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박영사/박영스토리 분야별 도서
닫기
통일보건의료의 미래
신간
통일보건의료의 미래
저자
전우택 외
역자
-
분야
의료/보건/미용
출판사
박영사
발행일
2023.08.30
개정 출간예정일
페이지
390P
판형
신A5판
ISBN
979-11-303-1822-6
부가기호
93510
강의자료다운
-
정가
22,000원

초판 2023.8.30

 

통일을 대비한 보건의료역량 개발을 위해 2014년 연세의료원 통일보건의료센터가 설립되었고 올해로 10년이 되었습니다. 통일보건의료센터는 한반도 통일 전후 남북한 주민의 전인적인 건강 향상을 위하여 보건의료 분야 전반에 걸친 연구, 교육, 대외협력사업 등을 수행하고 있으며, 북한 보건 의료와 관련된 연구, 교육 사업의 일환으로 매월 1회 통일보건의료세미나를 진행하고, 매년 세브란스 통일의 밤 행사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또한 학생 기획단 활동 및 비무장지대와 판문점 견학 프로그램, 통일의 밤 등의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지난 10년간의 통일보건의료센터 활동을 담아 소중한 책으로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이 책은 크게 총 4, 13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부는 탈북 북한주민과 의사들이 실제로 북한에서의 체험을 정리하였고, 2부는 센터에 소속된 연구자들이 향후 통일보건의료 영역에서 이루어져 나가야 하는 다양한 과제들을 연구한 내용을 묶었으며. 3부는 코로나-19 팬데믹 관련하여 남북보건의료협력과 남북관계변화 등에 대해 다루고 있고, 4부는 탈북민 정착지원 활동가에 대한 지원프로그램 운영 경험을 실었습니다. 마지막에는 부록으로 연세의료원 통일보건의료센터가 지나온 10년간의 발자취를 담았습니다.

 

오랜 분단으로 북한의 보건의료는 제도, 건강문화, 질병관, 의료인력 양성체계 등 여러 측면에서 매우 달라져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건강격차 및 의료문화 이질성 극복 등, 통일 후 의료상황에 대비하는 노력을 지속해야 합니다. 이 책이 앞으로의 큰 성과를 위한 길잡이가 되기를 바랍니다.

 

그동안 센터활동과 이를 담은 책을 발간하기까지 많은 분들의 헌신과 노력이 있었습니다. 먼저 이 책의 발간을 주관하시면서 모든 정성을 아끼지 않으신 전우택 교수님과 박용범 소장님, 그리고 모든 집필진, 관계자분들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또한 이러한 성과가 있기까지 센터설립과 발전을 위해 힘써 주신 이철, 정남식, 윤도흠 전임 의료원장님께도 감사의 마음을 표합니다. 감사합니다.

 

20238

연세대학교 의무부총장 겸 의료원장

윤 동 섭



서문

 

 

 

 

 

 

 

“90년대 (북한에서) 파라티푸스 돌 때 콜레라도 돌았어요. 그 때 집 없는 사람을 우리 엄마가 6개월 거둬주었어요. 집이 없어서 애 엄마하고 애 셋이 한 밤 중에 우리 집에 왔거든요. 그런데 내쫓지도 못하고(우리) 엄마가 마음이 좋으니까. 그런데 그 엄마하고 아이들이 콜레라에 걸려가지고, 어느 날 설사를 하는데 쌀뜬물을 쏟는 것처럼 (대변을) 쏟는 거예요. 그러니까 장판이 다 벗겨지고그래서 비닐을 깔고 마루에그리고 병원을 가자하였는데, (병원에 갈려면) 걸어서 20분 정도 걸리니까 기운이 없어서 가지를 못하는 거예요. 그런데 우리도 못 먹고 굶주리니까 우리도 기운이 없는 거예요. 그래 못 데려갔어요. 그 다음날 새벽에 (그 사람들이) 미동이 없는 거예요. 보니까 죽은 거예요. 그렇다고 해서 울어줄 사람도 없고그래도 사람이 죽은 걸 알려는 되잖아요. 동사무소에 알렸더니 관도 없는데그냥 꽃제비들 (죽으면 안치하는) 병원에 가져다가 사체실에 넣으라는 거예요. 그랬더니 (우리) 엄마가 그렇게는 못한다. 애들도 있고, (죽은 여자의) 남편도 있고. 남편은 이미 전에 죽어서. 그런데 병원에 가서 사체실에 갔더니 시신을 밟고 안쪽으로 갔어야 했어요. 그랬더니 진물이 막 있으니까 물이 줄줄줄 흐르는 거예요. 그런데 그걸 넣어 놓았는데, 엄마가 맘이 안 좋으니까, (죽은 아이들의) 그 고모가 있었는데. 관이라도 해서 묻어줘야 할 거 아니냐 (그랬어요) 그게 96년이었어요. 겨우 널을 얻어서 관을 만들고(그 여자) 남편 있는데다 묻어줬었어요

 

한 사회가 붕괴되었을 때, 그래서 그 사회 안에서 어떤 보건의료적 활동도 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었을 때, 사람들은 어떤 고통 속에 있게 되고, 어떤 죽음을 죽어야 하였는지를 그 탈북자 분은 조용히 이야기해 주었다.

