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박영사/박영스토리 분야별 도서
닫기
개념기반 수업 설계의 이해와 실천
신간
개념기반 수업 설계의 이해와 실천
저자
조호제 외
역자
-
분야
교육학
출판사
박영스토리
발행일
2025.05.30
장정
무선
페이지
380P
판형
크라운판
ISBN
979-11-7279-090-5
부가기호
93370
강의자료다운
-
색도
2도
정가
23,000원

초판발행 2025.05.30


머리말


교육과정의 개정은 교육학 이론의 동향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변화의 요구에부응하는 측면에서도 이루어진다. “교육현장에 지나친 혁신과 전략들이 왔다갔다 한다고 느낀다.”는 어떤 이의 발언은 새겨볼 만하다. 과거와는 달리 사회에서 지식과 정보의 생성 속도가 빨라지고 유효 기간이 짧아지면서 어떤 내용을 담아야 할지, 어느 정도의 넓이와 깊이로 담아야 할지는 교육과정 개정의 최대 화두이다. 최근 사회의 변화를 고려할 때 우리나라 교육과정은 이 흐름에 적

절히 대응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2022 개정 교육과정은 ‘깊이 있는 학습’이 필요함을 강조하며 교과 지식을 더 많이 학습한다거나 어려운 수준까지 학습하는 것이 아닌 핵심 개념과 원리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내면화하여 실생활과 연계하여 적용하는 역량을 구비한 사람을 제시하고 있다. 단일 교과만의 학문 전문가가 아니라 사실과 개념들을 서로의 관계 속에서 구조화하며 의미를 생성하는 과정을 학습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이런 학습 과정을 통해 학습자는 좀더 높은 수준으로 지식을 적용, 확장, 실천해 나갈 수 있다.

이같이 개념, 일반화, 법칙과의 관계를 찾아 이를 실생활 및 고차원적 수준으로 전이시킬 수 있도록 교수 · 학습을 정교하게 설계하는 것이 개념기반 수업이다. 개념기반 수업 방법은 다양한 연구와 매체, 전 세계 IB 학교들에서의 실천을 통해 그 효과가 입증되고 있으며 간혹 수업의 난이도나 우리나라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재구성을 해야 하는 등 그 진입 장벽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국내 학교들이 개념기반 수업 방법을 기반으로 하는 IB 교육 도입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특별히 IB 프로그램을 도입하지는 않지만, IB 프로그램의 기반이 되는 개념기반 수업 등을 국가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재구성하여 수업에서 실현해 보려는 많은 움직임이 있으며 이와 관련된 외서도 번역되어 소개되거나번역팀과 함께 연구한 내용 등이 출판되어 교사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현장에서 교육과정 문서를 구현하거나 실천해야 하는 교사들은 학생들에게 교육과정 총론에서 제시하는 ‘깊이 있는 학습’을 어떻게 구현해 내야할지 많은 고민에 빠져 있다. 단편적 지식의 암기를 지양하고 각 교과목의 핵심 아이디어를 중심으로 지식 · 이해, 과정 · 기능, 가치 · 태도의 내용 요소를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학생의 발달 단계에 따라 학습 경험의 폭과 깊이를 확장할 수 있도록 수업을 설계한다고 되어 있지만 언제나 그렇듯 구체적인 ‘어떻게?’에 대해서는 현장 교사들의 역량에 전적으로 의존해 있는 상태이다. 많은 교사들은 수업에 대한 열정을 바탕으로 이론서로 소개되어 개념기반 수업을 적용해보고자 노력하지만 교실 적용에서는 어려움을 느끼곤 한다.

본 집필진은 개념기반 교육과정 이론의 핵심인 ‘지식의 구조’와 ‘과정의 구조’를 우리나라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재구성하는 과정에 많은 어려움을 느끼고 있음을 파악하게 되었고 이에 좀 더 쉽게 개념기반 교육과정의 이론부터 2022 개정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단원을 설계하는 방법까지 안내하는 교재를 집필하게 되었다. 저자들은 현장에서 교사들이 느끼는 개념기반 교육과정 적용의 어려움의 근본적인 이유를 파악하여 좀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이론부터 실제까지 실제적인 가이드가 될 수 있도록 심혈을 기울여 집필하였다.

1장에서는 개념기반 교육과정의 이론적 배경 및 주요 개념에 대해서 소개하고 있다. 개념기반 수업이 시대의 흐름에 부합하는 인재를 육성하는 데 적합한 학습 방법이라는 것을 독자들은 전통적인 학습 모델인 2차원적 학습과 깊이 있는 학습을 추구하는 3차원적 모델과의 비교를 통해 확실히 이해하게 될 것이며, 교수 · 학습의 경제성 측면에서도 개념적 렌즈(매크로 개념) 등을 통해 학습에 깊이가 생기고 이해의 전이가 촉진된다는 점에서 개념기반 수업에 매력을 느끼게 될 것이다.

