리의 제원칙 397
제1관  총    설 397
Ⅰ. 공개심리주의 397
1. 의    의 397
2. 적용범위 398
3. 영상재판 398
Ⅱ. 쌍방심리주의 399
1. 의    의 399
2. 적용범위 399
Ⅲ. 구술심리주의 400
1. 의    의 400
2. 구술심리주의의 실질화 400
Ⅳ. 직접심리주의 401
1. 의    의 401
2. 변론의 갱신 402
Ⅴ. 집중심리주의 403
1. 의    의 403
2. 현행법상 집중심리주의의 운용 403
제2관  처분권주의 404
Ⅰ. 의    의 404
Ⅱ. 절차의 개시 404
Ⅲ. 심판의 대상과 범위 405
1. 의    의 405
2. 질적 동일 405
3. 양적 상한 406
4. 일부인용 411
Ⅳ. 절차의 종결 416
1. 일반적 경우 416
2. 예외적 경우 416
Ⅴ. 처분권주의 위반의 효과 417
제3관  변론주의 418
Ⅰ. 의    의 418
Ⅱ. 변론주의의 내용 419
1. 사실의 주장책임 419
2. 요건사실과 주요사실의 관계 426
3. 주요사실과 간접사실의 관계 427
4. 자백의 구속력 432
5. 증거제출책임 433
Ⅲ. 변론주의의 보완․수정(진실의무) 433
Ⅳ. 직권탐지주의 434
1. 의    의 434
2. 구체적 내용 434
3. 적용범위 435
Ⅴ. 직권조사사항 440
1. 의    의 440
2. 변론주의 및 직권탐지주의와의 관계 440
3. 구체적 내용 441
4. 적용범위 442
Ⅵ. 석 명 권 444
1. 의    의 444
2. 석명권의 범위 445
3. 석명의 대상 448
4. 법적관점지적의무 450
5. 석명권의 행사 457
6. 석명처분 457
제4관  적시제출주의 458
Ⅰ. 의    의 458
1. 적시제출주의와 집중심리방식 458
2. 적시제출주의의 적용범위 459
Ⅱ. 재정기간제도(제출기간의 제한) 459
1. 의    의 459
2. 요    건 460
3. 효    과 460
Ⅲ. 실기한 공격방어방법의 각하 460
1. 의    의 460
2. 요    건 461
3. 재판절차 464
Ⅳ. 그 밖의 적시제출주의 관련제도 465
1. 석명에 불응하는 공격방어방법의 각하 465
2. 그 밖의 경우 465
제5관  직권진행주의와 소송지휘권 465
Ⅰ. 의    의 465
Ⅱ. 소송지휘권 466
1. 의    의 466
2. 주    체 466
3. 행사방법 467
Ⅲ. 소송절차에 관한 이의권 467
1. 의    의 467
2. 적용범위 467
3. 이의권의 포기와 상실 468
제3절  변론의 준비 468
Ⅰ. 의    의 468
Ⅱ. 준비서면 469
1. 의    의 469
2. 준비서면의 방식 등 469
3. 준비서면의 제출․부제출의 효과 470
Ⅲ. 변론준비절차 472
1. 의    의 472
2. 변론준비절차의 개시 473
3. 변론준비절차의 진행 474
4. 변론준비절차의 종결 478
5. 변론준비절차 뒤의 변론절차의 운영 479
제4절  변론의 내용 480
제1관  총    설 480
Ⅰ. 본안의 신청 481
Ⅱ. 공격방어방법 481
1. 의    의 481
2. 주    장 481
3. 증거신청 484
Ⅲ. 항    변 484
1. 의    의 484
2. 본안의 항변 485
Ⅳ. 소송상 형성권의 행사 490
1. 의    의 490
2. 소송상 형성권의 행사와 사법상 효과 490
제2관  소송행위 494
Ⅰ. 의    의 494
Ⅱ. 소송상 합의 495
1. 의    의 495
2. 소송상 합의의 허용 여부 495
3. 소송상 합의의 법적 성질 495
4. 소송상 합의의 특질 500
Ⅲ. 소송행위의 특질 501
1. 소송행위의 요건 및 방식 501
2. 소송행위의 조건과 기한 501
3. 소송행위의 철회 501
Ⅳ. 소송행위의 흠 502