우리 큰 애가 90년도 생인데 제가 집에서 출산을 했는데 저희 아이가 밤낮으로 계속 우는 거예요. 그때 친정집에서 출산을 했는데, (저희) 엄마가 애가 너무 우니까 어디 가서 병원 의사를 데려다가 물어보니까 약이 없어요. 그런데 애가 바람이 들어서그렇다는 거예요. 그래서 일단 애가 바람이 든 걸 뽑아야 되는데 약이 없는 거예요. 그래서 엄마가 어디어디 알아보고 해서. 그것도 동네 다른 사람들의 말을 듣고 쑥을 절구에 다 쪄서 비닐 장막에 쭉 깔거든요. 그리고 거기다가 아이를 감쌌거든요, 그랬더니 아이가 바람이 싹 빠져가지고, 그렇게 했더니 아이가 제 정상으로 해서. 그 다음부턴 울지 않았던 경험이 있었고

 

이 이야기가 고려시대 이야기인지 아니면 조선시대 이야기인지 구분이 안 되는, 민간요법들에 의지해 살아가야 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도 이어졌다.

 

저는 89년도 그 때 이유 없이 계속 머리가 아팠거든요. 머리가 아픈데, 일단은 열도 나기는 하지만 아무리 약을 먹어도 낫지 않고누워서 계속 벽에다 머리를 찧었거든요. 우리가 평소 가는 진료소는 리() 진료소가 아니라 공장에 있는 진료소이거든요. 그래서 거기 의사가 왕진을 왔다가 침도 놓고, 처방을 해도 낫지 않으니까 일단 시() 병원으로 의뢰서를 해주더라구요. 그래서 시 병원에 입원을 했는데, 내가 입원한 호실에는 다 나와 비슷한 사람들이 입원을 했더라구요. 그런데 그냥 거기서() 일반적으로 간단한 주사나 놓고 하는데, 회복, 완치가 되는 게 없거든요. 그런데 우리 호실 환자 중에 그 남편이 그 시병원에(서 일하는) 그런 부인이 입원을 했는데 그때 그 부인은, 소련의 벌목 가는 사람들이 내다파는 약이 있었는데 시가가 850원을 했거든요. 그 때 쌀 1kg 5원인가 할 당시에 약이 그러면 대단한 가격이었거든요. 그 약 이름이 제가 기억이 안 나는데(그 부인은 그 약을 구입하여) 그걸 혈관투여를 했거든요. 포도당에 희석을 해가지고. 그런데 그 분이 그걸 맞고 금방 회복해서 나간 거예요 (퇴원한 거예요). 그래서 (저의) 엄마가 면회를 왔는데 엄마 저기 있던 여자는 그 주사를 맞고 나갔다이렇게 했더니 우리 엄마가 바로 (나가서) 세 통을 사온 거예요. 그래서 저도 그 세 통을 맞고 그냥 바로 그 자리로 낫더라니까요. 그래서 그 때 그렇게 퇴원한 적이 있어요. 그런데 그때도 90년대 전이었는데. 그때도 개인이 좋은 약을 써야만이 빨리 회복할 수 있었어요. 병원 약으로는 낫는 게 쉽지 않았어요.”

 

어느 사회나 그러하듯이, 질병은 단순히 생물학적인 현상만이 아니었다. 그 생물학적인 현상을 둘러싼 보이지 않는 경제적 구조들과 정치 역학, 그리고 크고 작은 특권들과 돈의 움직임이라는 사회적 현상이 생물학적 현상과 함께 있었다. 무상의료라는 것을 가장 중요한 사회적 덕목으로 자랑스럽게 선전하던 북한에서도, 그 안의 인민들은 그와는 전혀 다른 생존법칙을 따라야 했다.

