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닫기
블록체인과 법
신간
블록체인과 법
저자
손경한 편저
역자
-
분야
법학 ▷ 법학일반
출판사
박영사
발행일
2019.09.03
개정 출간예정일
페이지
552P
판형
크라운판
ISBN
979-11-303-3472-1
부가기호
93360
강의자료다운
-
정가
30,000원

★ 도서소개 영상보기 


크립토법Cryptolaw의 정립을 기다리며 블록체인 혁명Blockchain Revolution은 이미 시작되었다. 우리가 먹는 햄버거에 들어있는 쇠고기가 언제, 어느 나라에서 온 것인지, 검역은 제대로 거쳤는지를 바로 알 수 있는 세상, 500만 원을 외국에 송금하려면 내던 25만 원가량의 수수료를 더 이상 내지 않아도 되는 세상, 내가 만든 음악의 청취 대가를 그 청취자로부터 바로 받을 수 있는 세상, 내가 병원에서 받은 의료 기록을 언제든 열람하고 심지어는 이 기록을 대가를 받고 팔 수 있는 세상, 내가 해외에 대량으로 주문한 상품이 선적·배송·통관 전 과정을 블록체인에 기록, 실시간 수입 신고로 물류비용과 시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세상이 오고 있다. 1세대 디지털 혁명이 정보의 인터넷 Internet of information을 가져다주었다면 블록체인으로 무장한 2세대 디지털 혁명은 가치의 인터넷 Internet of value을 제공해 주고 있다. 이제 우리는 인터넷상에서 정보뿐 아니라 가치도 교환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인류역사에 있어서 최초로 신뢰할 수 있는 제3자의 개입 없이 개인 간에 P2P 방식으로 가치를 교환할 수 있는 진정한 자생적 디지털 매체가 등장한 것이다.

2018년 초 1 비트코인당 18,000불까지 치솟았던 비트코인의 가격은 새로운 고점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국가의 강제통용력이 아니라 인간이 고안한 화폐가 지난 10년 동안 꾸준히 통용력을 획득하여 이제 부동의 가치교환수단으로 자리 잡게 된 것이다. 초기의 블록체인 혁명은 핀테크를 비롯한 금융산업에 큰 변화를 가지고 올 것이다. 그러나 블록체인 혁명이 거기에 그친다면 이를 혁명이라 부를 수 없다. 블록체인은 우리 생활 구석구석을 변화시키고 있다. 우리 일생에 있어 필요한 제반 증명, 예컨대 출생 증명, 사망 증명, 소유권 증명, 질병 증명 등을 블록체인 기록이 갈음하며 이러한 기록을 기반으로 국민 모두에 대한 복지의 부여, 보험금 청구, 심지어는 선거에서 투표를 하는 데에도 블록체인이 쓰이기 시작하였다. 

또한 블록체인은 우리 사회의 민주화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해 주고 있다. 먼저 블록체인 시스템에 있어서는 중앙 서버가 필요 없고 신뢰할 수 있는 제3자 기관이 개입하지 않아도 당사자 간의 신뢰에 기초하여 직접 거래를 할 수 있고 거래 승인권한과 데이터를 공유하여 탈중앙적 의사결정이 가능한 민주적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블록체인 시스템에 있어서는 접속의 자유가 보장될 뿐 아니라, 모든 참여자들이 데이터를 공유하고 그 위변조를 불가능에 가깝게 함으로써 투명성과 신뢰성을 가진다. 또한 블록체인의 투명성으로 인하여 특정 권력이나 집단에 종속되지 않고 참여자간에 견제 및 균형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블록체인에 우리에게 한층 공양된 민주사회를 실현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으로 확신한다.

블록체인이 가져 오는 패러다임의 전환은 우리에게 심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며 우리를 승자와 패자로 나눌 것이다. 블록체인은 우리에게 수많은 기회를 제공하지만 동시에 기존의 질서를 뒤흔듦으로써 우리를 위험에 빠뜨릴 수도 있다. 블록체인 기술의 활용을 용이하게 하는 한편, 암호화폐거래소 해킹과 암호화폐를 이용한 불법자금세탁 등 블록체인이 가져올 해악을 미연에 예방할 필요가 있다. 이처럼 블록체인의 장점을 확대하고 그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이제는 그에 관한 법규범을 정립할 때가 되었다. 이 책은 그러한 목적에서 집필되었다. 블록체인의 등장으로 혼란스러워 하는 정부, 기업 및 개인에게 블록체인의 법적 함의가 무엇이고 현행 법률에 따라 블록체인이 어떻게 해석, 처리되며 바람직한 미래의 법제는 어떠하여야 하는가를 모색하였다.