2장에서는 지식의 구조와 과정의 구조에 대해서 다양한 예시를 통해 이해할 수 있다. 개념기반 수업의 설계 측면에서 볼 때 교사가 단원 내에서 지식의 구조와 과정의 구조를 분석해 낼 수 있는 능력은 핵심적이라 할 수 있다. 독자들은 지식의 구조에 의한 개념기반 수업 설계 방법을 교육과정 단원 사례를 중심으로 교과 단일형과 교과 통합형으로 살펴보게 될 것이다. 또한 과정의 구조에 의한 설계 방법과 이후 지식과 과정의 구조 혼합형은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지 사례를 통해서 살펴볼 수 있다.

3장부터 5장에서는 학년군별로 각각 2022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 성취기준 분석을 바탕으로 실제 설계된 다양한 예시를 제시하였다. 개념기반 교육과정에서는 교과의 특성상 지식의 구조와 과정의 구조에 조금 더 특화되어 있는 교과를 제시하고 있으며, 그 가능성을 확대해 보고자 다양한 교과들을 대상으로 단원 및 성취기준을 분석하여 지식의 구조와 과정의 구조에 따른 수업 설계 사례를 제시하였다. 교과 단일형과 교과 통합형 사례 및 평가설계, 탐구학습 과정을 제시하였다.

6장에서는 개념기반 수업에서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수업 적용 기법을 소개하였다. 개념기반 수업에서 활용될 수 있는 수업 기법을 다양한 사례와 함께 제시하여 독자들로 하여금 적용 기법의 실천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7장에서는 2022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 전체를 대상으로 개념 분석 로드맵을 제시하여 우리나라 초등학교 전체 교육과정을 개념기반 교육과정 구성의 틀에서 거시적인 관점과 계열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1부에서는 IBPYP 초학문적 주제를 중심으로 성취기준을 분석하였다. IB PYP의 명시된 개념을 매크로 개념으로, 각 교과의 성취기준에 제시된 개념을 마이크로 개념으로 도출하여 일반화 사례와 같이 제시하였다. 2부는 개념기반 수업 설계를 위해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을 기반으로 대안적으로 제시한 프레임워크에 따라 핵심 가치와 핵심 개념을 어떻게 분석할 수 있는지 1~2학년군의 성취기준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이러한 우리나라의 자체 프레임워크의 내용을 기반으로 개념 중심 학습을 설계한 사례도 함께 소개하였다. 세상과 인간에 대한 이해로 인간다운 인간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개념기반 수업을 적용하고 수업을 설계하는 전문성을 갖추기 원하는 모든 교사에게 로드맵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개념기반 교육과정을 적용한 수업을 실천하기에 앞서 교사들의 개념기반 수업에 대한 이해도가 선행되어야 하며, 우리나라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적용하려는 시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저자들이 집필의 과정에서 느낀 개념기반 수업의 매력과 가능성에 대해서 독자들도 저자들이 제안하는 사례를 참고로 수업의 대전환에 공감하고 실천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기를 기대한다.

이 책이 또한 그러한 지속적인 시도 속에서 쓸모있는 가이드가 되어 독자 각자의 교육 전문성 신장에도 도움이 되길 기원한다.

다양한 욕구들이 충돌하는 교육 환경에서도 본연의 목적을 잊지 않고 새로운 교육 방법에 관심을 가지고 실천해 보기 위해 이 책에 관심을 보여주신 독자들에게 감사의 말씀을 드리며, 본서를 출판하기 위해 애써 주신 박영스토리 관계자 여러분께도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조호제

(현) 고려대학교 및 숭실대학교 겸임교수

2015 개정 국가 교육과정 안전한 생활 심의위원장

2022 개정 국가 교육과정 초등학교 심의위원장

국가교육위원회 교육과정 전문위원

학력

고려대학교 대학원 교육과정학(박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초등체육교육(박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교육과정학(석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초등체육교육(석사)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과(학사)

저서 및 연구실적

제33회 대교문화재단 눈높이교육상 수상(2024)

「교과 및 교과통합 서술형 평가의 실제」 공저(2023)

「개념기반 교육과정 및 평가의 이론과 실제」 공저(2021)

「최신교육과정 재구성의 이론과 실제」 공저(2021)

「ON 교육과정 재구성」 공저(2020)

2022 개정 교육과정 운영 위원 및 초등학교 교육과정 심의위원장(교육부)

진학계 고교의 진로별 교육과정에 관한 학생요구 조사 분석(2017)

초 · 중학교 수학, 영어, 학습부진 학생을 위한 교육과정 개선 방안 탐색(2019)외 50여 편

한국연구재단 등재 학술지 29편 게재

교육과정 성취기준 및 수업과 평가, 학교 교육과정 개발과 운영, 고교 진로탐색과정 운영,

교육과정 총론 기준, IB PYP, 교수 · 학습과 평가 등에 관심을 가짐.