 

이 책의 1(1~2)는 탈북한 북한주민들(1)과 북한의사들(2)이 실제로 북한에서 체험하였던 자신들의 이야기를 정리한 것이다. 그 동안 나와 있던 북한 보건의료 관련 자료들이 주로 북한과 국제기구에서 출간된 정책과 숫자 중심의 문건들을 토대로 만들어졌던 것이라면, 본 내용들은 실제 그 안에서 살았고 활동했던 사람들의 경험을 정리하고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자료들과 상호보완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이 글들은 본 연구팀이 2021년에 <통일과 나눔> 재단으로부터 지원을 받아 수행한 북한 의료인 출신 북한이탈주민 및 일반 북한이탈주민을 통하여 보는 북한주민들의 건강의식과 건강행동 연구의 결과물이다. 이 연구를 통하여 남한에 들어와 계시는 탈북민 중 북한에서 의료인으로 활동하셨던 19(의사 6, 치과의사 3, 약사 3, 간호사 7), 그리고 비의료인 출신 탈북민 20명과의 면담이 이루어졌다. 이 서문의 앞에 소개된 이야기들도 그 때 비의료인 출신 탈북민들이 하셨던 말 중 일부분을 옮긴 것이다.

 

2(3~8)는 연세의료원 통일보건의료센터에 소속된 연구자들이 향후 통일보건의료 영역에서 이루어져 나가야 하는 다양한 과제들을 의학, 치의학, 보건학, 간호학, 약학 분야에서 연구한 내용들을 묶은 것이다. 특히 소아과 전문의로서 연세의료원 의료선교센터에 계시는 최원규 박사님이 의료선교적 차원에서의 통일보건의료 과제를 써 주신 것에 깊이 감사드린다.

 

3(9~10) 내용 중 10장은 전 세계 및 남한과 북한이 모두 코로나-19 앞에서 큰 고통을 당하고 있었던 2022년에 <통일과 나눔> 지원을 받아 진행된 팬데믹 시대의 남북보건의료협력과 통합방안연구의 결과물이다. 이 연구를 통하여 실제로 북한에서의 코로나-19 상황 전개 및 북한의 그에 대한 대응, 그리고 향후 북한과 남한, 국제사화와의 협력 방안을 정리하였다. 백신에 대한 국제 지원을 거절한 가운데 2022년 코로나-19의 유행기간을 지나갔던 북한이었다. 바이러스의 낮은 치사율 때문에, 일단은 어느 정도 경하게 그 기간이 지나갔지만, 향후 언제든지 세계적 팬데믹은 다시 있을 수 있고, 향후 치사율이 높은 바이러스가 유행할 경우, 북한은 감염과 그 대응에 있어 매우 취약할 수 있기에, 이 연구 내용이 향후 북한과의 보건의료 협력에 있어 의미 있는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9장은 남북 관계가 극도로 경색되어 있는 현 시점에서, 코로나-19 팬데믹과 같은 완전히 다른 차원의 한반도 위기가 남북관계에 새로운 변화를 줄 수 있는 전환점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한 검토를 한 내용이다.

 

4(11~13)는 연세의료원 통일보건의료센터가 2019년과 2020년 두 해 동안 <통일과 나눔> 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탈북민 정착지원 실무자 역량 강화 및 소진대응 프로그램의 결과물이다. 이 프로그램은 남한에 들어와 있는 탈북자들의 남한 사회 정착을 지원하는 활동을 하고 계신 분들을 지원하는, “Help for Helper program”이라는 뜻에서 “H2 program”이라 명명하였었다. 탈북민들의 남한 사회 정착 지원을 하고 계신 활동가들 중 북한출신 10, 남한 출신 10명을 매년 선발하여, 이 분들이 가지고 계신 공통의 어려움을 함께 이야기 할 수 있는 기회를 드리고, 모두가 겪고 있는 탈진에서 벗어날 수 있는 전문적인 훈련도 받도록 해 드리며, 그 분들끼리의 네트워크를 만들어 추후에도 서로가 서로를 도울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이었다. 2019년 프로그램은 아직 코로나-19가 발생하기 전에 운영되었기에 오프라인 현장 프로그램으로 운영되었고, 2020년 프로그램은 코로나-19로 인하여, 온라인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여 운영하였다. 이 결과물이 향후 탈북민들의 남한 사회 정착 지원을 하고 계신 분들과 그 관련 기관들에 의미 있는 참고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10년 전인 2014, 연세의료원에서는 향후 한반도에서 전개되어야 하는 통일보건의료 관련 활동과 그 준비를 위하여 통일보건의료센터를 설립하였다. 그 설립을 허락하시고 격려하여 주셨던 이철 의료원장님, 그리고 설립 이후 센터가 그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도록 이끌어 주셨던 정남식 의료원장님, 윤도흠 의료원장님, 윤동섭 의료원장님께 감사드린다. 그리고 센터 설립 시에서부터 많은 가르침을 주셨던 김원호 명예교수님께도 감사드린다. 지난 10년 동안 센터의 의학, 치의학, 간호학, 보건학, 약학 각 영역에서 운영위원으로, 그리고 이 책의 저자로 수고하여 주신 모든 분들에게 감사를 드린다. 특히 필자의 뒤를 이어 통일보건의료센터 소장으로 수고하여 주셨던 박용범 교수님께 깊이 감사드린다. 다수의 통일부 프로젝트 등을 통하여 통일보건의료에 대한 왕성한 연구 활동을 하고 계신 의과대학 내과학교실의 염준섭, 강영애 교수님, 인문사회의학교실의 이훈상, 이혜원 객원교수님들께도 감사드린다. 센터가 처음 만들어 질 때 간사로서 큰 수고를 하여준 최성경 박사님과 그 이후에 간사로 수고하여 주신 손인배 박사님께 감사드린다. 그리고 이 책이 만들어 지도록 수고하여 주신 인문사회의학교실의 신보경 박사님에게도 감사드린다. 무엇보다도 이 책의 1, 3, 4부가 구성되도록 지원하여 주셨던 <통일과 나눔> 재단에도 깊이 감사드린다. 언제나 책의 출간에 흔쾌히 동의해 주시고 아름다운 책으로 만들어 주시는 박영사 모든 분들께도 깊이 감사드린다.

