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판발행 2025.04.10
머리말
메타버스는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는 현존감을 구현하여 세상을 바꾸는 미래 기술이다. 현실인물이 가상인물로 변환되어 디지털 가상세상에서 생활하고 반대로 디지털 가상인물이 물리적 현실에서 생활하기도 하여 디지털 세상과 물리적 세상을 넘나들어 현실과 가상이 구분이 모호해지는 메타버스 세상이 구현되는 것이다. 가까이 다가오는 메타버스 세상은 현재는 미래를 구성하고 미래는 현재를 구성한다는 미래학의 ‘미래와 현재의 상호구성원리’가 적용이 되지 않는 것이다.
메타버스는 인터넷과 스마트폰에 이어 세 번째 IT혁명을 가져오는 혁신기술로서 지금까지 겪어본 적 없는 세계로 우리를 인도하게 될 것이다. 경제, 산업, 사회, 교육 등 우리를 둘러싼 환경과 삶이 새로운 방식으로 바뀌게 될 것이다. 이러한 메타버스는 단순히 잠시 지나가는 트렌드가 아니며 새로운 문명으로 불러야 할 정도로 거대하고 빠른 흐름으로 세상을 뒤흔들어 새로운 변화를 일으키게 될 것이다.
미래학자 레이 커즈와일은 ‘특이점이 온다’라는 저서에서 2020년대 후반이 되면 가상현실은 현실과 구분이 불가능할 정도로 정교해져 오감 충족은 물론 감정을 자극하여 인간과 기계, 현실과 가상현실, 일과 놀이 사이에 경계가 없어지게 될 것이라 예측한다. 코로나 19로 인해 메타버스는 디지털전환이 더욱 가속화되면서 초실감의 구현이란 이 예측은 현실이 되어 가고 있는 것이다. 미래를 선도하는 MS, 애플, 구글, 페이스북, 아마존, 테슬라 등의 빅태크들은 메타버스를 미래 신성장 사업으로 삼아 막대한 투자가 이루어져 메타버스 시장은 2030년에 최고 3조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세상을 혁신적으로 변화발전시킨 요인이 무엇인가?에 많은 학자들의 논쟁의 결과를 보면 혁신적인 기술에 의해 세상이 변화 발전시킨다는 기술결정론이 다수설이다. 바로 메타버스라는 기술이 또 세상을 혁신적으로 크게 바꾸게 될 것이라 예상되는 것이다.
저자는 이 책을 저술하면서 메타버스에 의해 우리가 사는 이 세상에 중요한 한 부분인 부동산의 미래는 어떻게 변화 발전할 것인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래서 메타버스에 의한 몇 가지 부동산의 변화발전을 상상하면서 부동산의 미래에 대한 해답에 접근하려고 하였다
메타버스로 부동산의 미래는 현실세계와 가상세계가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시공을 초월하면서 다양한 부동산활동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부동산 메타버스 플랫폼이 활성화되어 이용자들은 메타버스에서 다양한 부동산 활동의 영역이 더욱 확장되어 현실세계보다 규모가 더욱 커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대체불가토큰(NFT)에 의해 부동산 거래가 더욱 활성화될 것이다. 디지털 세상과 현실 세계의 경계가 모호해져 디지털 기반 부동산 소유권 인증서인 NFT가 메타버스에서 더욱 강화될 것이다.
본 서는 메타버스는 부동산의 혁신적인 변화와 발전을 기할 수 있는 중요한 기술로서 부동산 측면에서 메타버스에 대해 학습할 참고도서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이 되어 2년간에 걸쳐 집필을 하였다. 따라서 본 서를 통해 부동산 측면에서 메타버스에 대한 이해와 창의적인 인사이트가 창출되고 부동산산업의 혁신적이며 글로벌한 프롭테크 발전에 도움이 되길 바라며, 메타버스에 의한 부동산의 미래에 대한 연구와 정책수행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본 서를 집필하는데 아내 김금숙님은 늘 곁에서 성원해 주고 생소한 용어와 내용으로 인내심이 요구됨에도 자료정리와 교정작업을 하여 주었고, 우리 가족 진현, 용현, 혜민과 예쁜 다미에게 감사와 사랑을 보낸다.
2025년 4월
별내 서재에서
恥人 경정익
경정익
저자는 빅데이터, 블록체인, 인공지능, CPS 등 정보기술의 부동산 활용과 제4차 산업혁명, 인구구조 변화, 도시 변화, 북한 부동산 변화 등 메가 트렌드에 대한 연구에 관심을 두고 있으며, 미래 부동산의 변화와 발전을 주제로 연구·집필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대학 및 공공·교육기관에서 자문과 강의를 진행하며, 부동산 정보기술 및 미래 부동산 분석에 대한 특별 강연을 하고 있다.