1. 소송행위의 흠과 민법규정의 유추적용 여부 502
2. 청구의 포기나 인낙, 재판상 화해의 흠과 소송상 구제방법 502
3. 소취하나 상소취하의 흠과 소송상 구제방법 503
4. 소송행위의 흠의 치유 등 506
Ⅴ. 소송행위의 해석 509
제5절  변론의 실시 511
Ⅰ. 변론의 경과 511
Ⅱ. 변론의 정리(변론의 제한․분리․병합) 511
1. 변론의 제한 511
2. 변론의 분리 512
3. 변론의 병합 512
Ⅲ. 변론의 재개 514
1. 의    의 514
2. 법원의 변론재개의무가 인정되는 경우 515
3. 변론재개결정과 불복방법 516
Ⅳ. 변론조서 517
1. 의    의 517
2. 조서의 기재 517
3. 사건관계인 및 일반인의 변론조서 등 소송기록의 열람 등과 그 제한 519
4. 조서의 정정 522
5. 조서의 증명력 522
Ⅴ. 변론기일 등에서의 당사자 불출석 524
1. 기일불출석 524
2. 양쪽 당사자의 불출석 525
3. 한쪽 당사자의 불출석 528
제6절  기일․기간 및 송달 530
제1관  기    일 530
Ⅰ. 의    의 530
Ⅱ. 기일의 지정 530
1. 지정방법 530
2. 기일지정신청 531
Ⅲ. 기일의 변경 531
1. 의    의 531
2. 기일변경의 요건 532
Ⅳ. 기일의 통지 및 실시 532
1. 기일의 통지 532
2. 기일의 실시 533
제2관  기    간 535
Ⅰ. 기간의 의의 535
Ⅱ. 기간의 종류 535
1. 법정기간과 재정기간 535
2. 법정기간의 종류 535
3. 기간의 늘임과 줄임 536
Ⅲ. 기간의 계산과 진행 537
1. 기간의 계산 537
2. 기간의 진행 538
Ⅳ. 기간의 부준수와 소송행위의 추후보완 538
1. 의    의 538
2. 추후보완의 대상인 기간 538
3. 추후보완의 요건 539
4. 추후보완의 절차 543
5. 추후보완상소와 재심의 소의 관계 547
제3관  송    달 548
Ⅰ. 의    의 548
Ⅱ. 송달기관 550
1. 송달담당기관 550
2. 송달실시기관 550
Ⅲ. 송달할 서류 552
Ⅳ. 송달받을 사람 552
1. 당사자본인 552
2. 법정대리인 등 552
3. 소송대리인 553
4. 법규상 송달영수권이 있는 사람 553
5. 신고된 송달영수인 554
Ⅴ. 송달실시의 방법 554
1. 교부송달 555
2. 우편송달 561
3. 송달함송달 565
4. 전자소송에서의 송달 565
5. 공시송달 566
6. 그 밖의 방식 571
Ⅵ. 외국에서 하는 송달 571
1. 양자조약이 있는 국가의 경우 571
2. 헤이그송달협약에 가입한 국가의 경우 572
3. 송달관련 조약관계가 없는 국가의 경우 572
Ⅶ. 송달의 흠 573
1. 송달의 흠과 효력 573
2. 송달의 흠과 치유 여부 574
제7절  소송절차의 정지 575
Ⅰ. 의    의 575
Ⅱ. 소송절차의 중단 576
1. 소송중단사유 576
2. 소송중단의 예외 582
3. 수계신청에 의한 소송중단의 해소 586
4. 법원의 속행명령에 의한 소송중단의 해소 593
Ⅲ. 소송절차의 중지 593
1. 민사소송법상 중지 593
2. 다른 법령 등에 의한 중지 594
Ⅳ. 소송절차의 정지의 효과 595
1. 의    의 595
2. 소송절차의 정지와 당사자의 소송행위 595
3. 소송절차의 정지와 법원의 소송행위 596
4. 기간의 진행 598




제3장  증    거
제1절  총    설 599
Ⅰ. 증거의 의의 599
Ⅱ. 증거능력․증거력 600
1. 증거능력 600
2. 증거력(증명력) 600
3. 위법하게 수집한 증거방법의 증거능력 600
Ⅲ. 증거․증명의 종류 603
1. 직접증거․간접증거 603
2. 본증․반증․반대사실의 증명 603
3. 증명․소명 603
4. 엄격한 증명․자유로운 증명 604
Ⅳ. 증명의 대상 605