 

지난 10년간의 통일보건의료센터 활동을 통하여 이룩한 가장 큰 수확은 사람이었다. 한국 보건의료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연세의료원 안에 통일을 바라보고 준비하고자 하는 교수, 직원, 대학원생, 학부 학생들이 새로이 많이 만들어 진 것이다. 앞으로 이 분들의 활동을 통하여 우리나라와 세계가 준비하여야 하는 통일보건의료의 미래가 더 튼튼히 구축되기를 기대한다. 연세의료원 통일보건의료센터가 설립된 2014년과 같은 해에, 통일보건의료학회가 창립되었었고, 지난 10년간 이 영역에서의 중심적 역할을 하여 왔다. 학회를 통하여 함께 활동하시고 연구하신 분들의 덕분에 이 책의 많은 내용들이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었고, 노력할 수 있었다. 그것에 감사드린다. 이 책의 대부분 저자들은 통일보건의료학회에서 출간하여 현재 중요한 교과서적 기능을 하고 있는 <한반도 건강공동체 준비>(2, 2021)의 저자들로도 참여하였었다. 이번에 새로 출간되는 이 책은 학회에서 나온 책과 그 내용면에서 중복되지 않으면서도 상호보완 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학부 학생들과 대학원생들, 그리고 전문 연구자들에게 이 책들이 교육과 연구, 그리고 현장 활동에서 의미 있게 사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북한의 날씨가 추워져도, 더워져도, 가뭄이 들어도, 홍수가 나도, 기근이 심하다는 말을 들어도, 어떤 전염병이 돈다는 말을 들어도, 북한 인민들을 생각하면 늘 마음이 아프다. 그 어린 아이들과 청소년들, 여성들과 노인들, 그리고 청년들과 장년들을 생각하면 마음이 아프다. 인간으로서의 삶이 갖추어야 할 조건과 목적에서, 지금 남과 북은 큰 차이를 가지고 있다. 그것에 마음이 아프다. 보건의료라고 하는 것이, 한반도에서 그 아픔을 치유해 나가는 의미 있는 도구가 되기를 소망한다.

 

20238

통일과 치유를 소망하며

저자를 대표하여 전우택 씀

 

전우택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학교실, 정신건강의학교실, 인문사회의학교실 교수로 재직 중이다. 사회정신의학자로서 통일, 북한, 북한이탈주민, 남남갈등, 사회통합에 대한 연구를 하여 왔다. 한반도평화연구원 원장, 통일보건의료학회 이사장, 대통령 직속 통일준비위원회 민간위원,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한국자살예방협회 이사장, 한국의학교육학회 회장 등을 역임하였고, 현재 통일부 통일미래기획위원회 위원이다. 주요 저서로는 <사람의 통일, 땅의 통일>(연대출판부, 2007), <트리우마와 사회치유>(역사비평사, 2019), <평화와 반평화>(박영사, 2021), <한반도 건강공동체 준비>(박영사, 2, 2021) 등이 있다.

