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판발행 2025.10.15
머리말
“교실 속 AI 디지털 교육, 미래를 향한 동행”
안녕하세요. 독자 여러분,
급변하는 시대의 한가운데, 교육은 그 어느 때보다 거대한 변곡점에 서 있습니다. 인공지능(AI)과 디지털 기술의 물결은 우리 아이들이 살아갈 미 래 사회를 재편하고 있습니다. 교육의 본질과 방향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 속에서 『교실 속 AI 디지털 교육 인사 이트』를 통해 여러분과 함께 미래 교육의 길을 모색하게 되어 진심으로 기 쁩니다.
이 책은 단순히 AI 디지털 교육의 기술적 측면만을 다루는 것을 넘어, 교 실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와 깊이 있는 성찰을 담아내고자 했습니다. 9명의 저자들은 AI · 디지털 교육자료 도입을 넘어선 정책적 비전부터 특수교육 현 장의 로드맵, 사회정서학습의 새로운 지평, 교사 학습 공동체의 힘, 디지털 리터러시, 기초학력, 깊이 있는 학습, 과정 중심 평가, AI 기반 서논술형 평가 에 이르기까지, AI 디지털 교육의 다양한 스펙트럼을 폭넓게 조망합니다.
1부에서는 기존 AI · 디지털 교육자료 도입과 특수교육, 사회정서학습, PLC 생태계 구축 등 미래 교육사례와 정책적 제언을 담았습니다.
강주원 선생님은 「AI · 디지털 교육자료를 넘어 회복력 있는 AI 교육 정책 설계」를 통해 단일 기술 중심의 접근을 넘어선 지속가능하고 포괄적인 AI 교 육 정책 프레임워크를 제안합니다. 대한민국 교육이 직면한 복합적 위기를 진 단하고 AI 기술이 그 해법이 될 수 있음을 역설하면서도, 기술적 · 윤리적 한계 를 넘어선 ‘회복력 있는’ 정책 설계를 위한 구체적인 로드맵을 제시합니다.
김효정 선생님은 「AI · 디지털 기술로 지원하는 특수교육현장 로드맵」에서 디지털 전환 시대의 기술이 특수교육 분야에 어떻게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지 탐구합니다. 특수교육 대상자의 ‘학습 자립’을 위한 디지털 기술의 필 요성을 강조하며, 국내외 사례 분석과 함께 특수교육 AI · 디지털 교육자료의 활용방향성을 조망하며 현장의 고민을 함께 나누고자 했습니다.
박준호 선생님은 「에듀테크 사회정서학습 사례로 본 미래교육」을 통해 AI 디지털 교육 속에서 사회정서학습(SEL)과 에듀테크가 어떻게 만나 교실 현장 을 더 따뜻하고 풍성하게 만들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다양한 에듀테크 사 례를 통해 학생들의 마음을 세심하게 돌보는 교육의 가능성을 제시하며, 기 술이 궁극적으로 사람과 사람 사이의 마음을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해야 함 을 강조합니다.
김진관 선생님은 「교사 자발성, 커뮤니티(PLC) 중심 생태계 구축의 길을 묻 다」에서 교사와 커뮤니티의 힘이 교육 혁신의 핵심임을 역설합니다. 하향식 정 책 전달의 한계를 넘어, 교사의 자발성과 동료 간의 협력을 바탕으로 한 ‘교사 주도 전문적 학습 공동체(PLC)’ 구축 모델을 제시하며, 실제 현장 사례를 통해 상향식과 하향식의 ‘혼합형 성장 모델’의 가능성을 생생하게 보여줍니다.
2부에서는 교실 현장에서 AI 디지털 교육이 실제 어떻게 구현되고 적용 될 수 있는지에 대한 깊이 있는 탐색을 이어갑니다.
이혜림 선생님은 「디지털 소비자에서 디지털 생산자로: 연령대별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통해 디지털 시대를 살아가는 아이들을 위한 새로운 교육 의 방향을 제시합니다. 학생들이 단순한 소비자를 넘어 콘텐츠를 창작하고 소통하는 ‘생산자형 디지털 리터러시’로 전환되어야 함을 강조하며, 실제 수 업 사례와 정책 방향을 구체적으로 소개합니다.
김동준 선생님은 「AI · 디지털 교육자료를 활용한 2022 개정 수학과 교육 과정 교수학습방법 실천전략 탐구」에서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목표 인 ‘포용성과 창의성을 갖춘 주도적인 사람’을 기르기 위해 AI · 디지털 교육 자료가 어떻게 효과적으로 지원될 수 있는지를 탐구합니다. 학생별 맞춤형 학습 제공 및 협력 학습을 위한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하며 현장의 실천 전략을 모색합니다.