1. 사    실 605
2. 경험법칙 605
3. 법    규 607
제2절  불요증사실 608
Ⅰ. 의    의 608
Ⅱ. 재판상 자백 608
1. 의    의 608
2. 요    건 609
3. 성    질 616
4. 효    력 616
Ⅲ. 자백간주 622
1. 의    의 622
2. 적용범위 622
3. 성    립 622
4. 효    력 624
Ⅳ. 현저한 사실 624
1. 의    의 624
2. 공지의 사실 625
3. 법원에 현저한 사실 625
Ⅴ. 법률상 추정 627
제3절  증거조사의 개시와 실시 627
제1관  증거조사의 개시 627
Ⅰ. 증거신청 627
1. 의    의 627
2. 증거신청의 방식 및 시기 등 629
Ⅱ. 증거신청의 채택여부결정 631
1. 증거신청의 채부결정의 기준 631
2. 유일한 증거 632
3. 증거신청에 대한 결정 등 633
Ⅲ. 직권증거조사 635
1. 의    의 635
2. 직권증거조사를 하는 경우 635
제2관  증거조사의 실시 636
Ⅰ. 개    설 636
1. 의    의 636
2. 증거조사와 직접심리주의 637
Ⅱ. 증인신문 638
1. 의    의 638
2. 증인능력 638
3. 증인의무 639
4. 증인신문절차 642
Ⅲ. 감    정 645
1. 의    의 645
2. 종    류 646
3. 감정의무 648
4. 감정절차 649
5. 감정결과의 채택 여부 650
Ⅳ. 서    증 651
1. 의    의 651
2. 문서의 형식적 증거력(문서의 진정성립) 653
3. 문서의 실질적 증거력(실질적 증명력) 662
4. 서증신청의 방법과 증거조사의 순서 664
5. 문서의 직접제출 665
6. 문서제출명령 667
7. 문서송부촉탁 679
8. 문서가 있는 장소에서의 서증조사(법원 밖에서의 서증조사) 682
Ⅴ. 검    증 682
1. 의    의 682
2. 검증의 신청 등 683
3. 검증의 실시 683
Ⅵ. 당사자신문 684
1. 의    의 684
2. 독립된 증거방법 684
3. 절    차 685
Ⅶ. 그 밖의 증거 686
1. 의    의 686
2. 조사방법 686
Ⅷ. 조사․송부의 촉탁 688
1. 의    의 688
2. 조사․송부촉탁의 절차 689
Ⅸ. 증거보전 690
1. 의    의 690
2. 증거보전의 사유 691
3. 증거보전의 신청 691
4. 증거보전신청에 대한 재판 692
제4절  자유심증주의 692
Ⅰ. 총    설 692
Ⅱ. 증거원인 693
1. 변론 전체의 취지 693
2. 증거조사의 결과 694
Ⅲ. 자유심증주의의 정도 695
1. 증명의 정도의 원칙 695
2. 증명의 정도의 완화 696
Ⅳ. 사실인정의 위법과 상고 여부 701
Ⅴ. 자유심증주의의 예외 701
1. 증거방법․증거력 등의 법정 701
2. 증명방해 702
3. 증거계약 704
제5절  증명책임 706
Ⅰ. 총    설 706
1. 의    의 706
2. 기    능 707
Ⅱ. 증명책임의 분배 708
1. 의    의 708
2. 증명책임분배이론 708
Ⅲ. 증명책임의 전환과 완화 712
1. 법률상 명문의 규정에 의한 증명책임의 전환 712
2. 증명책임의 완화 713
Ⅳ. 법률상 추정 713
1. 의    의 713
2. 효    과 714
3. 유사적 추정 717
Ⅴ. 일응의 추정 719
1. 의    의 719
2. 기    능 720
3. 효    과 720
Ⅵ. 간접반증 721
1. 의    의 721
2. 기    능 721
Ⅶ. 증명책임의 완화와 현대형소송 722
1. 공해소송에서의 증명책임 722
2. 의료과오소송에서의 증명책임 724
3. 제조물책임소송에서의 증명책임 726
Ⅷ. 증명책임 없는 당사자의 사안해명의무 728


제4편  소송의 종료
제1장  총    설