 

 

공동 저자

 

김경숙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인문사회의학교실 객원교수이다. 북한에서 태어나 자라나고 공부했다. 그러나 소위 적대계급 출신이었기에 많은 차별과 고통을 받아오다가 북한을 탈출해 한국으로 들어왔다. 2017년 탈북 여성의 폭력 경험과 트라우마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분단된 한반도 지정학적 위기를 배경으로 북한 체제의 트라우마 및 북한 사람의 트라우마 이해와 치유, 한반도 트라우마와 치유, 북한 인권과 북한 시민 사회, 평화 사상, 용서와 화해 등에 관해 연구하며 활발한 저술 활동을 하고 있다.

 

김소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인문사회의학교실 의료법윤리학과 교수로서 연세의료원 통일보건의료센터 보건학 기획단장, 의료법윤리학연구원 원장으로 재직중이다.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보 기술서기관, WHO WPRO Legal staff을 역임하였으며, 한국의료법학회 회장, 국제보건학회 편집위원장, ()아주 남북한 보건의료연구소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국제보건총론>(계축문화사, 2023), <노인보건학>(계축문화사, 2018), <환자안전을 위한 의료판례분석>(박영사, 2017), <남북한 보건의료 제11권 국제개발협력관점에서의 대북 보건의료지원: 감염병 관리를 중심으로>(재단법인, 아주남북한 보건의료연구소, 2017), <예방의학과 공중보건학(3)>(계축문화사, 2017) 등이 있다.

 

김옥심

북한이탈주민이며,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현재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BK21 ‘S-L.E.A.P 미래간호인재 교육연구단의 연구원으로 바이오마커 기반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복합성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측정도구 개발 및 사회적 회복 요소 발굴연구에 참여하고 있다. 북한이탈주민과 그 가족들이 직면하고 있는 다양한 문제와 특히, 북한이탈주민과 자녀들의 건강에 관심이 있다.

김재송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약무국 약무정보파트장으로 재직 중이며, 연세대학교 약학대학 겸임교수이다. 사회약학자로서 현재 통일보건의료학회 이사, 연세의료원 통일보건의료센터 위원, 한국병원약사회 홍보위원장, 한국정맥경장영양학회 홍보위원장으로 활동 중이다. 저서로는 <한반도 건강공동체 준비>(박영사, 2, 2021), <사회행동학적 측면에서의 약료>(신일북스, 2017), <세상에서 제일 좋은 직업 약사>(범문에듀케이션, 2016)가 있다.

 

박용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교수(류마티스학), 인문사회의학교실, 의학교육학교실 겸무교수로 재직 중이며, 연세의료원 통일보건의료센터 소장을 역임하고, 현재는 연세의료원 제중원보건개발원 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한반도 건강공동체 준비>(박영사, 2, 2021)이 있다.

 

손은선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약무국장으로 재직 중이며, 연세대학교 약학대학 겸임교수이다. 약학대학과 연계한 약학기획단 창단과 활동에 기여한 바가 크고, 약제부서가 통일에 관심을 갖도록 지속적으로 독려하고 있으며, 연세의료원 통일 수액 나눔 행사에 최다 부서원이 참여한 바 있다. 저서로는 <사회행동학적 측면에서의 약료>(신일북스, 2017), <세상에서 제일 좋은 직업 약사>(범문에듀케이션, 2016)가 있다.

 

손인배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인문사회의학교실 박사후 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한반도 문제를 연구하는 연구자로서 통일, 북한이탈주민, 사회통합, 남북보건의료협력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이 외에도 지표, 지수 개발 작업에 참여하고 있으며, 한반도 번영의 경제적 귀결을 관심 영역으로 다루고 있다. 한반도평화연구원 행정팀장, 연세의료원 통일보건의료센터 간사를 역임했으며, 현재 연세의료원 통일보건의료센터 연구위원, 23기 통일부 국립통일교육원 통일교육위원이다. 저서로는 <트리우마와 사회치유>(역사비평사, 2019)가 있다.

 

신보경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인문사회의학교실 기초연구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보건학자로서 몸과 마음에 공유된 기억으로 새겨지는 사회적 트라우마가 개인과 집단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러한 사회적 트라우마를 사회를 통해 치료하고 치유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주요하게 연구하고 있다. 이 외에도 통일 의료, 북한이탈주민, 북한, 갈등화해학, 평화학 등을 주요 관심 연구영역으로 다루고 있다. 현재 연세의료원 통일보건의료센터 연구위원, 통일보건의료학회 총무간사이다. 주요 저서로는 <트리우마와 사회치유>(역사비평사, 2019), <한반도 건강공동체 준비>(박영사, 2, 2021) 등이 있다.

