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닫기
공업교육론:현대이론과실천
신간
공업교육론:현대이론과실천
저자
안재영
역자
-
분야
교육학
출판사
박영사
발행일
2025.09.23
장정
무선
페이지
284P
판형
크라운판
ISBN
9791172791285
부가기호
93370
강의자료다운
-
색도
1도
정가
22,000원

초판발행 2025. 09. 23

머리말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원조를 받던 나라에서 원조를 하는 나라로 성

장했다. 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가 1960년대 이후에 급속한 경제발전을 하는 데 

인적자원개발이 크게 기여하였고 그 중심에 공업교육이 있었다. 최근에는 산업의 

디지털화를 필두로 신산업??·??신기술의 등장, 인구감소와 지역소멸 등 인구구조 변

화로 인해 교육훈련-일을 연결하는 직업교육이 강조되고 있고, 우리 산업의 핵심

인 공업 분야의 교육, 즉 공업교육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공업은 2차산업을 의미하며 제조업이 대표적이다. 선진국들은 대부분 제조업 

강국이고 이를 기반으로 3차산업과 신산업을 육성한다. 공업은 디지털화, 첨단화, 

글로벌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분야이며 다른 산업과의 융복합도 활발하여 끊임없

이 변화한다. 이러한 공업의 인재양성을 위한 학문인 공업교육도 변화에 발맞춰 

지속적으로 발전해야 한다.

그러나 공업교육 도서는 많지 않고 그마저도 출간된 지 오래되어 최신 내용을 

담지 않고 있다. 저자는 특성화고에서 공업교육을 실천한 교사이자 현재 국책연구

기관에서 공업교육을 연구하는 전문가로서 공업교육 도서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책을 집필하였다. 이 책은 중등 전문교과 공업계열 교사가 되고자 하는 학생들이 

배워야 할 내용을 담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공업계열 교사와 교수, 그리고 공업교육 

연구자에게도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이 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업교육의 기본 이론을 충실히 담았다. 공업교육의 이론은 일반교육학

의 이론을 바탕으로 하며 공업교육의 특색을 반영하여 집필하였다. 이는 일반교육

과 공업교육(직업교육)의 연계를 고려한 것이며 장기적으로 나아가야 할 교육의 방

향이다. 2 공업교육론: 현대 이론과 실천

둘째, 공업교육이 실천되는 교육현장의 실제 사례를 담았다. 공업교육은 중등

교육(특성화고/마이스터고)과 고등교육에서 이루어지지만, 이 책에서는 중등교육의 

사례를 담았다. 

셋째, 공업교육이 교과교육과 직업교육의 특징을 모두 갖추고 있다는 점을 반

영하여 두 가지 요소를 균형 있게 담았다. 이는 공업교육의 글로벌화를 고려한 것

이며, 직업교육이 강조되는 글로벌 트렌드를 반영한 것이다.

넷째, 공업교육뿐만 아니라 다른 전문교과 교육에도 적용할 수 있다. 교과내용

은 다르지만 교과교육학의 이론과 원리는 유사하기 때문이다.

교육은 인간의 삶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모든 사람이 교육을 받지만, 

중요한 것은 어떤 점수를 받느냐가 아니라, 어떤 교육을 받느냐이다. 다양한 교과

가 존재하지만, 공업교육과 같은 전문교과는 보통교과 위주의 우리나라 중등교육

에 다양성을 부여하고, 학생의 적성과 소질에 맞춘 교육을 제공하며, 진로 선택의 

폭을 넓히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학생은 장기적으로 자신의 직업을 찾

고, 우리가 꿈꾸는 자아실현의 교육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공업교육과 같

은 전문교과의 가치는 높으며, 이를 위해 전문교과 교사 양성과 직업교육 연구에 

이바지하고 싶은 것이 저자의 꿈이다.

끝으로 이 책이 출간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신 박영스토리 관계자 여러분께 감

사의 마음을 전한다. 

저자 안재영

저자 소개

안재영은 충남대학교 공업계열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특성화고 교사로 15년을 재직하였다. 교사로 공업

교육을 몸소 실천하면서 동 대학의 일반대학원 공업기술교육학과에서 공업교육 전공으로 석ㆍ박사학위

를 취득하였다. 현재 국무총리 산하 정부출연 연구기관인 한국직업능력연구원에서 선임연구위원으로 재

직하고 있으며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겸임교수로 직업교육훈련정책론을 가르치고 있다.

대학에서 공학과 교육학을, 대학원에서 공업교육을 배웠고, 학교 현장에서 공업교육을 실천하였으며, 

국책연구소에서 직업교육을 연구하는 현장 밀착형 연구자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공업기술교육, 직업교

육(TVET), 국가인적자원개발, 산학협력, 현장학습(도제교육), 직업교육과정, 교원 전문성, 이공계고등교육

이다. 9편의 저서와 40여 편의 학술지 논문을 집필하였다.

