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박영사/박영스토리 분야별 도서
닫기
시뮬라리움의 구상
신간
시뮬라리움의 구상
저자
조일현
역자
-
분야
교육학
출판사
박영스토리
발행일
2025.10.17
장정
무선
페이지
580P
판형
크라운판
ISBN
979‒11‒7279‒177‒3
부가기호
93370
강의자료다운
-
색도
1도
정가
35,000원

초판발행 2025.10.17

이 책을, 나의 영원한 반려자 미영에게 바칩니다.

감사의 글


이 책이 세상에 나오기까지는 3년이란 시간이 걸렸다. 그 시간은 결코 나 혼자만의 것이 아니었다. 나의 이야기에 귀 기울여준 청중들, 깊은 대화를 함께 나눈 동료 연구자들, 수업용 초고를 읽고 날카로운 질문과 따뜻한 메모를 남겨준 대학원생들 덕분에, 이 책은 단지 한 사람의 저술이 아니라 여러 사람의 목소리가 공명하는 집합적 산물로 완성될 수 있었다. 그들의 호기심 어린 눈빛과 때로는 아쉬움을 담은 목소리는 이 책을 쓰지 않을 수 없게 만든 고마운 채찍이었다.

초고에 이르기까지, ‘학습분석학의 이해’, ‘테크놀로지 기반 HRD’ 수업에서 베르탈란피, 하이데거, 마투라나?바렐라의 글을 함께 읽고 주석을 달며 토론에 참여해 준 제자들에게 깊은 감사를 전한다. 그들은 낯선 글을 두려워하지 않는 진지한 독자이자 지적 모험가들이었다. 특히 문소연 연구원은 문헌 강독과 토론, 초고 작성과 퇴고, 그리고 책으로 출간되기까지의 전 과정을 함께 해준 든든한 학문 후속세대이다. 수업에서 초고를 읽고 독자의 시선으로 원고 정리에 참여해 준 남정민 조교와 홍나연 조교에게도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교육공학도로서 ‘시뮬라리움의 구현’에 기여할 이들의 미래를 응원한다. 에듀테크융합연구소의 디자인학 전공 구지영 박사는 ‘시뮬라리움의 구상’이라는 책 이름이 갖는 전망적 이미지를 디자인으로 탁월하게 표현해 주었다.

복잡하고 장황한 원고를 차분히 읽고 세심하게 다듬어주신 부산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최은정 교수, 그리고 전통적인 교육학 담론의 경계를 넘어 새로운 글쓰기를 권유해 주신 이화여대 국어교육과 김은성 교수께도 감사드린다. 두 분의 도움이 없었다면, 이 책은 여전히 노트와 파일 속에 흩어진 아이디어의 단편들로 남아 있었을 것이다. 그럼에도 이 책에 남아 있는 미완의 흔적들은 오롯이 필자의 부족에서 비롯된 것임을 고백한다.

원고 납기가 여러 차례 미뤄졌음에도 불구하고 기대와 인내심으로 기다려주었고, 깔끔한 편집과 세심하고 정확한 업무 처리로 멋진 책을 탄생시켜 주신 박영사 전채린 차장께 감사드린다.

책을 집필하는 동안 나의 발길을 이끌어 생각의 흐름을 열어 준 우면산에도 감사를 전한다. 집에서 가까운 산책로를 따라 예술의전당을 지나 약수터에 이르는 산길을 걷는 동안, 나는 자연을 보존하고 문화를 창조하는 존재로서의 호모 테크놀로지쿠스를 스스로에게서 발견하고 그를 체험할 수 있었다. 사계절이 세 번 바뀌는 시간 동안 그 길을 따라 걷는 사이, 이 책의 윤곽도 흑백 사진이 현상해 올라오듯, 점차 또렷해졌다.

마지막으로, 지난 3년간 끊임없이 대화하고 때로는 서로를 닦달하고, 때로는 격려해 주던 두 사람?저자로서의 조일현과 비평가로서의 조일현?에게 위로를 전한다. 이 두 조일현은 때로 서로에게 가혹했지만, 어느 한 명만으로 이 책은 완성될 수 없었다. 책을 쓰는 작업도 하나의 자기생산이기에, 독자 생태계와의 구조적 커플링을 통해 상호 공진화할 수 있으리라는 믿음 속에서 이 두 조일현에게 오랜만의 휴식을 선물하고자 한다.