Ⅰ. 소송종료사유 732
1. 일반적 경우 732
2. 대립당사자 구조 소멸의 경우 732
Ⅱ. 소송종료선언 733
1. 의    의 733
2. 당사자의 기일지정신청에 의한 소송종료선언 733
3. 법원이 소송종료를 간과한 경우에 하는 소송종료선언 734
제2장  당사자의 행위에 의한 소송종료
제1절  소의 취하 736
Ⅰ. 의    의 736
Ⅱ. 요건 등 737
1. 소 송 물 737
2. 시    기 737
3. 피고의 동의 738
4. 소취하와 소송행위로서의 유효한 요건 739
5. 소취하의 방법 739
Ⅲ. 효    과 740
1. 소송계속의 소급적 소멸 740
2. 재소의 금지 740
Ⅳ. 소의 취하간주 750
1. 기일불출석의 경우 750
2. 그 밖의 경우 751
Ⅴ. 소취하 등의 효력을 다투는 절차 751
제2절  청구의 포기․인낙 752
Ⅰ. 의    의 752
Ⅱ. 법적 성질 753
1. 소송행위설의 타당성 753
2. 판례의 태도 753
Ⅲ. 요    건 754
1. 당사자에 관한 요건 754
2. 소송물에 관한 요건 754
Ⅳ. 시기와 방식 758
Ⅴ. 효    과 759
1. 조서의 작성 759
2. 소송종료효 등 759
3. 흠을 다투는 방법 760
제3절  재판상 화해 760
Ⅰ. 의    의 760
Ⅱ. 소송상 화해 761
1. 의    의 761
2. 법적 성질 761
3. 당 사 자 762
4. 대상(소송물) 764
5. 상호의 양보 767
6. 조건부 소송상 화해의 인정 여부 768
7. 시기와 방식 770
8. 효    과 770
9. 화해권고결정 778
Ⅲ. 제소전 화해 779
1. 의    의 779
2. 제소전 화해신청 781
3. 절    차 782
4. 제소전 화해조서의 효력 783





제3장  종국판결에 의한 종료
제1절  재판일반 784
Ⅰ. 재판의 의의 784
Ⅱ. 재판의 종류 784
1. 판결․결정․명령 784
2. 종국적 재판․중간적 재판 785
제2절  판    결 786
제1관  판결의 종류 786
Ⅰ. 중간판결 786
1. 의    의 786
2. 중간판결사항 787
3. 효    력 788
Ⅱ. 종국판결 788
1. 의    의 788
2. 전부판결과 일부판결 789
3. 재판의 누락과 추가판결 791
4. 소송판결과 본안판결 793
제2관  판결의 성립 794
Ⅰ. 판결내용의 확정 794
1. 의    의 794
2. 법관이 바뀐 경우 794
Ⅱ. 판 결 서 794
1. 판결서 기재사항 794
2. 판결주문 기재의 특정과 명확성 795
3. 판결이유 기재의 정도 796
Ⅲ. 판결의 선고 등 797
1. 의    의 797
2. 종국판결의 선고기일 798
3. 판결의 선고 뒤의 절차 798
제3관  판결의 효력 799
Ⅰ. 기 속 력 799
1. 의    의 799
2. 재판의 기속력이 다른 법원에 대한 구속력을 뜻하는 경우 799
3. 재판의 기속력이 배제되는 경우 799
Ⅱ. 판결의 경정 799
1. 의    의 799
2. 요    건 801
3. 절    차 803
4. 효    력 805
Ⅲ. 형식적 확정력 806
1. 의    의 806
2. 판결의 확정시기 807
3. 소송의 종료와 판결효력의 종류 811
Ⅳ. 기판력 일반 811
1. 기판력의 의의 811
2. 기판력의 본질 812
3. 기판력의 인정근거 814
4. 기판력이 작용하는 경우 816
5. 기판력이 작용하는 모습 825
6. 전소 확정판결이 있는 경우의 후소의 재판 827
7. 기판력 있는 재판 828
8. 외국법원의 확정재판 등 829
Ⅴ. 기판력의 시적 범위 836
1. 의    의 836
2. 표준시 전에 존재한 사유 837
3. 표준시 뒤에 발생한 새로운 사유 840
4. 표준시 뒤의 형성권 등의 행사 842