이성일 선생님은 「깊이 있는 학습과 AI 디지털 기반 수업설계」를 통해 교 사의 역할이 지식 전달자에서 학습 설계자로 변화했음을 강조합니다. 2022 개정 교육과정이 강조하는 ‘깊이 있는 학습’을 위해 탐구 질문 중심의 백워드 설계와 수행 중심 과제 활용 방안을 제시하며, AI가 이러한 수업 설계를 지 원하는 조력자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동시에 기술 활용의 교육적 맥락과 교사의 전문성을 강조합니다.
이성강 선생님은 「디지털 융합수업의 등장과 평가 패러다임의 변화」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부터 시작된 역량 중심 교육과 과정중심평가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합니다. 현장에서 과정중심평가 실천의 막막함을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도구들의 적용을 통해 ‘문서 속 평가’가 아닌 ‘교사와 학생의 곁
으로 다가가는 평가’의 실체를 서술합니다.
마지막으로 장덕진 선생님은 「AI 기반 서논술형 과제 피드백의 현재와 방 향」에서 AI 기반 서논술형 평가의 가능성과 한계를 논합니다. 개별 맞춤형 교육을 지원하는 AI 기술이 고차원적 사고 평가에 적용될 때의 신뢰성, 타당 성, 교사 권한 침해 문제를 짚어보며, 국내외 에듀테크 사례를 통해 현재 수 준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고 미래 방향을 제시합니다.
『교실 속 AI 디지털 교육 인사이트』는 이처럼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현장 경험과 깊은 통찰을 바탕으로 AI 디지털 교육의 현재를 진단하고 미래를 제 안하였습니다. 이 책이 교사, 교육 행정가, 연구자, 그리고 미래 교육에 관심 을 가진 모든 분들에게 영감을 제공하기를 바랍니다. 우리는 이 책을 통해 AI와 디지털 기술이 단순히 교육의 도구가 아니라, 교사와 학생의 파트너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했습니다.
미래 교육의 주역인 우리 아이들이 디지털 세상을 주도하는 학습자로 성 장하고, 따뜻한 마음을 가진 시민으로 자라날 수 있도록 이 책이 독자분들에 게 작지만 의미있는 디딤돌이 되길 바랍니다. 함께 고민하고 실천하며, 더 나 은 교육의 내일을 꿈 꿉니다.
감사합니다.
교실 속 AI 디지털 교육 인사이트
저자 일동
저자 약력
강주원
인공지능융합교육 석사
AI ·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선도교사
교육부 디지털기반교육혁신 연구학교 운영
김효정
서울대진초등학교 교사
AI ·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선도교사, TOUCH교사단 및 AIEDAP 마스터교원
아이스크림연수원 직무연수강사
박준호
경기반송초등학교 교사, 경기도교육감 교육정책자문위원
(사)디지털미디어교육콘텐츠교사연구협회 ‘몽당분필’대표이사
AI ·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선도교사, Canva Korea local leader 교사
김진관
T.R.I.P.O.D 수업-평가 연구회 운영진 및 AI티처스쿨 대표교사
2023 대한민국 정보교육상
요즘 교사를 위한 AI 디지털 수업 설계 가이드(대표저자) 외 7권 공저
이혜림
안양과천 에듀테크 활용교육 연구회 대표
전 경기도미래교육연수원 교수요원(’23)
AI ·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선도교사, AIEDAP 마스터교원, TOUCH교사단
김동준
AI ·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선도교사
AIEDAP 마스터교원
경기미래교육 연수기획단
이성일
서울영신초등학교 교사
AI ·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선도교사, TOUCH교사단
디지털기반 교육혁신 유공교원 교육부장관 표창
이성강
이담초등학교 교사
AI ·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선도교사
아이스크림연수원 직무연수강사
장덕진
평택새빛초등학교 교사
소방 · 안전공학 박사, 컴퓨터교육 석사
대한민국 정보교육상, 대한민국 안전대상
차례
파트 01 AI 디지털 교육, 정책과 현장의 패러다임 전환
Chapter 1 회복력 있는 AI 교육 정책 설계......................................................... 2
1. 변화의 기로에 선 대한민국 교육과 AI의 역할.............................................. 2
2. 대한민국 초중등 교육의 현주소와 당면 과제............................................... 3
3. AI·디지털 교육자료 정책의 현황과 과제..................................................... 9
4. AI 기술과 교육 문제 해결의 시너지.............................................................16
5. 대학 입시 변화와 AI 기반 평가 지원 방향..................................................19
6. 글로벌 AI 교육 정책 동향 및 시사점............................................................20
7. 회복력 있는 AI 교육 정책 프레임워크.........................................................23
8. 정책 프레임워크 실행 계획...........................................................................27
9. AI, 인간 중심 교육 혁신의 길을 열다...........................................................42
참고문헌............................................................................................................43
Chapter 2 AI · 디지털 기술로 지원하는 특수교육현장 로드맵...........................45
1. 디지털 전환 시대, 특수교육의 과제와 기회................................................45
2. 제6차 특수교육발전 계획으로 살펴보는 디지털 전략 현황.....................50
3. 디지털 기반 특수교육 추진의 현실과 과제.................................................59
4. 특수교육에의 AI·디지털 기술 지원 사례...................................................62
5. 특수교육 AI·디지털 교육자료 개발의 방향성...........................................65
6. AI·디지털로 강화되는 특수교육의 방향성 ‘학습 자립’............................70
7. 정리 및 제언: 디지털 전환과 함께 여는 특수교육의 미래........................81
