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닫기
무역학개론(제4판)
개정판
무역학개론(제4판)
저자
조영정
역자
-
분야
국제통상/무역
출판사
박영사
발행일
2019.08.25
장정
페이지
474P
판형
크라운판
ISBN
979-11-303-0802-9
부가기호
93320
강의자료다운
색도
정가
29,000원

제4판 2019. 8. 25

중판 2019.02.10

중판 2016. 8. 20
제3판 2015.6.30
중판 2014. 2. 10.
중판 2013. 3. 5.
제2판 2011. 8. 20.
초판 2010. 3. 15.

제4판 머리말

몽테스키외는 그의 저서『법의 정신』에서 상업정신이 평화로 인도한다고 하였다. 임마뉴엘 칸트 또한『영구평화론』에서 영구적으로 평화로운 세 계를 구축하는 데 무역의 역할을 빠뜨리지 않았다. 무역은 이렇게 개인과 국가는 말할 것도 없고 세계 평화에 있어서도 좋은 역할을 한다.  그런데 무역은 평화를 증진시키는  중요한 기능을 할 뿐만 아니라  이와  정반대로 국가간에 다투고 싸우는 데에도 중요한 수단이 된다.

지금 세계는 철학자들의 생각과 반대의 길로 가고 있다. 이러한 가운 데 우리는 무역의 위력을 더 없이 크게 실감하고 있다. 북한의 핵과 미사 일에 맞서 미국이 사용하고 있는 무기가 무역이다. 미국은 유엔을 통하여 북한의 무역을 봉쇄함으로써 핵무기를 가진 북한을 굴복시키려 하고 있다. 또 미국은 무역을 통하여 중국을 길들이고자 하며, 중국 또한 무역을 통하 여 미국에 맞서고 있다. 일본은 수출제한의 완력을 동원하여 한국에 대하 여 지난날 자신들이 행한 잘못과 도덕적인 약점을 덮으려 하고 있다.

국가들이 무역을 국제정치적 목적과 힘의 행사를 위한 목적으로 사용 하는 시대로 들어선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가 지도자들은 나라를 잘 이끌어 나가기 위해 더욱더 무역을 잘 알지 않으면 안 되게 되었다. 국가 를 부국으로 만드는 수단으로서의 무역에 대한 것은 말할 것도 없고 이제 는 국가 간 대결에서 이기기 위해서도 무역에서 충분한 지식을 갖추어야만 하는 시대가 된 것이다. 지금까지는 한국이 무역대국임에도 불구하고 무역 에 대한 지식에서는 그리 넉넉한 편이 아니었다. 무역이 갖는 역할이나 그 중요성에 대하여 올바른 인식을 갖추지 못한 지도자나 정치인들이 적지 않 았다. 오늘날의 사태에 있어서도 무역 관련 지식이 부족하여 국가적 차원에서의 상황  판단과  대처의  미숙함을  드러내고  있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이 기회에 무역에 대한 지식의 중요성을 깨닫고 이 분야의 지식이 확 산 발전되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무역학개론 3판이 나온 이후 다시 시간이 흘렀으므로 그동안의 변화된 현실을 반영하기 위하여 4판을 내게 되었다. 무역학개론은 무역학의 근간 이 되는 줄기에 해당되는 지식을 다루는 책이다. 그러다 보니 지엽적인 지 식을 다루는 각론의 책에 비하여 바뀌는 부분이 많지 않다. 그래서 본 개 정은 일부 내용을 제외하고 주로 통계수치 부분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4판이 나오도록 많은 교수님들께서 본서를 강의교재로 채택해 주셨 다. 본서는 무역학에서 가장 유익하고 중요한 부분을 선별하고 쉽게 설명 하려 노력하였지만, 다른 무역학개론 책에 비하여 넓은 범위를 포괄하고 있으며, 중요한 부분에서는 어려운 내용도 그냥 넘어가지 않고, 또 다른 책에서는 없는 내용도 포함하고 있다. 그래서 처음 출간할 때 본서를 교재 로 하여 강의하실 분이 적으면 어떡하나 하는 염려도 있었지만, 전국의 많 은 교수님들께서 본서를 채택해 주셨다. 이 책으로 강의하시는 교수님은 그만큼 실력과 사명감을 갖추신 분일 수밖에 없다. 이런 분들에게 강의교 재를 제공하는 것이 저자로서는 더 없는 영광으로 생각한다.

끝으로 본서의 출간을 위하여 지원해주시고 애써주신 안상준 대표님, 전채린 과장님, 오치웅 대리님을 비롯한 박영사 여러분들께 감사드린다.


2019년 7월 25일 한강에서

조영정 씀

조 영 정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무역학과(학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무역학과(석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무역학과(박사)

미국 Harvard University 국제무역전문가 과정 수료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및 대학원 강사

국제대학교 무역학과 교수

서경대학교 국제통상학과 교수

KOTRA 아카데미 강사

국가고시 및 자격시험 출제위원

대한상사중재원 중재인

지방행정연수원 국제관계 주임교수

미국 UCLA 객원교수

미국 U.C. Berkeley 객원교수


<저서 및 논문>

「국제경영」(공저), 학현사, 1996.

「국제통상학」, 학현사, 1999.

「국제통상법의 이해」, 무역경영사, 2000.

「무역영어」, 법문사, 2002.

「국제통상론」, 법문사, 2003.

「무역정책론」, 무역경영사, 2009.

「무역학개론」, 박영사, 2010.

「표준 무역영어」, 박영사, 2011.

「국인주의 이론」, 박영사, 2015.

「무역정책」, 박영사, 2016.

「미국의 내셔널리즘」, 사회사상연구원, 2018.

「일본의 내셔널리즘」, 사회사상연구원, 2019.


“수입자유화의 한국수입구조에 대한 영향분석,”「무역학회지」외 수십여 편.

E-mail:  joyzz@daum.net

제1부 무역학 개관
제1장 무역학 개관
제1절 무역학의 기본개념 
제2절 국제경제활동 현황

제2부 국제경제 
제2장 무역이론 
제1절 고전적  무역이론
제2절 헥셔-오린이론
제3절 신무역이론

제3장 무역정책
제3절 무역정책수단
제4절 무역과 경제발전전략

제4장 국제통상환경 
제1절 세계무역기구
제2절 지역경제통합 

제5장 국제통화제도와    국제수지
제1절 국제통화제도   
제2절 국제수지

제6장 국제금융
제1절 외환시장
제2절 국제금융시장  

제7장 국제경영 기초
제1절 국제경영의 기본개념
제2절 기업의 국제화
제3절 국제사업유형 

제8장 해외직접투자와 다국적기업
제1절 해외직접투자 
제2절 다국적기업 

제9장 국제경영환경 
제1절 문화적 환경
제2절 정치적 환경
제3절 경제사회적 환경

제10장 국제경영관리
제1절 국제조직 및 인적자원관리
제2절 국제마케팅관리
제3절 국제재무관리 
제4절 국제생산관리   

제11장 무역관리 기초
제1절 무역제도
제2절 무역의 유형
제3절 무역의 절차
제4절 전자무역

제12장 무역계약 
제1절 무역계약의 개념
제2절 무역계약의 주요 조건

제13장 무역운송과 무역보험
제1절 무역운송
제2절 무역보험

제14장 무역대금결제 
제1절 무역대금결제 
제2절 신 용 장
제3절 무역서류

제15장 무역분쟁해결
제1절 무역클레임
제2절 무역분쟁 해결방법
제3절 상사중재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