5. 정기금판결에 대한 변경의 소 848
Ⅵ. 기판력의 객관적 범위 854
1. 판결주문의 판단 854
2. 판결이유에서의 판단 860
Ⅶ. 기판력의 주관적 범위 870
1. 당 사 자 870
2. 변론종결 뒤의 승계인 870
3. 청구의 목적물을 소지한 사람 878
4. 제3자 소송담당의 경우의 권리귀속주체 880
5. 소송탈퇴자 886
6. 일반 제3자에의 확장 887
Ⅷ. 판결의 그 밖의 효력 891
1. 집 행 력 891
2. 형 성 력 892
3. 법률요건적 효력 893
4. 반사적 효력 893
Ⅸ. 판결의 무효 등 895
1. 판결의 부존재 895
2. 판결의 무효 896
Ⅹ. 판결의 편취 898
1. 의    의 898
2. 소송법상 구제방법 899
3. 실체법상 구제방법 901
제4관  종국판결의 부수적 재판 904
Ⅰ. 가집행선고 904
1. 의    의 904
2. 요    건 904
3. 절    차 906
4. 효    력 907
5. 실    효 908
Ⅱ. 소송비용의 재판 911
1. 의    의 911
2. 소송비용부담의 재판 913
3. 소송비용부담의 원칙 915
4. 소송비용액확정절차 917
5. 소송비용의 담보 920




제5편  병합소송
제1장  병합청구소송
제1절  청구의 병합 926
Ⅰ. 의    의 926
Ⅱ. 요    건 926
1. 같은 종류의 소송절차에 따라 심판될 수 있을 것 926
2. 수소법원에 공통의 관할권이 있을 것 930
3. 청구 사이에 관련성이 있을 것이 요구되는지 여부 930
Ⅲ. 모    습 931
1. 단순병합 931
2. 선택적 병합 932
3. 예비적 병합 934
Ⅳ. 절차 및 심판 939
1. 소송목적의 값의 산정과 병합요건 등의 조사 939
2. 심리의 공통 939
3. 종국판결 939
4. 항소심의 심판대상 942
제2절  청구의 변경 946
Ⅰ. 의    의 946
Ⅱ. 모    습 946
1. 청구취지의 변경과 청구원인의 변경 946
2. 교환적 변경과 추가적 변경 949
Ⅲ. 요    건 952
1. 청구의 기초가 바뀌지 않을 것(청구기초의 동일성) 952
2. 소송절차를 현저히 지연시키지 않을 것 955
3. 사실심에 계속되고 변론종결 전일 것 956
4. 청구의 병합의 일반요건을 갖출 것 957
Ⅳ. 절    차 957
1. 청구변경신청 957
2. 소비자단체소송 등의 경우 958
Ⅴ. 효    력 958
1. 소송계속의 효력 958
2. 시효중단․기간준수의 효력 959
Ⅵ. 심    판 959
1. 청구변경신청과 재판 959
2. 청구의 변경을 간과한 판결에 대한 상소법원의 조치 962
제3절  중간확인의 소 963
Ⅰ. 의    의 963
Ⅱ. 요    건 963
1. 다툼 있는 선결적 법률관계의 확인을 구할 것 963
2. 사실심에 계속되고 변론종결 전일 것 964
3. 다른 법원의 전속관할에 속하지 않을 것 964
4. 본소청구와 같은 종류의 소송절차에 의할 것 964
Ⅲ. 절차 및 심판 965
1. 중간확인의 소의 제기 965
2. 재    판 967
제4절  반    소 967
Ⅰ. 의    의 967
Ⅱ. 모    습 968
1. 단순반소와 예비적 반소 968
2. 재 반 소 969
Ⅲ. 요    건 970
1. 본소의 청구 또는 본소의 방어방법과 서로 관련성이 있을 것 970
2. 소송절차를 현저히 지연시키지 않을 것 973
3. 본소가 사실심에 계속되고 변론종결 전일 것 973
4. 본소와 같은 종류의 소송절차에 의할 것 975
5. 다른 법원의 전속관할에 속하지 않을 것 975
Ⅳ. 절차 및 심판 976
1. 반소의 제기 976
2. 반소요건 등의 조사 976
3. 본안심판 977
제2장  다수당사자소송
제1절  공동소송 979
제1관  총    설 979
Ⅰ. 의    의 979