주요 저서

The Palgrave Handbook of Policy Transfer in Vocational Education and Beyond(공저, Palgrave Macmillan, 

2025)

한국과학기술정책: 분석과 혁신(공저, 충남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ㆍ임마누엘, 2022)

국가직무능력표준 NCS 기반 교수법과 실제(공저, 박영스토리, 2022)

모든 국민의 안정된 삶을 위한 미래인재전략(공저, 박영사, 2021)

팬데믹 위기에 대응하는 직업교육훈련(공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20)

한국 제4차산업혁명 정책: 평가와 혁신(공저, 충남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ㆍ임마누엘, 2020)

고등학교 교과서: 공업일반, 공업영어, 자동차기관(공저, 2014)

주요 경력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도제학교지원센터장(2021), 직업계고교육과정학점제연구센터장(2025~)

대한공업교육학회 편집위원장(2024~), 이사(2015~)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위원장(2025), 이사(2021~)

한국직업교육학회 이사(2019~)

한국직업자격학회 이사(2017~2020)

교육부 교육과정심의회 위원(2016~2023)

고용노동부 NCS 개발 심의위원(2017)

교육부 시도교육청 평가위원회 위원(2022)

교육부 교과서 정책자문단(2022~2024)

국가교육위원회 정책연구심의위원회 위원(2024)

국가교육위원회 국가교육과정 모니터링단(2025~2026)

중소벤처기업부 기술사관 육성사업 / 중소기업 계약학과 운영위원회 위원(2025~)

교원자격증(중등교사, 기계ㆍ금속, 화공, 수학)

국가기술자격(기계가공기능장, 수치제어선반기능사 등)

Ⅰ 공업교육의 개념과 역사

01 공업교육의 개념 ....................................................................13

가. 교육의 개념......................................................................... 13

나. 공업교육의 정의.................................................................. 15

다. 공업교육 유사 용어.............................................................. 20

라. 공업교육의 필요성(효과)...................................................... 30

02 공업교육의 역사와 정책......................................................... 33

가. 공업교육의 역사.................................................................. 33

나. 공업교육 정책 및 공업계고등학교의 역사.............................. 38

다. 미래 공업교육의 방향.......................................................... 47

II 공업 교육과정

01 공업 교육과정의 개념과 변천................................................. 53

가. 교육과정의 개념.................................................................. 53

나. 공업 교육과정의 개념과 특징................................................ 57

다. 공업 교육과정의 변천.......................................................... 61

목차4 공업교육론: 현대 이론과 실천

02 공업 교육과정 개발................................................................ 70

가. 교육과정 설계 모형.............................................................. 70

나. 요구분석과 교육목표 설정.................................................... 72

다. 교육내용 선정..................................................................... 75

라. 교육내용 조직..................................................................... 81

03 공업 교육과정의 실제............................................................. 84

가. 공업 교육과정 개발  ·  운영  ·  평가 절차.................................... 84

나. 공업 교육과정 개발  ·  운영 사례............................................. 88

다. 국가 교육과정(2022 개정 교육과정)...................................... 96

III 공업 교수·학습과 실기

01 공업 교수  ·  학습의 개념과 특징............................................ 107

가. 교수  ·  학습의 이해............................................................. 107

나. 공업 교수  ·  학습의 특징...................................................... 113

02 공업 교수  ·  학습의 과정........................................................ 116

가. 계획 단계......................................................................... 116

나. 실행 단계......................................................................... 121

다. 평가 단계......................................................................... 124

03 공업 교수  ·  학습 방법과 교수매체........................................ 125

가. 공업 교수  ·  학습 방법......................................................... 125

나. 공업 교수매체................................................................... 133

04 실기교육과 실습장 관리....................................................... 137

가. 실기교육과 실습................................................................ 137

나. 실기교육 방법................................................................... 140

다. 실습장 관리...................................................................... 144 목차 5

05 공업 교수  ·  학습의 실제....................................................... 148

가. 강의법의 교수  ·  학습 지도안............................................... 148

나. 협동학습의 교수  ·  학습 지도안............................................ 151

다. 토의  ·  토론학습의 교수  ·  학습 지도안................................... 155

라. 프로젝트법의 교수  ·  학습 지도안......................................... 160

IV 공업 교육평가

01 공업 교육평가의 개념과 특징............................................... 171

가. 교육평가의 개념과 종류..................................................... 171

나. 공업 교육평가의 특징........................................................ 174

02 교수  ·  학습 평가................................................................... 177

가. 교수  ·  학습 평가의 종류..................................................... 177

나. 문항 제작......................................................................... 182

03 수행평가와 실기평가............................................................ 185

가. 수행평가........................................................................... 186

나. 실기평가........................................................................... 194

04 공업 교육평가의 실제........................................................... 198

가. 성취평가제........................................................................ 198

나. 평가 계획과 성취기준별 성취수준 작성............................... 203

다. 학습 영역별 성취수준과 최소 성취수준 작성........................ 209

라. 평가도구 개발................................................................... 2166 공업교육론: 현대 이론과 실천

V 산학협력과 직업  ·  진로지도

01 산학협력............................................................................... 227

가. 산학협력의 개념................................................................ 227

나. 산학협력 유형................................................................... 230

다. 산학협력 선도모델: 도제교육............................................. 235

02 직업  ·  진로지도.................................................................... 240

가. 직업  ·  진로지도의 개념과 활동............................................ 240

나. 성장경로........................................................................... 246

03 산학협력과 직업  ·  진로지도의 실제...................................... 251

가. 현장실습의 개념과 유형..................................................... 251

나. 산업체 채용약정형 현장실습 절차....................................... 253

참고문헌....................................................................................... 272

찾아보기....................................................................................... 278

불법복제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