참고문헌............................................................................................................82
Chapter 3 에듀테크 활용 사회정서학습 사례로 본 미래교육............................83
1. 디지털 전환시대, 사회정서학습....................................................................83
2. 에듀테크 활용 사회정서학습 전용 앱 사례 소개.......................................93
3. 삼성금융네트웍스의 사회공헌사업 ‘생명존중교육사업’ 그리고 교실에서의 실증...............................................................................118
참고문헌..........................................................................................................149
Chapter 4 교사 자발성, 커뮤니티(PLC) 중심 생태계 구축의 길을 묻다...........150
1. 왜 교사 커뮤니티인가?................................................................................150
2. 현장의 목소리: 국내 교사 커뮤니티 사례..................................................167
3. AI·디지털 교육과 교사 커뮤니티의 글로벌 동향...................................179
4. 교사 커뮤니티 중심의 AI·디지털 교육 확산 방향..................................187
5. 효과적인 자원 활용 전략과 학교 문화.......................................................199
6. 교사 커뮤니티 운영 실전 노하우................................................................204
7. 교사의 자발성과 연결의 힘으로 미래 교육을 열다.................................214
8. 마치며.............................................................................................................218
참고문헌..........................................................................................................219
파트 02 교실 속 변화, AI와 함께하는 새로운 수업 이야기
Chapter 5 모든 학생을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224
1. 디지털 소비자에서 디지털 생산자 교육으로............................................224
2. 모두를 위한 디지털 역량 교육....................................................................236
3. 교실에서 시작되는 모두를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257
참고문헌..........................................................................................................259
Chapter 6 AI · 디지털 교육자료 활용 교수 · 학습방법......................................260
1.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정리하기.......................................................260
2. 수학과 교수·학습을 위한 AI·디지털 교육자료 수업 모델 탐구............267
3. AI·디지털 교육자료 활용 수학과 교수·학습 방법 실천 전략..............286
Chapter 7 깊이 있는 학습과 AI · 디지털 기반 탐구질문 수업설계....................300
1. AI 시대, 수업의 전환.....................................................................................300
2. 깊이 있는 학습의 원리와 수업 설계 전략.................................................304
3. AI·디지털 기반 수업 설계 전략.................................................................312
4. 수업 사례 - 질문으로 설계하고 기술로 확장한 과학수업.....................321
참고문헌..........................................................................................................335
Chapter 8 디지털융합수업의 등장과 평가 패러다임의 변화 과정중심 평가를 중심으로............................................................ 336
1. 디지털 전환과 평가의 대변혁.....................................................................336
2. 과정중심평가의 등장....................................................................................337
3. 디지털 도구와 과정중심평가의 융합..........................................................347
4. 실천 사례와 교육현장의 변화.....................................................................353
5. 평가 패러다임의 변화가 의미하는 것........................................................364
참고문헌..........................................................................................................368
Chapter 9 AI 기반 서 · 논술형 과제 피드백의 현재와 방향..............................369
1. AI·디지털 교육자료와 ‘AI 기반’ 개별 맞춤형 피드백 강화....................369
2. 서·논술형 과제 피드백의 실제.................................................................376
3. ‘AI 기반 서·논술형 과제 피드백’의 한계와 방향....................................403
참고문헌..........................................................................................................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