Ⅱ. 발생원인과 소멸원인 979
Ⅲ. 공동소송의 일반요건 980
1. 주관적 요건 980
2. 객관적 요건 981
제2관  통상공동소송 981
Ⅰ. 의    의 981
Ⅱ. 공동소송인독립의 원칙 982
1. 의    의 982
2. 심판원칙 982
3. 소송절차상 공통적 진행 983
Ⅲ. 공동소송인독립의 원칙의 수정 983
1. 의    의 983
2. 증거공통의 원칙의 적용 여부 983
3. 주장공통의 원칙의 적용 여부 984
제3관  필수적 공동소송 986
Ⅰ. 의    의 986
Ⅱ. 고유필수적 공동소송 987
1. 의    의 987
2. 일정한 경우의 가사소송 및 회사관계소송 등 987
3. 형성권이 공동으로 귀속된 소송 988
4. 합유관계소송 991
5. 총유관계소송 994
6. 공유관계소송 996
Ⅲ. 유사필수적 공동소송 1001
1. 의    의 1001
2. 허용범위 1001
3. 이론상 합일확정소송 1003
Ⅳ. 필수적 공동소송의 심판 1003
1. 필수적 공동소송인의 소송상 지위 1003
2. 소송요건의 조사 및 누락된 필수적 공동소송인의 추가 등 1003
3. 소송자료의 통일 1005
4. 소송진행의 통일 1006
5. 본안재판의 통일 1008
제2절  공동소송의 특수형태 1008
제1관  예비적․선택적 공동소송(소의 주관적 예비적․선택적 병합) 1008
Ⅰ. 의    의 1008
Ⅱ. 모    습 1009
1. 수동형과 능동형 1009
2. 예비형과 선택형 1010
3. 원시형과 후발형 1010
Ⅲ. 요    건 1011
1. 청구 사이에 법률상 양립할 수 없는 경우의 의미 1011
2. 사실관계에 의한 양립불가능도 법률상 양립불가능에 포함되는지 여부 1013
3. 통상공동소송관계와 예비적 공동소송관계의 병합 1016
4. 항소심에서 변론의 병합에 의한 예비적․선택적 공동소송의 허용 여부 1017
5. 허용요건 등의 심판 1017
Ⅳ. 본안심판 1018
1. 소송자료의 통일 1018
2. 소송진행의 통일 1021
3. 본안재판의 통일 1026
제2관  추가적 공동소송(소의 주관적 추가적 병합) 1028
Ⅰ. 의    의 1028
Ⅱ. 법률상 명문의 규정이 없는 경우 추가적 공동소송 허용 여부 1028
제3절  선정당사자 1030
Ⅰ. 의    의 1030
Ⅱ. 선정의 법적 성질 1031
Ⅲ. 선정의 요건 1032
1. 공동소송인으로 될 여러 사람이 있을 것 1032
2. 공동의 이해관계를 가질 것 1032
3. 공동의 이해관계가 있는 사람 가운데에서 선정할 것 1033
Ⅳ. 선정의 방법 1033
1. 심급을 한정한 선정이 허용되는지 여부 1033
2. 선정의 시기 1035
3. 선정행위의 서면증명 1035
Ⅴ. 선정의 효과 1035
1. 선정당사자의 지위 1035
2. 선정자의 지위 1037
3. 선정당사자의 자격상실 1040
Ⅵ. 선정당사자자격의 흠과 그 효과 1041
1. 선정당사자자격의 흠과 법원의 조치 1041
2. 선정당사자자격의 흠을 간과한 판결의 경우 1042
제4절  집단소송 등 1043
Ⅰ. 증권관련집단소송 1043
1. 의    의 1043
2. 증권관련집단소송절차의 특례 1045
Ⅱ. 소비자단체소송 등 1045
1. 소비자단체소송 1045
2. 개인정보단체소송 1047
3. 소비자단체소송절차 등의 특례 1047
제5절  제3자 소송참가 1048
제1관  보조참가 1048
Ⅰ. 의    의 1048
Ⅱ. 요    건 1048
1. 소송계속 중일 것 1048
2. 소송결과에 이해관계가 있을 것(참가이유) 1050
3. 소송절차를 현저히 지연시키지 않을 것 1053
4. 소송행위의 유효요건을 갖출 것 1053
Ⅲ. 절차 및 심판 1053
1. 참가신청 1053
2. 참가의 허부 재판 1054
Ⅳ. 참가인의 소송상 지위 1057
1. 의    의 1057