2025년 여름의 끝자락, 

양쪽 벽으로 햇살이 스며드는 이화 가든에서


조일현

Florida State Univ. 교육공학 박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산업교육학 석사

서울대학교 농경제학과 경제학사

()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 교수, 에듀테크융합연구소 소장, 교육과학연구소 소장

() 이화여자대학교 교수학습개발원장, 인재개발원 원장, 한국기업교육학회 회장, 크레듀 이사

삼성인력개발원, 삼성국제경영연구소 과장

차례

 

프롤로그

1. 인공지능의 시대 1

(1) 인공지능이라는 유령이 세계를 배회하고 있다 1

(2) 인공지능과 인간지능 2

2. ‘인공지능 활용 교육에 관한 물음 5

(1) 개념화 작업의 필요성 5

(2) 인공지능과 교육학 분과별 접근 6

(3) 교육공학과 인공지능 활용 교육: 비대칭 인간-기계 협력학습체계의 설계 9

3. 본서의 구성 12

(1) 문제 접근 방법 12

(2) 책의 장별 구성 15

 

CHAPTER 01 체계 이론의 이해

1. 일반체계이론(General System Theory): 전일론적 세계관 27

(1) 전체는 부분의 합보다 크다 27

(2) 환원주의적 이원론과 전일론적 이원성 28

(3) 일반체계이론: 환원주의와 전일주의를 넘어서는 통합의 패러다임 30

2. 주요 개념 31

(1) 체계란 무엇인가 31

(2) 지향성의 3유형: 의도성, 주향성, 기능성 35

(3) 상호작용 37

(4) 체계의 구조: 핵심 구성 개념 40

(5) 체계의 종류 49

3. 자기생산체계 53

(1) 개념 및 배경 53

(2) 자기생산체계, 이종생산체계, 이형생산체계 64

(3) 체계의 발현 특성 68

4. 체계 접근에 대한 평가와 교수학습체계 혁신 82

(1) 체계 이론의 3가지 차원 82

(2) 과학철학으로서 체계 이론 85

(3) 체계 이론과 교수학습체계 87

(4) ‘시사에서 구현으로 89

 

CHAPTER 02 상시 직립 이족보행 바이오시스템의 탄생

1. 인간성 이해를 위한 생물학적 접근 91

(1) 상시 직립 이족보행 바이오시스템으로서의 인간 91

(2) 포식자-피식자 간 사냥의 시작 94

(3) 좌우 대칭과 전후 비대칭 신체 구조의 진화적 이점 97

(4) 뇌 신경계의 발달 101

2. 상시 직립 이족보행 바이오시스템의 출현 108

(1) 기이한 신체 구조 108

(2) 인간 인지 진화의 생물학적 기반 112

(3) 생물학적 이차 인지 기능 122

(4) 사고 체계의 진화: 시간성과 공간성의 교차 구조 133

3. 삼원 생산 체계와 인간 학습의 존재론적 전환 136

(1) 창조인의 탄생: 자기생산, 이종생산, 이형생산 체계로서의 인간성 136

(2) 자기생산 체계: 생명 유지와 환경 적응 137

(3) 이종생산 체계: 창조적 생산과 기술적 진화 139

(4) 이형생산 체계: 협력과 집단적 생산 140

CHAPTER 03 호모 테크놀로지쿠스로의 진화

1. 도구의 기원과 인간의 진화 147

(1) 도구란 무엇인가 147

(2) 도구 사용자 적응성의 도약적 개선 151

(3) 도구의 체화 과정과 학습 156

(4) ‘발견된 도구제작된 도구’ 160

(5) 인간-도구 공진화 170

2. 도구의 제작 178

(1) 퓌지스와 포이에시스 178

(2) 도구의 존재를 가능케 하는 네 가지 원인 182

(3) 테크네 186

3. 테크놀로지, 창조를 위한 지식의 체계 188

(1) 테크놀로지란? 188

(2) 테크놀로지의 발전과 문명사적 중요성 191

(3) 호모 테크놀로지쿠스 196

(4) 이중국적자: 생태적 이중성 200

(5) 테크놀로지: 양날의 검 202

4. 인공지능 vs. 인간 206

(1) 인간 지능의 국지화인공지능 시대의 존재론적 전환 207

(2) 상동성과 상사성 208

(3) 인간은 지능 이상이다 210

(4) 교수학습체계의 과제 212

 

