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판 2023.01.30
제7판 2021.02.20
중판 2020. 3. 5
제6판 2019. 2. 28
중판 2017. 8. 20
중판 2016. 8. 20
중판 2016. 3. 30
제5판 2015. 8. 30
중판 2015. 3. 10
중판 2014. 3. 10.
제4판 2012. 2. 25.
제3판 2010. 2. 25.
보정판 2006. 12. 15.
초판 2005. 2. 28.
2020년은 지금까지 전혀 생각하지 못한 예외적인 삶을 경험한 한 해로 먼 미래에 기억될 것이다. 코로나19로 우리나라는 물론 전 세계인의 일상이 완전히 바뀌었다. 일상의 생활에서부터 직장의 일하는 방식까지 비대면, 언택트가 뉴노멀이 되었다. 일부 전문가들에게나 익숙해 있던 앱을 이용한 회의나 강의가 보편화되었고, 이러한 변화의 관성은 코로나19가 진정된 이후에도 어느 정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래서 이번 개정판에서 가장 관심을 가지고 보완한 부분은 “제16장 행정정보화: 전자정부”편이다. 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로 신속하고 편리한 행정서비스 제공과 시민참여를 유도하는 기존의 전자정부 시각이 새롭게 진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자정부가 행정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론트 오피스 기능을 뒤에서 지원하는 수준이 아니라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을 선도하는 정부혁신의 전략적 개념으로 바뀌고 있다. ICT 기술에만 의존하지 않고 빅데이터, 클라우드, 인공지능, 블록체인 등의 새로운 기술을 활용하여 보다 주도적이고 시민을 중심으로 하는 정부혁신이 중요해졌다.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여 정부는 행정안전부 전자정부국을 디지털정부국으로 확대 개편하였는가 하면, 지능정보사회로의 전환을 대비해서 ‘국가’정보화기본법을 ‘지능’정보화기본법으로 전면 개정하였다. 선진국 중심의 OECD는 디지털정부지수(Digital Government Index)를 개발하여 2020년에 평가 결과를 발표하기에 이르렀다. 개정판에서는 디지털 기술로 촉발된 새로운 전자정부의 개념으로서 디지털정부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2021년 5월이면 문재인 정부의 임기 마지막 5년 차가 시작된다. 그동안 추진해온 정책의 성과를 평가받을 시기이다. 그런데 코로나19 사태로 전 세계적인 경제적·사회적 위기를 겪으면서 소득주도성장 등의 핵심 정책에 대한 평가를 하지 못하고 우선 재정을 풀어 당면한 위기를 극복하는 것이 최대 현안이 되었다. 정부의 역할이나 적정 규모를 비판적으로 검토할 여유도 없이 정부의 일방적인 코로나19 방역 지침을 수용해야 했고, 소득 감소로 고통 받는 개인이나 기업을 지원하기 위해추경이 일상화되고, 그로 인한 재정지출 및 국가부채가 급속히 증가하였다. 개정판에서는 이러한 변화를 확인할 수 있도록 통계 수치를 업데이트하였다. 또한 행정학
의 개념이나 이론은 몇 년마다 바뀌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개정의 많은 부분은 제6판 이후 2년 사이에 바뀐 법이나 정책을 반영함으로써 잘못된 내용으로 학습하는 일이 없도록 하였고, 행정의 이론과 실제에 대한 현실적 감각을 익힐 수 있도록 글상자 내용을 최신의 신문 기사나 칼럼으로 교체하였다.
개정판을 낼 때마다 노고를 아끼지 않고 최선을 다해 지원해준 박영사 임재무 선생님과 편집을 세세하게 챙겨준 전채린 선생님, 그리고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교정을 도와준 박윤 박사에게 진심으로 감사한 마음을 전한다.
2021. 2.
유 민 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