김대연

(현) 서울양동초등학교 수석교사

2022 개정 교육과정 핵심 선도교원, 교과별 선도교원

2024 교육과정-수업-평가 초등 현장지원단

2023 KB(한국형바칼로레아) 연구지원단

학력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초등영어교육학(석사)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과(학사)

저서 및 연구실적

제17회 수업개선실천사례연구대회 1등급(2015)

2022 개정 교육과정 검인정 영어교과서 공저

IB 관련 초등 교육 정책 직무연수 강의(2023)

2022 개정 교육과정 및 개념기반 탐구학습, 개념기반 수업설계 등에 관심을 가짐.

김정숙

(현) 서울면남초등학교 교사

학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인구다문화교육(석사)

청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과(학사)

저서 및 연구 실적

「AI와 연계한 맞춤형 수업 설계의 이론과 실제」 공저(2024)

「개념기반 교육과정 수업 설계의 이론과 실제」 공저(2023)

초등학생용 정신건강 리터러시(교육부, 2023)

「개념기반 교육과정과 수업 사례」 공저(2022)

교육환경보호원(교육부) 생명존중예방 프로그램 개발(2021)

다문화 수용성 함양을 위한 놀이중심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2020)

과정중심평가 문항 개발 및 적용(2020)

IB PYP, 개념기반 교육과정 등에 관심을 가짐.


김택신

(현) 서울교대 어린이철학 교육센터 연구이사

한국철학적탐구공동체연구회 회장

한국인문학연구소 이사

서울토론교육연구회 임원

그림책철탐공 강사

초등교육 강사

찾아가는 맞춤식 강의 및 컨설턴트

원격 연수: 중앙교육연수원 강사

줌으로 하는 철탐공, 인문도서 튜터

학력

경상국립대학교 응용윤리학(석사)

서울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학사)

저서 및 연구실적

「생각놀이 레시피」 공저(2023)

「생각하는 교실 철학하는 아이들」 공저(2019)

「토론으로 다지는 한 학기 한 권 읽기」 공저(2019)

「토론수업 레시피」 공저(2011)

서울특별시교육청 독토논 장학자료 다수 개발

생각톱니카드(공동개발)


김혜숙

(현) 서울탑동초등학교 교사

2022 개정 특수교육 5~6학년군 국정 교과용도서 국어 심의위원(2024~2025)

학력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다문화교육(석사)

부산교육대학교 초등교육과(학사)

국제바칼로레아(IB) 교사 양성 과정(IBEC) 수료 및 자격(2024)

저서 및 연구 실적

디지털 · AI와 연계한 맞춤형 수업 설계 및 실행 방안에 관한 연구(2024)

「개념기반 수업, 이렇게 한다」 공저(2024)

「AI와 연계한 맞춤형 수업 설계의 이론과 실제」 공저(2024)

「개념기반 교육과정 및 평가의 이론과 실제」 공저(2024)

「AI시대 역량 있는 학부모 되기, 이제는 학부모다」 공저(2024)

초등 원로 교사의 다문화교육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2023)

초등학생용 정신건강 리터러시(교육부, 2023)

교육환경보호원(교육부) 생명존중예방 프로그램 개발(2021)

영어과 교육과정 및 교수 · 학습 방법, IB PYP, 교사교육 등에 관심을 가짐.

노선임

(현) 서울양명초등학교 수석교사

2022 개정 교육과정 핵심 선도교원

2024 교육과정 - 수업 - 평가 초등 현장지원단

학력

중부대학교 원격대학원 진로직업컨설팅학(석사)

부산교육대학교 초등교육과(학사)

저서 및 연구 실적

「교과 및 교과 통합 서술형 평가의 실제」 공저(2023)

「개념기반 교육과정 및 평가의 이론과 실제」 공저(2021)

서울 초등학생 미래역량 함양을 위한 프로젝트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서울특별시교육청, 2011)

서울특별시교육청 진로교육 장학자료 다수 개발


박은하

(현) 서울대도초등학교 교사

학력

건국대학교 대학원 교육과정학(박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유아교육(석사)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과(학사)

저서 및 연구 실적

「개념기반 수업, 이렇게 한다」 공저(2024)

「AI와 연계한 맞춤형 수업 설계의 이론과 실제」 공저(2024)