이 책에서는 블록체인을 잘 모르는 일반인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평이하게 기술하되 블록체인의 법적 문제를 체계적이고 망라적으로 설명하려고 노력하였다. 이해를 편의를 위하여 법적 논의에 앞서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설명을 자세히 하였고 말미에는 블록체인 용어 사전을 제작하여 붙였다. 블록체인의 법적 문제를 공부하려는 사람뿐 아니라 실제 블록체인 업계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도 유용한 참고 서적이 되도록 꾸몄다.

이 책은 단순히 블록체인에 관한 법적 문제의 검토에 그치지 않고 매크로한 접근을 시도하였다. 즉 블록체인이 우리 사회에 미칠 사회학적 파장을 검토하고 블록체인의 미래를 예상해 보았다. 구체적으로는 민주적이고 세계적인 블록체인 거버넌스의 모색, 블록체인으로 강화될 복지사회를 꿈꾸어 보았다. 블록체인의 법적 문제일반에 관하여는 암호화폐, 스마트계약, 신규토큰공모 ICO 등 현재 많이 논의되고, 사용되는 블록체인의 대표적인 제도를 검토하고 그 활용을 도모하였다. 

나아가 블록체인의 개별적 법률문제를 그 주제별로, 산업별로 심도 있게 다루었다. 즉 블록체인에서의 프라이버시 보호, 블록체인 지식재산권의 보호와 거래, 블록체인에 대한 합리적인 과세 방안 및 블록체인에서 발생하는 분쟁의 신속하고도 의로운 해결 방안의 모색을 시도하였다. 블록체인 산업의 법적 문제를 블록체인 금융업, 블록체인 보험업, 블록체인 의료법 등 개별 산업 별로 도전적으로 검토하였다. 

이 책의 발간을 위하여 2018. 1. 블록체인과 법 포럼이 조직되었다. 블록체인에 관한 기술전문가, 사업가, 정보학전문가, IT법전문가, 상사법전문가, 지식재산법 전문가들이 모여 집단 지성을 발휘하여 매월 블록체인에 관하여 다면적인 접근과 토론을 하였다. 이른 아침 포럼에 참석하여 블록체인의 법적 쟁점에 관하여 자신의 분야에 보는 관점을 제시하여 주신 공동연구자분들에게 깊은 감사를 드린다. 공동연구 참여한 분들에 대한 고마움을 표하기 위하여 그 명단을 이 책의 말미에 첨부하였다.

이 책의 출간에는 포럼의 간사로 활동한 인하대학교 로스쿨 김예지 양과 박도윤 양의 도움이 컸음을 밝히고자 한다. 또한 조찬회의 장소를 제공해 준 한국지식재산연구원과 책의 출간을 쾌락하여 준 박영사 관계자분들에게도 감사드린다. 이 책이 4차 산업혁명의 와중에서 이제 막 걸음마를 떼기 시작한 블록체인 산업과 나아가 새로운 영역을 구축할 크립편토법 Cryptolaw의 발전에 일조가 되기를 기원한다.


2019. 9.

한범헌(한凡軒)에서

편저자 손 경 한

편저자 및 공동저자 약력

손경한 ( 孫京漢 / Kyung-Han Sohn )
[학력 및 경력]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및 동대학원 졸업 (법학석사), 미국 Pennsylvania 법대 박사(SJD)과정 수료, 독일 Muenchen 소재 Max Planck Institute 연구과정수료,  (법학박사), 법무법인 아람 대표변호사, 성균관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공정거래위원회 약관심사자문위원, (현) 블록체인 과 법 포럼 회장, (사)기술과법연구소 이사장, 법무법인 화현 변호사, 중재인(KCAB, ICC, NAF)
[논문 및 저서] 블록체인 의료의 법적 문제(2019, 공저), 신규코인공모(ICO)의 법적 쟁점(2018, 공저) 외 다수

김대호 ( 金大浩 / Daeho Kim )
[학력 및 경력]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졸업 및 동대학원 졸업(언론학 석사), 영국 University of Birmingham 졸업(언론학 박사) (현) 인하대학교 교수(언론정보학과)
[논문 및 저서] Media Governance in Korea 1980-2017 (2018),  인공지능거버넌스 (2018) 외 다수

