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닫기
내담자의 눈으로
내담자의 눈으로
저자
Stephen E. Finn
역자
최성진
분야
심리학
출판사
박영사
발행일
2014.09.30
장정
페이지
304P
판형
신A5판
ISBN
979-11-303-0066-5
부가기호
강의자료다운
-
색도
정가
18,000원

중판 2023.12.20

중판 2015. 9. 30

초판 2014. 9. 30.

이 책은 Stephen E. Finn의 “In Our Clients’ Shoes: Theory and Techniques of Therapeutic Assessment”를 번역한 것이다. 내가 처음 Stephen E. Finn의 책을 접한 것은 대학원생 때였다. 그의 책 “Manual for Using the MMPI‒2 as a Therapeutic Intervention”을 읽었던 그때의 경험은 심리평가와 심리치료를 막 배우기 시작한 나에게 앞으로 임상심리학자로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해주었다. 이후 임상심리학자로 훈련받고 지도감독자로 있으면서 심리평가의 치료적 힘과 잠재성을 알게 되었고, 심리평가를 이용한 치료적 개입의 유용성을 몸소 깨닫게 되었다. 그러던 중 이 보석 같은 책을 발견하였다.

나에게는 축복이었다. 저자의 글을 읽으며 임상심리학자로서 꿈꾸어 왔던 생각과 일치하는 부분을 발견할 때마다 감탄하지 않을 수 없었다. 책 속에 담겨진 그의 생각과 말은 살아 움직여 가슴에 살포시 내려앉았고, 때로 격렬한 춤이 되었다. 여러 강의와 워크숍을 통해 그의 생각을 조금씩 전달하면서, 심리평가와 심리치료가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는 현실을 보며 그의 철학은 위로와 희망이 되었다. 나는 그 흥분과 감동을 혼자만 간직하기가 아쉬웠다. 그래서 느리지만 천천히 이 책을 번역하게 되었다. 심리평가를 활용하여 상담 및 심리치료 개입을 하려는 분들에게 이 책이 실제적인 모델이 되었으면 좋겠다.

출판되기까지 많은 분들의 도움이 있었다. 존경하는 스승이신 신현정, 홍창희 교수님께 감사드린다. 아울러 임상심리학자로서 밑거름이 되어 주신 국승희 선생님께도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 싶다. 더불어 지금의 나를 있게 해준 여러 학형과 선후배 수련 선생님이 없었더라면 아무것도 할 수 없었을 것이다. 원고를 정리하는 데 도움을 준 부산 해바라기여성아동센터의 박상미 선생과 부산가톨릭의료원 메리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애경, 김정안, 김혜지 선생에게도 고마움을 전한다. 박영사 안종만 사장님과 명재희 선생님, 정성들여 편집을 해준 김효선 선생님께 감사드린다. 마지막으로 부모님과 아내, 딸 예슬이에게 사랑을 전한다. ‘내담자의 눈으로’ 발걸음을 내딛기 시작한 나를 믿고, 함께 해 준 내담자들에게 이 책을 바친다.

2014년 9월
역자 최성진

저자 약력

Stephen E. Finn
성격평가 국제전문가인 Stephen E. Finn(PhD, Minnesota대학)은 심리평가와 심리치료를 체계적으로 통합한 방법인 치료적 평가의 개척자이다. Finn박사는 심리평가와 심리치료 통합훈련 전문기관인 Texas주 Austin의 치료적 평가센터 창립자이다. 또한 Austin의 Texas대학 심리학과 임상 조교수였다. 그는 1996년에서 1997년까지 심리평가의 비용과 효과, 건강관리에서 심리평가 사용의 문제와 한계에 관한 보고서를 출판한 APA의 심리평가 워크 그룹 전문 위원회 회장을 역임했다. 2003년 Finn박사는 성격평가학회로부터 질적 논문 분야 최고상인 Martin Mayman상을 받았다. Finn박사는 1996년 Minnesota대학출판사에서 MMPI-2를 이용한 치료적 개입을 출간했고, 심리평가와 심리진단에 관한 35편 이상의 논문을 썼다. 그는 평가 관련 주제로 세계 곳곳에서 강의를 하고 있다.


역자 약력

최성진
부산대학교 심리학과 및 동대학원 졸업 문학박사
전남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임상심리전문가과정 수료
한국심리학회 임상심리전문가, 건강심리전문가, 범죄심리전문가
보건복지부 정신보건임상심리사 1급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겸임교수
부산가톨릭의료원 메리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임상심리실장
1부_치료적 평가의 역사와 발달

1. 서론: 치료적 평가란 무엇인가?
2. 심리평가의 힘과 잠재성 알기
3. 치료적 평가: Harry가 옳았을까?
4. 인본주의 치료적 평가

2부_치료적 평가의 기법

5. 치료 중 로르샤하로 평가하기
6. “방어적” 검사 프로토콜 피드백 하기
7. MMPI-2와 로르샤하를 통합한 평가 피드백
8. 평가 개입 회기: “어려운” 검사 결과를 “쉬운” 검사로 설명하기
9. 한 단계 위와 아래, 그리고 그 사이: 협력적 평가 의뢰 모형
10.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환자의 치료적 평가
11. 로르샤하의 협력적 계열분석
12. 부부 개입을 위해 공동 로르샤하 사용하기
13. “그저 도우려 했을 뿐이에요!”: 치료적 평가의 실패
14. 가족 개입을 위한 협력적 아동평가
15. 대학원에서 치료적 평가 가르치기

3부_이론의 발달

16. 무섭지 않다고 말해줘요: 통제·숙련 이론과 치료적 평가
17. 상호주관 이론의 도전과 가르침
18. 심리평가가 가르쳐 준 동정심과 단호함
19. 결론: 치료적 평가의 실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