 

이영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학교실 연구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심리학회 임상심리전문가, 보건복지부 정신건강임상심리사 1급 자격소지자로, 세브란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임상심리 수련감독자로 근무하며 심리평가, 심리치료 등의 업무를 수행한 바 있고, H2 프로그램에서는 프로그램 구성과 진행, 결과 분석을 담당하였다. 한국임상심리학회 임상심리전문가 수련이사, 정책및제도이사, 총무이사 등을 역임하였다.

이재훈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보철학교실 교수로 재직 중이다. 연세의료원 산하 통일보건의료센터 치의학기획단장이며 치의학 분야의 통일관련 연구를 하여 왔다. 해당분야에서 여러 차례 통일보건의료학회에서 발표와 중국에서 여러 차례 북한 치과의사들을 교육한 경험이 있다. 저서로는 <한반도 건강공동체 준비>(박영사, 2, 2021) 최근 논문으로는 북한이탈주민의 구강보건서비스 경험이 구강건강관리행태에 미치는 영향”(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2022)이 있다.

 

이정임

1990년부터 백병원과 삼성서울병원에서 내·외과 중환자실 및 암병원 간호사로 26여년간 근무하였다. 20161년간 KOICA 봉사단으로 Nephal Pokhara Western Regional Hospital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활동하였으며 연세대학교 의료법윤리학연구원Afria Ghana UHAS 대학 보건의료교육 역량강화 사업26개월간 참여하였다. 현재 연세대 의과대학 인문사회의학교실 박사후 과정, 연세대 의료법윤리학연구원, () 아주남북한보건의료연구소 사무국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남북보건의료협력증진을 위한 법, 남북보건의료관련법, 보건권(human right to health), RMNCAH 등에 관심이 있다.

 

정진현

서울대학교 시흥캠퍼스 산업중점교수로 재직 중이다. 연세대학교 약학대학에서 교수로 재직 중 세브란스통일의료기획단 약학 분야에서 활동하였고, 제약바이오특성화대학원 사업단장을 5년 간 맡아 왔으며 바이오공정인력양성센터인 K-NIBRT의 교육센터장을 3년 간 역임하였다. 현재는 의약품제조기준인 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의 제정을 하는 국제기구인 PDA(Paranrteral Drug Association)의 한국회장을 맡고 있다.

 

최원규

연세대학교 의료원 제중원보건개발원 의료선교센터 국제사역디렉터, 의과대학 소아과 및 인문사회의학교실 겸무교수로 재직 중이고, 통일보건의료센터 운영위원이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M.D., Ph.D.) 및 미국 바이올라대학교 탈봇신학대학원(M.Div.)을 졸업하였다. 연세의료원의 몽골사역책임자로 몽골국립의과학대학교 및 부속병원과 연세친선병원에서 교수, 중앙연구실장, 소아과자문의, 원장 등을 역임하였다.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몽골지회 자문위원(2013-2019)으로 활동하였다. 현재 인터서브선교회 파트너 및 이사이다. 저서로는 <복음은 초원과 사막을 넘어>(홍성사, 공저 2018), <현대 의료 선교학>(미래사cross, 공저 2018), 박사논문으로 <체제전환국가에서 이루어진 합작병원사업의 의료선교적 의미>(연세대학교, 2022)가 있다.

 

추상희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교수로 재직 중이며, 통일보건의료학회 이사, 연세의료원 통일보건의료센터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약리학을 전공한 간호학자로 북한이탈주민의 심혈관계 건강과 트라우마, 바이오마커, 사회적 회복 요소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으며, 전공선택교과목인 통일과 간호를 운영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북한 간호의 현재와 미래과제>(아주남북한보건의료연구소, 2019), <한반도 건강공동체 준비>(박영사, 2, 2021)가 있다.

 

 

 

 

 

통일보건의료의 미래

 

 

 

발간사 _윤동섭

서문 _전우택

 

 

 

PART 01

북한 주민들과 북한 의료인들의 북한 보건의료 현장 경험

 

01 북한 주민들의 보건의료 경험 분석 _전우택, 신보경, 손인배

02 탈북 북한의사 6인의 북한 보건의료 현장 이야기 _전우택

 

 

 

PART 02

보건의료에서 통일미래 만들기

 

03 통일보건의료 교육 경험 _박용범, 김소윤, 신보경

04 치의학 영역에서의 통일 준비와 과제 _이재훈

05 북한 및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간호 연구현황과 과제 _김옥심, 추상희

06 북한 모자보건의 질적향상을 위한 협력방안 _이정임, 김소윤

07 약학 영역에서의 통일 준비 _김재송, 손은선, 정진현

08 통일보건의료의 의료선교적 접근 _최원규

 

PART 03

북한 COVID-19에 대한 성찰

 

