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닫기
특수아동의 이해(제3판)
개정판
특수아동의 이해(제3판)
저자
박현주
역자
-
분야
교육학
출판사
박영스토리
발행일
2025.09.10
장정
무선
페이지
248P
판형
크라운판
ISBN
979-11-7279-161-2
부가기호
93370
강의자료다운
-
색도
2도
정가
17,000원

제3판발행 2025.09.10

중판발행 2023.03.31

제2판발행 2022.08.10

초판발행 2020.03.15


짧지 않은 시간 동안 대학 강단에서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특수교육학개론??을 강의해 오면서, 어느 순간부터 저만의 강의 노트가 필요하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그렇게 6년 전, 보다 효율적인 강의 운영과 이제 막 특수교육에 입문하는 학생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이 교재를 처음 제작하게 되었습니다.

당시에도 이미 훌륭한 특수교육학 관련 개론서들이 많이 출간되어 있었지만, 주 2시간이라는 한정된 수업 시간 안에 특수교육의 주요 개념과 내용을 모두 전달하기에는 다소 무거운 측면이 있었습니다. 특히 일반교사 자격을 준비하는 학생들에게는 특수교육 관련 용어나 이론이 낯설고 어렵게 느껴지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러한 현실적인 한계를 반영하여, 이 교재는 학문적인 깊이를 추구하기보다는 학생들의 필기 부담을 줄이고, 핵심 개념을 명료하고 간결하게 전달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이번 제3판에서는 국내외 특수교육 관련 법과 정책의 변화는 물론, 교수 전략 측면에서도 구체적인 예시들을 보완하였습니다. 아울러 그동안 별도의 자료 활용을 통해 다루었던 ‘특수교육의 개념’을 챕터로 추가하여 ‘정상화’ 중심으로 다루었던 과거와 달리 오늘날에는 학습자의 다양성과 권리를 존중하는 ‘포용교육’으로 확장되고 있음을 다루었습니다. 이를 통해 예비교사들이 특수교육을 단지 장애 아동만을 위한 교육이 아니라, 모든 아동이 존중받는 교육 환경을 만들어 가기 위한 실천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또한 최근에는 저학년 학생들도 수강하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용어나 개념을 보다 쉽게 설명하고 풀어쓰는 데에도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특히 새롭게 포함된 ‘발달지체’ 챕터에서는 조기중재의 중요성을 실제 사례와 함께 다루어, 교육학적 배경이 없는 학생들도 조기개입의 필요성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하였습니다.

그리고 본 교재에서는 ?아동복지법? 제3조 및 국제 아동권리협약(UNCRC)의 기준에 따라, ‘아동’을 만 18세 미만의 모든 사람으로 정의합니다. 이에 따라 교재 전반에서 학령기 아동은 물론, 유아기 및 청소년기 초기의 특수교육 대상자를 모두 포괄하는 용어로 ‘아동’을 사용하였습니다. 일부 내용에서는 맥락에 따라 ‘학생’, ‘유아’ 등의 용어가 병행될 수 있으나, 이들 모두는 ‘아동’의 범주 안에 포함된다는 점을 전제로 합니다.


저는 특수교육이 더 이상 특정 분야 전공자만의 영역이 아니라, 우리 모두가 함께 고민하고 실천해야 할 ‘현장의 언어’가 되어야 한다고 믿습니다. 점점 더 많은 특수아동이 일반 학교에 통합되어 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오늘날, 이 교재가 일반교사, 특수교사, 상담교사, 보건교사, 영양교사 등과 같은 다양한 교육전문가들이 특수아동을 이해하고 적절히 지원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가 되기를 기대합니다.

끝으로, 원고 작성 과정에서 참고문헌의 저자들과 출판사에 일일이 사전 양해를 구하지 못한 점에 대해 넓은 이해를 부탁드립니다. 이 책이 세상에 나오기까지 보이지 않는 곳에서 애써 주신 출판사 관계자 여러분께도 진심 어린 감사를 전합니다.


2025년 9월

박현주

박현주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특수교육 전공(교육학박사)



제1장

 특수교육의 개념





제2장

 특수아동의 개념





제3장

 시각장애



1. 시각장애의 정의 및 분류 27

2. 시각장애의 원인 및 판별 29

3. 시각장애 아동의 특성 35

4. 시각장애 아동 교육지원 37



제4장

 청각장애



1. 청각장애의 정의 및 분류 45

2. 청각장애의 원인 및 판별 47

3. 청각장애 아동의 특성 51

4. 청각장애 아동 교육지원 55



제5장

 지체 및 건강장애



1. 지체 및 건강장애의 정의 65

2. 지체 및 건강장애의 원인 66

3. 지체 및 건강장애 아동의 특성 73

4. 지체 및 건강장애 아동 교육지원 75



제6장

 지적장애



1. 지적장애의 정의 및 분류 85

2. 지적장애의 원인 89

3. 지적장애 아동의 특성 91

4. 지적장애 아동 교육지원 97



제7장

 자폐범주성장애



1. 자폐범주성장애의 정의 및 판별 107

2. 자폐범주성장애의 원인 111

3.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특성 112

4. 자폐범주성장애 아동 교육지원 115




제8장

 정서 및 행동장애



1. 정서·행동장애의 정의 및 판별 127

2. 정서·행동장애의 원인 130

3. 정서·행동장애 아동의 특성 133

4. 정서·행동장애 아동 교육지원 137



제9장

 의사소통장애



1. 의사소통장애의 정의 및 분류 149

2. 의사소통장애의 원인 154

3. 의사소통장애 아동의 특성 155

4. 의사소통장애 아동 교육지원 157



제10장

 학습장애



1. 학습장애의 정의 및 판별 165

2. 학습장애의 원인 171

3. 학습장애 아동의 특성 172

4. 학습장애 아동 교육지원 177



제11장

 영재아동



1. 영재의 정의 185

2. 영재의 판별 및 분류 188

3. 영재성의 기원 191

4. 영재아동의 특성 192

5. 영재아동 교육지원 195



제12장

 발달지체



1. 발달지체의 정의 205

2. 발달지체의 진단 및 평가 208

3. 발달지체의 분류 및 특성 209

4. 발달지체 아동 교육 지원 215



제13장

 개별화교육계획의 운영



1. 개별화교육계획의 정의 225

2. 개별화교육계획 수립의 필요성 225

3. 개별화교육계획의 법적 근거 226

4. 개별화교육지원팀의 구성 및 운영 228

5. 개별화교육계획 구성요소 230


참고문헌  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