「2022 개정 교육과정 맞춤형 교과 및 교과 통합 서술형 평가의 실제」 공저(2023)

「개념기반 교육과정 수업 설계의 이론과 실제」 공저(2023)

2023 생각하는 힘을 기르는 서 · 논술형 평가 장학자료(서울특별시교육청)

초등학생용 정신건강 리터러시(교육부, 2023)

「개념기반 교육과정과 수업 사례」 공저(2022)

「개념기반 교육과정 및 평가의 이론과 실제」 공저(2021)

교육환경보호원(교육부) 생명존중예방 프로그램 개발(2021)

초등학교 안전한 생활 교과용 도서 심의위원(교육부)

2009 개정 체육과 검정 교과용 도서 집필

교수 · 학습 설계 및 평가, 교사 교육 등에 관심을 가짐.

배난희

(현) 서울난곡초등학교 수석교사

학력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과(학사)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전공

저서 및 연구 실적

「교실로 ON 최신 교육과정 재구성의 이론과 실제」 공저(2021)

「함께읽기 깊이읽기」 공저(2019)

서울초등컨설팅지원단(교육과정 재구성)


채은경

(현) 글벗초등학교 교사

학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인구다문화교육(석사)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과(학사)

저서 및 연구 실적

초등학교 사회 교과서 3-6(2022)

IB PYP 프레임워크 적용을 통한 서울형 PYP 모델 구축 방안 연구(2021)

초등 사회과와 도덕과에서 반영된 연령 통합 내용 분석(2020)

어린이 초록마을, 나라, 세계(2012)

초등학교 환경 3-6학년(2012)

2007 개정 초등학교 사회과 교과서(2011)

학교 교육과정 수립과 교사 공동체, 개념기반 교육과정의 현장 적용에 관심을 가짐.

한진호

(현) 시흥장현초등학교 교사

고려대학교 겸임교수

경인교대, 단국대, 성신여대 등 강사

학력

고려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교육과정학(박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교육과정학(석사)

경인교육대학교 초등교육과(학사)

저서 및 연구실적

「개념기반 수업, 이렇게 한다」 공저(2023)

「개념기반 교육과정과 수업」 공역(2022)

국가 교육과정, NCIC, 교육과정 자율화, 창의적 체험활동, IB PYP, 개념기반 교육과정,

학생 주도성, 기초소양 등의 주제로 KCI 등재 학술지 게재, 교육과정의 개발과 이해, 교

육과정 정책 등에 관심을 가짐.


CHAPTER 1 개념기반 교육과정의 이해

1 수업 변화의 필요성 2

2 개념기반 교육과정의 개관 6


CHAPTER 2 개념기반 교육과정 수업 설계의 이해

1 핵심 아이디어의 이해 20

2 개념기반 교육과정의 주요 용어의 이해와 관련성 21

3 개념기반 학습의 설계 방법 34

4 교과 단일형에 따른 개념기반 설계 방안 46

5 교과 통합형에 따른 개념기반 설계 방안 60


CHAPTER 3 1~2학년군 성취기준 분석을 통한

개념 및 일반화 추출

1 지식의 구조에 따른 개념기반 설계 76

2 과정의 구조에 따른 개념기반 설계 100

3 지식 + 과정의 구조에 따른 개념기반 설계 119


CHAPTER 4 3~4학년군 성취기준 분석을 통한

개념 및 일반화 추출

1 지식의 구조에 따른 개념기반 설계 136

2 과정의 구조에 따른 개념기반 설계 151

3 지식+과정의 구조에 따른 개념기반 설계 165


CHAPTER 5 5~6학년군 성취기준 분석을 통한

개념 및 일반화 추출

1 지식의 구조에 따른 개념기반 설계 184

2 과정의 구조에 따른 개념기반 설계 198

3 지식+과정의 구조에 따른 개념기반 설계 213


CHAPTER 6 탐구 기법

1 관계맺기(Engage) 232

2 집중하기(Focus) 239

3 조사하기(Investigate) 248

4 조직 및 정리하기(Organize) 260

5 일반화하기(Generalize) 276

6 전이하기(Transfer) 283

7 성찰하기(Reflect) 287


CHAPTER 7 2022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 개념 분석 로드맵

PART 1 IB PYP 초학문적 주제 중심 성취기준 분석 로드맵 294

집필 의도 및 활용 상 유의점 294

초학문적 주제와 세부 설명 295

IB PYP 명시된 개념 및 추가 개념 296

PART 2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연계 성취기준 분석 로드맵 345

집필 의도 및 활용 상 유의점 345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기반 프레임워크 346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프레임워크 347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프레임워크 기반 성취기분 분석 로드맵 348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프레임워크 기반 단원 설계 사례 355

참고문헌 358

색인 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