09 COVID-19와 한반도 평화
: COVID-19는 한반도에서 게임 체인저가 될 수 있는가? _전우택

10 북한 팬데믹 상황에 대한 보건의료 협력방안 _신보경, 이정임, 손인배

 

 

 

PART 04

탈북민 정착지원 활동가에 대한 지원 프로그램 운영경험

 

11 남북한 출신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자의 역량 강화 및 소진대응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_신보경

12 탈북민 정착지원 실무자를 위한 역량강화 및 소진대응 프로그램의 효과
_이영준, 손인배

13 탈북민 돌봄 실무자 감성지능, 업무능력 향상 분석

-소진 예방 및 역량 강화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_김경숙

 

 

부록 연세의료원 통일보건의료센터 10년간의 활동요약(2014-2023)

 

저자소개

 

차례

 

 

발간사_윤동섭

서문_전우택

 

 

 

PART 01

북한 주민들과 북한 의료인들의 북한 보건의료 현장 경험

 

01 북한 주민들의 보건의료 경험 분석 _전우택, 신보경, 손인배

 

. 서론 4

. WHO 보건의료체계 여섯 가지 구성요소를 활용한 분석 7

1. WHO 보건의료체계 여섯 가지 구성요소 7

2. 연구의 구성 8

. 주요 분석내용 12

1. 보건의료 전달체계 12

2. 보건의료 인력 17

3. 보건의료 정보시스템 20

4. 보건의료 접근성 25

5. 보건의료 재정 30

6. 리더십과 거버넌스 33

. 효율적인 남북보건의료 협력 활성화 방안 36

1. 지속적인 인도주의적 지원과 낮은 건강의식 개선을 위한 보건의료 교육 지원 36

2. 보건의료 인력과의 협력 관계 지원 38

3. 북한 내 건강 불평등 완화를 위한 지원 38

. 결론 및 시사점 39

 02 탈북 북한의사 6인의 북한 보건의료 현장 이야기 _전우택

 

. 시작하는 말 45

. 북한 보건의료 현장 이야기 47

1. 호담당의사제도 47

2. 정성의학 50

3. 무상치료의 붕괴 54

4. 북한 의료진의 능력 59

5. 북한의 코로나-19 65

6. 대북 보건의료 지원 73

. 마치는 말: 성찰과 제안 84

1. 이상과 현실 사이의 갈등 84

2. 부정부패에 대한 절망감 86

3. 처벌 위주의 관료적 체계 속에서의 생존을 위한 대응 87

4. 남한의 대북보건의료 협력 방향 평양이 아닌, () 인민병원 지원 89

5. 북한 의사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필요 91

 

 

PART 02

보건의료에서 통일미래 만들기

 

03 통일 보건 의료 교육 경험 _박용범, 김소윤, 신보경

 

. 시작하는 말 96

. 통일보건의료 교육의 중요성 98

. ‘통일보건의료교육 경험 99

1.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DMH 선택과목 통일과 의료” 99

2.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통일보건의료” 106

. 마치는 말 107

 

04 치의학 영역에서의 통일 준비와 과제 _이재훈

 

. 시작하는 말 110

. 치의학 의료 통합을 위한 문제점 111

1. 교육 112

2. 진료 114

. 결론 118

 

 

05 북한 및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간호 연구현황과 과제 _김옥심, 추상희

 

. 서론 122

1. 연구의 필요성 122

. 연구 방법 124

1. 문헌 검색 방법 124

2. 문헌 선정 기준 124

. 연구 결과 125

1. 문헌의 일반적 사항 125

2. 주제별 연구결과 127

3. 북한이탈주민의 건강 136

. 연구의 시사점 및 미래 과제 149

1. 본 연구의 시사점 149

2. 간호연구의 과제와 제언 151

 

 

06 북한 모자보건의 질적향상을 위한 협력방안 _이정임, 김소윤

 

. 시작하는 말 160

. 생식건강 관점에서 북한의 모자보건 현황 160

1. 법적·제도적 측면의 북한 모자보건 현황 161

2. 국제사회 보고된 모자보건 현황 163

. 북한 모자보건 향상을 위한 제안 168

1. 먼거리 의료 봉사 체계에 지원 169

2. 보건의료 인력 재교육 지원 171

3. 남북 보건의료 협력의 제도화 172

. 마치는 말 174

 

 

07 약학 영역에서의 통일 준비 _김재송, 손은선, 정진현

 

. 시작하는 말 177

. 본문 178

1. 보건의료서비스 전달 178

2. 보건의료인력 180

3. 보건의료 접근성: 의약품 183

4. 보건의료 리더십 및 거버넌스 187

5. 기타 188

. 마치는 말 192

 

 