현재 인하대 정책대학원, 명지대·한성대 부동산대학원, 동국대 행정대학원, 중앙대, 세종사이버대, 서울·한양·세계사이버대 등에서 부동산 정보론, 부동산 빅데이터 분석, 부동산 블록체인 활용, 미래 부동산 분석 등의 강의를 맡고 있으며, 한국금융연수원 및 다수의 부동산 최고위 과정(매일경제사, 동국대, 아주대, 부산교대, 성동구청, 서초구청 등)과 명지대, 국민대, 인하대 등에서 제4차 산업혁명과 정보기술 발전의 활용을 주제로 강연을 진행하고 있다.
학력
행정학박사(부동산 정보화정책)
부동산학석사, 공학석사(정보통신학)
경력
인하대학교 정책대학원 초빙교수
국토교통부 국가공간정보사업 기술평가위원
한국부동산정보분석연구원장
국민대학교 정보기술연구소 연구위원
도시계획/도시재생 심의/평가위원(강북구, 관악구, 동대문구, 의정부시, 평택시, 가평군, 성남시)
한국자산관리공사 온비드 발전 자문위원장
서대문구 공유재산심의위원회 부위원장
공인중개사 자격시험 출제위원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자문 및 평가위원
성남도시개발공사 기술자문위원
인천도시공사 기술자문위원
한국광해관리공단 심의자문위원
NCS(국가직무능력표준) 부동산분야 집필/검토위원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 부동산 빅데이터 자문교수
인천신용보증재단 자문위원
포항 테크노파크 빅데이터 자문위원
하나자산신탁빅데이터 자문위원
광명시 빅데이터 공모심사위원
산업통상자원부 지식경제 기술혁신 전문위원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평가위원
공공기관 정보화사업부문 기술자문 및 평가위원
(한국해양과학기술진흥원,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국가산업융합지원센터, 경기과학기술진흥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서울산업진흥원, 경북 S/W 진흥센터)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및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보호 전문강사
문화체육관광부 개인정보보호 자문위원
㈜씨에이에스 개인정보보호 자문위원
한국공인중개사협회, 대한주택건설협회, 대한주택관리사협회 교수
경기도 공무원 연수교육 외래교수
한국금융연수원 강사
한국천문연구원 평가위원
한국부동산산업학회 학술부위원장
한국부동산경영학회 학술이사
한국부동산분석학회 정회원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정회원
한국정책포럼 학술이사
서울시 도시공간정보포럼 운영위원
주요 저서
부동산정보화의 이해(2013)
개인정보보호 이해와 해설(2015)
스마트 빅데이터 시대 부동산정보화의 이해(2015)
행정안전부 개인정보보호 중개업 자율규약(2017)
제4차산업혁명시대 부동산정보기술론(2018)
부동산빅데이터블록체인프롭테크(2020)
국민체감형 부동산정보제공 공저(2021)
부동산정보기술론 개정판(2021)
부동산중개 경영이론과 실무 공저(2024)
주요 학술논문
∙ 부동산 정보시스템의 품질이 중개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2010), 한국부동산분석학회, 「부동산학연구」 제16집제1호.
∙ 부동산정보정책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2010), 한국공공관리학회, 「한국공공관리학보」 제24집제3호.
∙ 부동산정보화정책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2011), 가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부동산정보화정책의 효율성을 위한 개선방안(2011), 한국부동산분석학회, 「부동산학연구」 제17집제3호.
∙ 부동산정보화정책의 성공요인에 대한 인식분석 :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비교(2012), 한국공공관리학회, 「한국공공관리학보」 제26집제1호.
∙ 모바일 부동산 정보시스템의 특성이 만족도와 재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2012), 한국부동산분석학회, 「부동산학연구」 제18집제3호.
∙ 부동산 포털사이트의 매물정보 품질 개선에 관한 연구(2013), 한국부동산분석학회, 「부동산학연구」 제19집제3호.
∙ 기술수용모델을 이용한 공인중개사의 정보화활용 행동에 관한 연구(2014), 한국부동산분석학회, 「부동산학연구」 제20집제4호.
∙ 부동산분야의 빅데이터 활용 방안과 정책적 제언(2014), 한국부동산경영학회, 「부동산경영」 제10집.
∙ 부동산분야에서 빅데이터 전략적 활용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2015), 한국부동산산업학회, 「부동산산업연구」 창간호.
∙ 부동산분야의 빅데이터 도입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2015), 한국감정원, 「부동산분석」 창간호.
∙ 빅데이터에 의한 부동산활동 의사결정모형에 관한 연구(2015), 한국부동산경영학회 학술대회 연구발표.