김병일 (金炳日 / Byung-Il Kim)
[학력 및 경력] 고려대 정경대학 경제학과 졸업, 서울대 행정대학원 행정학과 (행정학 석사), 일본 도쿄대 대학원 법학정치학연구과(법학석사), 경희대 대학원 법학과(법학 박사), 제27회 행정고시 합격, 총무처 수습ㆍ국세청 및 재무부 행정사무관, 재정경제원(부) 행정사무관 및 서기관, 국무총리실 조세심판원 비상임심판관 (현) 강남대학교 교수(경제세무학과), 기획재정부 세제발전심의회 위원
[논문 및 저서] ICO(Initial Coin Offerings)에 대한 과세문제(2019), 가상통화 과세를 위한 입법론적 고찰(2018) 외 다수

김성훈 (金成勳 / Seong-Hoon Kim)
[학력 및 경력] 연세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사법연수원 제43기 수료. (현) 법무법인 화현 변호사

박선종 ( 朴善鍾, Sun-Jong Park )
[학력 및 경력] 한국외국어대학교 졸업, 고려대학교 법무대학원 금융법학과 졸업(법학석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졸업(법학박사), BS투자증권 상무, 유진투자선물 전무,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금융법연구센터 연구위원, 금융위원회 자체규제심사위원 (현) 숭실대학교 교수(법학과)
[논문 및 저서] 가상화폐의 법적 개념과 지위(2019), 블록체인과 국내 금융제도에 관한 법적 검토(2018) 외 다수

박종서 ( 朴鍾曙, Jong Sou Park )
[학력 및 경력] 한국항공대학교 통신공학과 졸업, 미국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졸업(공학석사), 미국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졸업(공학박사), 미국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조교수 (현) 한국항공대학교 교수(소프트웨어학과)
[논문, 저서 및 강의] 네트웍보안 교재, 네트웍보안 관련 SCI급 논문 30여편, 블록체인 NCS 집필위원; 정보산업연합회, 한국정보기술연구원, KT, 블록체인 캐피탈리스트, 월튼블록체인연구교육원, 한국표준협회, 고양시, 고양상공회의소, 한국통신학회, 데이터베이스연구회, NIA, TTA, 동국대, 중앙대, 한동대, 고려대, 포스코인터내셔널, 매일경제 CEO과정, 미얀마, 스리랑카, 베트남등 국내외 기관의 요청으로 4차산업과 블록체인 기술관련 교육 100여회 강의

박진아 ( 朴眞雅 / Jina Park )
[학력 및 경력] 이화여대 법과대학 및 동대학원 졸업(법학석사 및 박사), 미국 Temple University School of Law 졸업(LL.M.& SJD),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현) (사)기술과법연구소 소장
[논문 및 저서] 블록체인과 개인정보보호-블록체인의 매직(Masic)과 법적 도전(2018), 고아저작물 이용허락제도의 법적 쟁점(2018) 외 IT법 관련 논문 다수

신용우 (申容雨 / Yong Woo Shin )
[학력 및 경력] 포항공과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졸업 및 동대학원 졸업(공학석사), 성균관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졸업, 법무법인 민 변호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행정사무관 (현) 변호사,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논문 및 저서] 블록체인 기술 현황 및 산업 발전을 위한 향후 과제(2018)

심현주( 沈賢妵 / HyunJoo Shim )
[학력 및 경력] 가톨릭대학교 법학과 졸업, 성균관대학교 대학원(법학석사, 법학박사), 정보통신산업진흥원 SW 제도개선팀 책임연구원, (사)기술과법연구소 연구원 (현) 한국지식재산연구원 선임연구원
[논문 및 저서] 데이터의 부정경쟁 유형으로의 보호에 관한 소고- 일본의 부정경쟁방지법 개정을 중심으로 - (2018, 공저), 노하우계약에 관한 법적 고찰(2015) 외 다수

오윤경 ( 吳允京 / Yun-Kyung O )
[학력 및 경력] 고려대학교 법학과 졸업, 사법연수원 제30기 수료, 미국 The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of Law (IP Course) (L.L.M.), 서울체신청 정보통신국 고문변호사, 국무총리행정심판위원회 심판위원, 국회입법지원위원(지적재산권분야), 법제처 법령해석심의위원회 위원 (현) 법무법인 화현 파트너변호사

유영무 ( 劉泳武 / Youngmoo Lew ) 
[학력 및 경력] 서울대학교 전기공학부 졸업, 사법연수원 제44기 수료 (현) 법률사무소 조인 대표변호사
[논문 및 저서] 드론 산업과 법적 이슈 - 최근 제·개정 및 사례를 중심으로 - (2017)