CHAPTER 04 문명 생태계의 진보

1. 문명 생태계의 진화 217

(1) 문명 생태계란 무엇인가? 217

(2) 문명 생태계의 진보적 진화 226

2. 도구와 협력의 진화: 문명사에 대한 체계적 전망 237

(1) 도구-테크놀로지 진화의 축: 바이오피지컬사이버HCPS 239

(2) 협력 진화의 축: 언어문자/미디어멀티모달 상호작용 259

(3) 문명 생태계 진화의 변증법적 도약 277

 

CHAPTER 05 교수학습체계의 출현

1. 학습 285

(1) 존재론적 학습 개념의 정립 285

(2) 존재론적 학습의 판별 기준과 사례 297

2. 자연학습과 교수학습: 호모 테크놀로지쿠스의 이중 학습 경로 304

(1) 이중 구조의 학습 존재: 호모 테크놀로지쿠스 304

(2) 생물학적 지식의 이중 구조 307

(3) 자연학습과 교수학습 319

(4) 학습 환경으로서의 시뮬라리움 322

3. 교수학습체계 331

(1) 교수학습체계란 무엇인가 331

(2) 교수학습체계의 설계 337

(3) 교수체계설계의 실천 원리 343

(4) 자기생산체계로의 지양을 위한 조건 성숙 350

 

CHAPTER 06 시뮬라리움의 설계

1. 자기생산체계와 메타설계 359

(1) 자기생산체계의 설계 359

(2) 메타설계이론의 정의와 설계 조건 364

2. 시뮬라리움 메타설계의 이론적 기반: 문화역사적 활동이론(CHAT) 375

(1) 시뮬라리움의 설계와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의 연결 375

(2) CHAT의 계보학과 주요 연구자 378

3. CHAT에서 E-CHAT으로: 인공지능 시대의 매개성 확장 392

(1) CHAT과 학습의 관계 392

(2) CHAT의 확장: Extended-CHAT 401

(3) E-CHAT이 시뮬라리움 설계에 주는 시사점 420

4. 메타설계의 4단계 모델 424

(1) 조직 설계와 아키타입 425

(2) 사전 설계와 프로토타입 426

(3) 애자일 설계와 에코타입 430

(4) 사후 설계와 오토타입 435

(5) 시뮬라리움의 기대 효과: 구조적 모순 대응과 실천-이론의 공진화 438

 

CHAPTER 07 학습분석시스템의 역할

1. 학습분석학의 기초 447

(1) 학습분석학의 정의와 발전사 447

(2) 학습분석학의 유형: 분석의 단위를 기준으로 456

2. 학습분석학의 발달과 진화 462

(1) 학습분석학 발달 단계 462

(2) 통계학과 분석학의 차이 472

(3) 교육공학적 학습분석학 485

3. 시뮬라리움 창발을 위한 학습분석시스템의 역할 491

(1) 조직 설계와 E-CHAT 아키타입 491

(2) 사전 설계와 복합계적 프로토타입 492

(3) 애자일 설계와 적응형 에코타입 495

(4) 사후 설계와 역동적 오토타입 502

4. 시뮬라리움의 뇌 신경계: 학습분석시스템의 역할과 설계 510

(1) 시뮬라리움에서 학습분석시스템의 뇌 신경계적 역할 510

(2) 학습분석시스템 설계 모형 512

(3) 넛지와 설득의 기술 523

에필로그

1. 선행 챕터 요약 535

(1) 인공지능 활용 교육을 위한 4개의 키워드: 호모 테크놀로지쿠스,
비대칭 인간-기계 협력학습, 시뮬라리움, 그리고 메타설계 535

2. 학습분석시스템의 윤리적 딜레마 543

(1) 자기생산체계로의 메타설계와 학습분석시스템의 역할 543

(2) 체계 내적 윤리성 546

(3) 체계 외적 윤리성 551

(4) 윤리성 문제 대응 전략 554

 

 

찾아보기 561

불법복제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