∙ Text Mining에 의한 부동산 빅데이터 감성분석 모형 개발 연구(2016), 한국주택학회, 「주택연구」 제24권제4호.
∙ 빅데이터에 의한 부동산정책 현안진단 및 수용예측방법론(2017), 한국부동산경영학회, 「부동산경영」 제15집.
∙ 부동산 분야의 빅데이터 활용(2017), ㈜하나자산신탁, 「Real Estate Issue & Market Trend」 Vol.15. June.
∙ 제4차산업혁명시대, 부동산산업의 정보기술 수용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2018), 대한부동산학회, 「대한부동산학회지」 제36권제3호.
∙ 블록체인에 의한 부동산 변화 연구(2019), 한국부동산경영학회 후반기 세미너 연구발표.
∙ 제4차산업혁명시대 도시재생의 스마트기술 도입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요인(2020), 한국감정원, 「부동산분석」 제6권제1호.
∙ 블록체인에 의한 부동산 산업과 시장의 혁신에 관한 연구(2020), 한국부동산분석학회 제5차 부동산산업의 날 학술대회 연구발표(2020.11.11).
∙ 제4차산업혁명시대 부동산분야의 블록체인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2021), 미래사회전략연구소, 「미래사회」 제12권제1호.
∙ 뉴 노멀시대 프롭테크 발전방향(2021), 한국부동산산업학회 「부동산산업연구」, 제4권제1호.
∙ 프롭테크 동향과 진화방향에 대한 소고(2022), 한국부동산융복합학회, 「부동산융복합연구」 제2권제2호.
∙ 블록체인기반 부동산거래플랫폼의 구축 핵심요인에 관한 연구(2022), 한국부동산원, 「부동산분석」 제8권 제3호.
∙ 코로나 19가 국내 부동산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변화에 관한 연구(2023), 미래사회전략연구소 「Journal of Future Society」 제14권제8호.
주요 연구수행
∙ 2011년 (한국연구재단) 모바일 부동산 정보시스템의 특성이 만족도와 재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국립방재연구원) 거버넌스형 안전도시 포털시스템 설계
∙ 2012년 (한국연구재단) 부동산 포털사이트의 매물정보 품질 개선에 관한 연구
(행정안전부) 안전지수DB 구축 및 안전지수 활용방안 연구
(국토지리정보원) 지명법 제정에 따른 하위규정 제정(안) 마련 연구
∙ 2013년 (한국연구재단) 기술수용모형을 이용한 공인중개사의 정보화활용 행동에 관한 연구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안전정보 통합운영관리 ISP수립 및 지역안전진단 시스템 개발
∙ 2014년 (한국연구재단) Text Mining에 의한 부동산 Big Data 감성분석 모형 개발 연구
(대한지적공사 공간정보연구원) 창조경제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공간정보생태계 활성화 전략 연구
∙ 2015년 (한국연구재단) 빅데이터에 의한 부동산정책 현안진단 및 예측방법론 개발
∙ 2016년 (한국연구재단) 빅데이터분석을 통한 부동산정책 평가방법론 개발
(한국산업인력공단) NCS 학습모듈 개발(부동산중개 정보제공)
(한국인터넷진흥원) 중개업 개인정보보호 자율규약 작성
∙ 2017년 (한국연구재단) 제4차산업혁명시대 부동산산업의 정보기술 수용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2018년 (한국연구재단) 제4차산업혁명시대 도시재생의 스마트기술 도입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요인
∙ 2019년 (한국연구재단) 제4차산업혁명시대 부동산분야의 블록체인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 2020년 (한국연구재단) 블록체인기반 부동산거래플랫폼의 구축 핵심요인에 관한 연구
∙ 2021년 (한국연구재단) 코로나 19가 국내 부동산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변화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원) 국민체감형 부동산정보제공 방안 공동연구