이규옥 ( 李圭玉 / Kyu Ok Lee )
[학력 및 경력] 성균관대학교 법학과 졸업 및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교 법학과(법학석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법학박사) (현) 성균관 법학연구원 선임연구원
[논문 및 저서] 블록체인 기술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에 관한 법적 연구(2019), 블록체인을 활용한 ICO의 이해와 금융법상 쟁점(2017, 공저), 디지털 포렌식과 사고대응(2018, 공역)

정해남 ( 鄭海南 / Jung Hae Nam )
[학력 및 경력]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및 동대학원 졸업(법학석사), 미국 Southern Methodist University Dedman School of Law 졸업 (LL.M.) 사법연수원 12기 수료, 법무법인 민주 대표변호사, 수원지방법원 부장판사, 헌법재판소 사무차장 (현) 변호사,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 상임위원

한종규 ( 韓宗圭 / Jong Kyu Han )
[학력 및 경력] 성균관대 법과대학 졸업, 미국 Boston Univ. 로스쿨(금융법석사), 성균관대 대학원(법학박사), 성균관대 법학연구소 선임연구원, 방위사업청 무기체계계약부, 국제계약부 자문위원, 미국 뉴욕주 변호사 (현) 순천대학교 교수(법학전공 상사법)
[논문 및 저서]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계약의 법적 쟁점 연구 – 국제사법 쟁점을 중심으로(2018), 인도 합작투자의 법적 문제 연구(2018, 공저) 외 다수

