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판 2025.07.20
중판2024.07.15
중판2024.03.15
중판 2022.10.20
제4판 2022.02.20
중판 2021.01.19
제3판 2020.02.20
중판 2018.10.30
개정판 2017.09.20
초판 2016.09.10
제5판에 부쳐
이번 개정에서는 본서를 수업에 활용하는 분들의 제안을 받아 제6장을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교수학습법으로 바꾸었다. 현장훈련(OJT)에 집중되었던 종전의 내용을 기업내 인적자원개발에서 주로 활용되는 강의법, 토의법, PBL 등으로 확장한 것이다. 학습을 촉진하는 교수자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기술하는 데 역점을 두었다. 그리고 최근의 자료를 기반으로 인용된 관련 법령과 통계자료를 수정?보완하였다. 수정에 참여해 주신 오명진 선생님께 감사드리고, 박영사 김선민 이사님께 감사드린다.
2025. 7.
임 세 영
제1장
인적자원개발의 개념
1. 인적자원개발의 개념 정의와 해석 5
1.1 인적자원의 주인으로서 개인 6
1.2 인적자원개발의 주체는 개인, 조직, 국가 7
1.3 형식적 일반교육은 인적자원개발에 포함되지 않는다. 11
1.4 역량과 전문성 개념 12
2. 인적자원개발 개념의 기원 15
3. 인적자원개발의 인접개념 18
3.1 인적자본과 인적자원 18
3.2 숙련형성과 직업교육 20
3.3 산업인력개발 21
3.4 직업기술교육훈련 21
3.5 직업능력개발훈련 22
4. 종합 정리 23
제2장
일하는 삶의 여정과 평생학습
1. 일하는 삶의 여정으로서 경력 29
2. 평생학습의 개념 32
3. 평생학습의 범주와 관점 35
3.1 지식경제론과 평생학습 36
3.2 개인 중심 평생학습론 38
4. 종합 정리 46
제3장
학습의 계획과 실행
1. 학습하는 방법의 학습 52
2. 인지와 초인지 56
3. 인지 전략 적용 자기조절학습 59
3.1 목표설정 및 계획수립 60
3.2 학습활동의 실행 62
3.3 관찰과 성찰 66
3.4 평가 69
4. 종합 정리 69
제4장
기업인적자원개발의 체계
1. 인적자원개발 부서의 조직 내 위상과 과업 74
2. 개인의 훈련과 개발 77
3. 경력개발 79
4. 조직개발 84
5. 기업의 성과지원을 위한 전략적 인적자원개발 87
6. 종합 정리 89
제5장
교수체제개발 모형에 따른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
1. 분석 95
2. 설계 97
3. 개발 101
4. 실행 102
5. 평가 105
6. 종합 정리 108
제6장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교수·학습법
1. 강의법 114
2. 토의법 118
3. 프로젝트기반학습 120
4. 현장훈련 125
5. 실행학습 128
6. 종합 정리 133
제7장
21세기의 국가인적자원개발
1. 국가인적자원개발의 유형 141
2. 대한민국 국가인적자원개발의 헌법적 기초 145
3. 국가인적자원개발의 영역과 기능 147
3.1 인적자원의 형성 148
3.2 인적자원의 배분 152
3.3 인적자원의 활용 153
3.4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사회적 자본 155
4. 국가인적자원개발 관련법 156
4.1 산업교육진흥및산학연협력촉진에 관한 법률 157
4.2 진로교육법 158
5. 종합 정리 160
제8장
직업능력개발훈련
1. 직업능력개발훈련의 개념 168
2. 교육과 훈련의 구별 172
3. 직업능력개발훈련 대상의 변화 174
4. 국가자격제도와 직무능력표준 177
5. 직업능력개발의 법적 기초와 관련 사업 181
5.1 고용정책기본법 181
5.2 직업능력개발사업 183
6. 종합 정리 188
제9장
인적자원개발을 위해 일하는 사람들
1. 평생교육사 194
2. 인적자원개발담당자 199
3.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203
4. 종합 정리 209
참고문헌 211
찾아보기 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