08 통일보건의료의 의료선교적 접근 _최원규

 

. 시작하는 말 196

. 통일보건의료선교 사례 198

1. 약자와 소외된 자를 찾아서(A단체) 198

2. 내일의 평화와 통일의 주인공을 만나며(B의과대학) 199

3. 의료인이 북()을 북(book)으로 알아가기(북모임) 199

4. 화해의 풀뿌리 만들기(NEAR) 200

5. 학문적 연구 및 실천의 기초 만들기(KPI) 200

. 선교의 개념 201

1. 선교 201

2. 총체적 선교(Wholistic Mission) 206

3. 의료 선교 211

. 통일보건의료의 의료선교적 접근 213

1. 의료선교의 주체는 하나님이다 213

2. 궁극적인 의료선교의 목적은 하나님을 위해서 하는 것이다 215

3. 의료선교를 실천하는 것은 하나님의 방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216

. 마치는 말 217

 

 

PART 03

북한 COVID-19에 대한 성찰

 

09 COVID-19와 한반도 평화
: COVID-19는 한반도에서 게임 체인저가 될 수 있는가? _전우택

 

. 시작하는 말: 마지노선이 주는 교훈 222

. 인류에게 주어진 세 개의 과제 또는 진짜 적 224

1. 1과제: 영토와 주권의 확보라는 과제 224

2. 2과제: 인간의 자유로운 창의성과 기업가 정신 및 활동을 만드는 과제 225

3. 3과제: 인간의 보편적 생존 위기와 관련된 과제 226

. 한반도가 해결하여야 하는 과제 228

1. “우선순위 경직성을 극복할 수 있어야 한다 229

2. COVID-19를 한반도 교착 상태의 게임 체인저로서 해석하는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230

3. 한반도 건강공동체를 구성할 수 있는 구체적 활동에 나서야 한다 232

. 마치는 말: 한민족이 세계에 던질 “K-메시지(K-message)” 233

 

 

 

10 북한 팬데믹 상황에 대한 보건의료 협력방안 _신보경, 이정임, 손인배

 

. 들어가며 236

. 개념 논의 240

1. 원조의 확장적 가치: 회복탄력성과 지속가능성 240

2. 정책적 전환의 필요성 대두 제거, 억제, 완화 243

. 코로나19 바이러스(SARS-CoV-2)의 변이에 대한 대응 245

1. 영국 245

2. 프랑스 246

3. 독일 246

4. 미국 247

5. 일본 248

6. 한국 248

7. 중국 249

. 북한과 코로나19 257

1. 북한의 대응 및 전략 257

2.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북한의 취약상황 270

. 팬데믹 상황에서의 남북보건의료 협력 증진 방안 274

1. 남한 내 협력 275

2. 국제사회와의 협력 277

. 마치며 281

 

 

PART 04

탈북민 정착지원 활동가에 대한 지원 프로그램 운영경험

(H2: Help for the Helper)

 

11 남북한 출신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자의 역량 강화 및
소진대응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_신보경

 

. 북한이탈주민과 정착지원자의 관계 296

. 연구방법 299

1. 프로그램 개발 과정 299

2. 프로그램 실행 및 평가 300

. 연구결과 301

1. 분석 301

2. 설계 302

3. 개발 303

4. 적용 304

5. 평가 305

. 결론 및 제언 308

 

 

12 탈북민 정착지원 실무자를 위한 역량강화 및 소진대응 프로그램의 효과
_이영준, 손인배

 

. 들어가며 316

. H2 프로그램 구성 및 효과 318

1. 프로그램 개요 318

2. 설문 평가 도구 321

3. 설문 분석 결과 321

. 나가며 330

 

13 탈북민 돌봄 실무자 감성지능, 업무능력 향상 분석
-소진 예방 및 역량 강화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_김경숙

 

. 들어가는 말 337

. 선행 연구 339

1. 감정노동과 소진과의 관계 339

2. 감성지능: 자기인식과 자기조절 341

. H2 프로그램 내용 및 연구 방법 343

1. H2 프로그램 내용과 방법 343

2. 연구 방법 요약 345

. 연구 결과 347

1. 자기 인식 348

2. 타인 이해 353

3. 리더십의 변화 355

4. 행복감 증진의 힘 357

5. 심리적·신체적 회복 358

. 논의 및 프로그램 효과성 360

 

찾아보기 _369

 

 

부록 연세의료원 통일보건의료센터 10년간의 활동요약(2014-2023) 377

 

연세의료원 통일보건의료센터 소개 378

연세의료원 제중원보건개발원 통일보건의료센터 월례 세미나 381

세브란스 통일의 밤 385

 

저자소개 _3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