제 1 장 블록체인에 대한 이해 / 1

| 제 1 절 | 블록체인이란 무엇인가 / 3

Ⅰ. 서론 / 3

Ⅱ. 사토시 나카모토의 꿈과 그 실현수단 / 4

Ⅲ. 블록체인 기술의 구성요소 / 8

Ⅳ. 블록체인의 특성과 구별개념 / 22

Ⅴ. 결론 / 34

| 제 2 절 | 블록체인 기술의 미래 / 53

Ⅰ. 현재의 블록체인 기술의 한계 / 53

Ⅱ. 블록체인 기술의 역사적 측면의 지속가능성 / 57

Ⅲ. 블록체인 기술의 경제학적 측면의 지속가능성 / 62

Ⅳ. 연합학습Federated Learning에 의한 블록체인과 인공지능의 융합 / 63

| 제 3 절 | 블록체인 거버넌스 / 69

Ⅰ. 서론 / 69

Ⅱ. 디지털 거버넌스 / 71

Ⅲ. 블록체인 공공 정책 / 76

Ⅳ. 블록체인 거버넌스의 방향 / 79

Ⅴ. 결론 / 87

| 제 4 절 | 블록체인과 복지 / 91

Ⅰ. 서론 / 91

Ⅱ. 블록체인 복지의 등장 / 92

Ⅲ. 블록체인 복지의 개념과 현황 / 94

Ⅳ. 법적 쟁점 1: 사회복지법제와 블록체인 / 101

Ⅴ. 법적 쟁점 2: 복지 코인 / 108

Ⅵ. 블록체인 복지 행정의 사법적 통제가능성 / 111

Ⅶ. 결론 / 115


제 2 장 블록체인의 법적 문제 일반 / 125

| 제 5 절 | 암호화폐와 법 / 127

Ⅰ. 서론 / 127

Ⅱ. 암호화폐의 법적 개념 / 129

Ⅲ. 암호화폐의 지위 / 136

Ⅳ. 결론 / 140

| 제 6 절 | 스마트계약 / 145

Ⅰ. 서론 / 145

Ⅱ. 스마트계약과 블록체인 / 146

Ⅲ. 스마트계약의 특성 / 152

Ⅳ. 스마트계약에 관한 입법 동향 / 156

Ⅴ. 스마트계약의 법적 문제점 / 157

Ⅵ. 결론 / 164

| 제 7 절 | 블록체인과 전자거래법 / 171

Ⅰ. 서론 / 171

Ⅱ. 전자상거래 관련법의 적용 / 172

Ⅲ. 전자금융거래법의 적용 / 183

Ⅳ. 전자어음법의 적용 / 187

Ⅴ. 결론 / 193

| 제 8 절 | 신규코인공모(ICO)와 법 / 201

Ⅰ. 서론 - 글로벌 신규코인공모(ICO)의 현황 / 201

Ⅱ. ICO의 개념과 절차 / 202

Ⅲ. ICO의 유형과 법적 성격 / 209

Ⅳ. ICO에 대한 국내에서의 규제 / 216

Ⅴ. 결론 / 219


제 3 장 블록체인의 개별적 법률 문제 / 229

| 제 9 절 | 블록체인과 프라이버시 / 231

Ⅰ. 서론 / 231

Ⅱ. 블록체인과 프라이버시 간의 충돌 / 232

Ⅲ. 블록체인과 개인정보의 파기·삭제 / 234

Ⅳ. 블록체인과 권리침해정보 삭제·임시조치 / 237

Ⅴ. 결론 - 가능한 대안 / 239

| 제 10 절 | 블록체인과 데이터 관리 / 243

Ⅰ. 서론 / 243

Ⅱ. 블록체인과 개인데이터의 개인주도적 관리 / 244

Ⅲ. 블록체인과 개인데이터법제 동향 / 250

Ⅳ. 블록체인과 개인데이터법제의 변용 / 259

Ⅴ. 결론 / 264

| 제 11 절 | 블록체인과 지식재산권 / 271

Ⅰ. 서론 / 271

Ⅱ. 지식재산의 특징과 법적 규제 / 272

Ⅲ. 지식재산 분야에서 블록체인의 활용 가능성 / 278

Ⅳ. 결론 – 향후 과제 / 290

| 제 12 절 | 블록체인과 과세 / 299

Ⅰ. 서론 / 299

Ⅱ. 암호화폐에 대한 과세 일반 / 301

Ⅲ. 암호화폐 소득에 대한 소득세 과세 / 309

Ⅳ. 암호화폐 거래에 대한 부가가치세 과세 / 312

Ⅴ. 암호화폐 거래에 따른 양도소득세 과세 / 317

Ⅵ. 결론 / 330

| 제 13 절 | 블록체인 분쟁의 해결 / 343

Ⅰ. 서론 / 343

Ⅱ. 블록체인분쟁의 유형 / 344

Ⅲ. 블록체인 소송 / 345

Ⅳ. 암호화폐에 대한 강제집행 / 352

Ⅴ. 블록체인분쟁의 재판외 분쟁 해결 / 354

Ⅵ. 국제적 블록체인분쟁의 해결 / 358

Ⅶ. 결론 / 364


제 4 장 블록체인산업과 법 / 369

| 제 14 절 | 블록체인 금융과 법 / 371

Ⅰ. 서론 / 371

Ⅱ. 블록체인과 국내의 금융제도 / 372

Ⅲ. 블록체인과 국내 금융제도의 조화 / 380

Ⅳ. 블록체인 금융 사례 / 384

Ⅴ. 결론 / 389

| 제 15 절 | 블록체인 보험과 법 / 395

Ⅰ. 서론 / 395

Ⅱ. 블록체인 기술의 보험산업에의 활용 가능성 / 397

Ⅲ. 블록체인 보험계약 / 407

Ⅳ. 블록체인 보험 플랫폼 제공자의 책임 / 412

Ⅴ. 블록체인 보험의 개별적 법적 문제 / 415

Ⅵ. 정책적 논의 / 422

Ⅶ. 결론 / 427

| 제 16 절 | 블록체인 의료와 법 / 435

Ⅰ. 서론 / 435

Ⅱ. 의료 및 의료데이터의 특수성과 법적 규제 / 436

Ⅲ. 블록체인 의료의 활용 가능성 / 440

Ⅳ. 블록체인에 의한 의료데이터의 보호 / 444

Ⅴ. 블록체인과 의료데이터의 상호운용성 / 451

Ⅵ. 결론 / 457


제 5 장 블록체인과 법의 미래 / 469

| 제 17 절 | 블록체인법의 미래 / 471

Ⅰ. 서론 / 471

Ⅱ. 블록체인에 관한 해외 입법의 현황 / 472

Ⅲ. 블록체인 기술 관련 국내 입법의 현황 / 477

Ⅳ. 암호화폐 관련 국내 입법의 현황 / 482

Ⅴ. 블록체인 자율 규제 입법의 현황 / 489

Ⅵ. 결론 - 블록체인 법의 미래 / 491


부록 / 497

편저자 및 공동저자 약력 / 499

용어 사전 / 501

블록체인산업진흥기본법(안) / 507

참고문헌 및 약어표 / 513

사항 색인 / 531

블록체인과 법 포럼 회원 명단 / 5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