2. 참가인이 할 수 있는 소송행위 1058
3. 참가인이 할 수 없는 소송행위 1058
Ⅴ. 판결의 참가인에 대한 효력 1061
1. 효력의 성질 1061
2. 참가적 효력의 범위 1063
3. 참가적 효력의 배제 1063
제2관  공동소송적 보조참가 1065
Ⅰ. 의    의 1065
1. 판결의 효력이 미치는 제3자의 보조참가 1065
2. 입법취지․경위 1065
3. 공동소송적 보조참가 해당 여부의 판단 1066
Ⅱ. 공동소송적 보조참가가 성립되는 경우 1066
1. 일반적 경우 1066
2. 채권자대위소송의 경우 1067
3. 주주대표소송의 경우 1068
Ⅲ. 공동소송적 보조참가인의 소송상 지위 1068
1. 의    의 1068
2. 필수적 공동소송인에 준하는 소송상 지위 1069
제3관  소송고지 1071
Ⅰ. 의    의 1071
Ⅱ. 요    건 1072
1. 소송계속 중일 것 1072
2. 고 지 자 1073
3. 피고지자 1074
Ⅲ. 절    차 1074
1. 소송고지의 신청과 소송고지서의 제출 1074
2. 소송고지서의 송달 등 1075
Ⅳ. 효    과 1075
1. 소송법상 효과 1075
2. 실체법상 효과 1076
제4관  독립당사자참가 1077
Ⅰ. 의    의 1077
1. 제도적 특질 1077
2. 구    조 1078
Ⅱ. 요    건 1080
1. 소송계속 중일 것 1080
2. 쌍면참가와 편면참가 1081
3. 권리주장참가와 사해방지참가 1083
4. 청구의 병합요건 1091
5. 소송요건 1091
Ⅲ. 절    차 1091
1. 참가신청 1091
2. 중첩적 참가와 4면소송 1092
Ⅳ. 심    판 1093
1. 참가요건 등의 조사 1093
2. 본안심판 1094
Ⅴ. 단일소송 또는 공동소송으로 환원 1098
1. 본소의 취하․각하의 경우 1098
2. 참가신청의 취하․각하의 경우 1099
3. 소송탈퇴 1100
제5관  공동소송참가 1102
Ⅰ. 의    의 1102
Ⅱ. 요    건 1103
1. 소송계속 중일 것 1103
2. 당사자로 될 사람일 것 1104
3. 합일확정의 경우일 것 1108
Ⅲ. 절차 및 심판 1110
1. 참가신청 1110
2. 참가신청의 재판 1111
제6절  당사자의 변경 1112
제1관  임의적 당사자변경 1112
Ⅰ. 의    의 1112
Ⅱ. 피고의 경정 1114
1. 의    의 1114
2. 요    건 1115
3. 절    차 1117
4. 효    과 1118
Ⅲ. 필수적 공동소송인의 추가 1119
1. 의    의 1119
2. 요    건 1119
3. 절    차 1120
4. 효    과 1120
5. 예비적․선택적 공동소송인의 추가에 준용 1120
제2관  소송승계 1121
Ⅰ. 의    의 1121
Ⅱ. 당연승계 1121
1. 원    인 1121
2. 종    류 1122
3. 소송상 취급 1122
Ⅲ. 소송물의 양도 1124
1. 의    의 1124
2. 입 법 례 1124
3. 모    습 1126
4. 참가승계 1130
5. 인수승계 1132
6. 피승계인의 지위와 소송탈퇴 1135
Ⅳ. 제3자 소송인입제도 1142

제6편  상소심절차
제1절  총    설 1144
Ⅰ. 상소의 의의 1144
Ⅱ. 상소의 종류 1144
1. 항소․상고․항고 1144
2. 불복신청방법의 선택 1144
3. 형식에 어긋나는 재판 1145
Ⅲ. 상소요건 1146
1. 의    의 1146
2. 상소의 일반요건 1146
3. 상소의 이익 1149
Ⅳ. 상소의 효력 1153
1. 확정차단의 효력과 이심의 효력 1153
2. 상소불가분의 원칙 1153
Ⅴ. 상소의 제한 1155
1. 일반사건의 경우 1155
2. 소액사건 등의 경우 1155
제2절  항    소 1156
Ⅰ. 의    의 1156
Ⅱ. 항소제기절차 1156
1. 항소장의 제출 1156
2. 재판장 등의 항소장심사권 1157
Ⅲ. 항소의 취하 1159
1. 의    의 1159
2. 요    건 1160
3. 방    식 1161
4. 효    력 1162
5. 항소취하의 간주 1162
Ⅳ. 부대항소 1162
1. 의    의 1162
2. 법적 성질 1163
3. 요    건 1163
4. 방    식 1166
5. 효    력 1167
Ⅴ. 항소심의 심리 1168
1. 항소의 적법성 심리 1168
2. 본안심리 1168
Ⅵ. 항소심의 종국적 재판 1170
1. 항소장각하명령 1170
2. 항소각하판결 등 1171
3. 항소기각판결 1171
4. 항소인용판결 1172
제3절  상    고 1177
Ⅰ. 의    의 1177
Ⅱ. 상고이유 1178
1. 일반적 상고이유 1179
2. 절대적 상고이유 1180
3. 그 밖의 상고이유(재심사유) 1181
4. 소액사건의 상고이유 1182
Ⅲ. 상고심의 절차 1182
1. 상고의 제기 1182
2. 상고이유서의 제출 1183
3. 부대상고 1185
4. 상고이유서의 송달과 답변서의 제출 1186
Ⅳ. 심리불속행제도(심리속행사유의 심사) 1186
1. 의    의 1186
2. 법적 성질 1187
3. 심리속행사유 및 조사 1188
4. 심리불속행으로 인한 상고기각판결의 특례 1189
Ⅴ. 상고심의 본안심리 1191
1. 심리범위 1191
2. 심리방법 1192
Ⅵ. 상고심의 종료 1193
1. 상고장각하명령 1193
2. 상고각하판결 1193
3. 상고기각판결 1193
4. 상고인용판결 1194
제4절  항    고 1198
Ⅰ. 의    의 1198
Ⅱ. 항고의 종류 1199
1. 통상항고․즉시항고 1199
2. 최초의 항고․재항고 1199
3. 특별항고 1199
Ⅲ. 적용범위 1200
1. 항고로써 불복할 수 있는 결정․명령 1200
2. 소송절차에 관한 신청을 배척한 결정․명령에 대한 항고 1200
Ⅳ. 절    차 1201
1. 항고의 제기 1201
2. 항고제기의 효력 1202
3. 항고심의 재판 1204
Ⅴ. 재 항 고 1205
1. 의    의 1205
2. 적용범위 1205
3. 절    차 1206
Ⅵ. 특별항고 1206
1. 의    의 1206
2. 특별항고이유 1207
3. 절    차 1207

제7편  재심절차
Ⅰ. 재심의 의의 1210
1. 일    반 1210
2. 재심의 소송물 1210
Ⅱ. 적법요건 1211
1. 재심당사자적격 1211
2. 재심의 대상적격 1213
3. 재심기간 1214
Ⅲ. 재심사유 1216
1. 의    의 1216
2. 보 충 성 1216
3. 개별적 재심사유 1218
4. 특별법상 재심사유 1227
Ⅳ. 재심절차 1228
1. 재심대상판결 1228
2. 재심관할법원 1229
3. 재심의 소제기 1229
4. 재심소송에서 일반소송절차의 준용 및 그 한계 1230
5. 재심소송의 심판 1231
Ⅴ. 준 재 심 1234
1. 의    의 1234
2. 준재심의 소(조서에 대한 준재심) 1234
3. 준재심의 신청(결정․명령에 대한 준재심) 1236

제8편  간이소송절차
Ⅰ. 소액사건심판절차 1238
1. 의    의 1238
2. 소액사건의 범위 1238
3. 소액사건의 관할 1240
4. 이행권고결정제도 1240
5. 소액사건심판절차상의 특례 1242
Ⅱ. 독촉절차 1245
1. 의    의 1245
2. 지급명령신청 1246
3. 지급명령신청에 대한 재판 1248
4. 채무자의 이의신청 1249
5. 소송절차로의 이행에 따른 처리 1250
6. 조정으로의 이행신청 1251


주요판례색인 1253
사항색인 12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