∙ 2022년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 제6차 환경계획수립
(인천신용보증재단) 인천신용보증재단 미래발전 전략 연구
∙ 2023년 (인천광역시) 한강하구 생태환경 보존관리 연구
∙ 2024년 (한국연구재단) 사용자의도 중심의 가상부동산플랫폼 개발에 관한 연구
(인천광역시 연수구의회) 공동주택관리 운영 실태조사 연구
(인천광역시) 한강하구 생태환경 협력지원사업 연구
PART 1
미래사회와 부동산
CHAPTER 1 미래사회와 메타버스
section 1 미래에 대한 상상 4
Ⅰ. 미래를 들어가 보며 4
Ⅱ. 급변하는 미래 세상 6
section 2 미래사회 12
Ⅰ. 인간의 상상으로 그려지는 미래의 모습 12
Ⅱ. 미래사회에 대한 다양한 담론 14
section 3 미래연구 필요성 15
Ⅰ. 미래예측 15
Ⅱ. 미래의 불확실성 16
Ⅲ. 미래연구 필요성 19
Ⅳ. 패러다임과 패러독스 21
Ⅴ. 미래연구 방법론 25
section 4 부동산의 미래 변화 30
Ⅰ. 부동산 미래에 영향을 미칠 주요 이슈 30
Ⅱ. 부동산 변화와 발전의 주요 트렌드 32
CHAPTER 2 제4차산업혁명과 사회변화
section 1 제4차산업혁명 등장과 특징 39
Ⅰ. 제4차산업혁명의 등장 39
Ⅱ. 제4차산업혁명론 40
Ⅲ. 제4차산업혁명의 특징 43
section 2 제4차산업혁명의 사회변화 48
Ⅰ. 제4차산업혁명 혁신적 기술과 영향 49
Ⅱ. 제4차산업혁명과 산업구조 변화 53
Ⅲ. 제4차산업혁명시대 부동산 변화 67
section 3 코로나 19의 영향과 변화 72
Ⅰ. STEEP에 의한 영향과 변화 73
Ⅱ. 코로나 19로 인한 부동산 변화 79
CHAPTER 3 디지털전환과 부동산
section 1 디지털전환 86
Ⅰ. 디지털전환의 의의 86
Ⅱ. 디지털전환에 의한 사회변화 89
section 2 디지털경제 96
Ⅰ. 디지털경제의 등장 96
Ⅱ. 디지털경제의 특징과 변화 98
Ⅲ. 디지털정보의 생산·유통상 특징 101
Ⅳ. 디지털경제 원리 103
Ⅴ. 디지털경제하의 기술경쟁: 수확체증, 창조적 파괴 109
Ⅵ. 디지털 수렴과 산업변화 112
PART 2
메타버스와 정보기술 융합
CHAPTER 4 메타버스 기술발전
section 1 메타버스 개요 118
Ⅰ. 메타버스 등장 배경 120
Ⅱ. 메타버스 어원 123
section 2 메타버스 개념 125
section 3 메타버스 구성요소, 유형 및 활용 130
Ⅰ. 메타버스 구성요소 130
Ⅱ. 메타버스 유형 131
section 4 메타버스 요소기술과 동향 139
Ⅰ. 메타버스 요소기술 139
Ⅱ. 메타버스 플랫폼 141
Ⅲ. 메타버스 생태계 및 기술동향 144
Ⅳ. 메타버스 주요기술 동향 146
section 5 메타버스 산업 변화 166
Ⅰ. 메타버스 시장 분석 166
Ⅱ. 산업용 메타버스 확대발전 167
CHAPTER 5 메타버스와 블록체인·NFT
section 1 대체불가능토큰(NFT) 개념과 원리 174
Ⅰ. 대체불가능토큰(NFT) 개념 176
Ⅱ. 대체불가능토큰 특성 178
Ⅲ. NFT를 통한 디지털 아이템의 경제성 179
Ⅳ. 대체불가능토큰 생태계 180
Ⅴ. 대체불가능토큰과 블록체인 연계 181
section 2 메타버스와 블록체인·NFT 186
Ⅰ. 메타버스의 NFT 역할 186
Ⅱ. 메타버스의 NFT 활용 187
Ⅲ. 메타버스에서 DAO 관점 블록체인 연계 방안 189
Ⅳ. 메타버스 플랫폼에서의 NFT 거래 190
PART 3
메타버스 정책과 활용
CHAPTER 6 메타버스 추진정책
section 1 메타버스 정책 개관 194
section 2 주요국 메타버스 정책 196
Ⅰ. 미국 메타버스 추진정책 196
Ⅱ. 중국 메타버스 추진정책 197
Ⅲ. 유럽연합 메타버스 추진정책 200
Ⅳ. 영국 메타버스 추진정책 202
Ⅴ. 일본 메타버스 추진정책 203
Ⅵ. 중동지역 메타버스 정책 동향 204
section 3 국내 메타버스 정책 206
Ⅰ. 국내 메타버스 정책 추진 206
Ⅱ. 메타버스 관련 법·제도 211
CHAPTER 7 메타버스 활용과 전망
section 1 메타버스 시장 전망 214
section 2 메타버스 활용 215
Ⅰ. 메타버스 기반 디지털 전환 218
Ⅱ. 메타버스 분야별 활용 224
Ⅲ. 메타버스 디지털 휴먼 232
section 3 메타버스 발전 전망 240
Ⅰ. 메타버스에 의한 산업 발전 240
Ⅱ. 메타버스에 의한 분야별 변화 전망 243
section 4 메타버스 제한과 한계 249
Ⅰ. AI와 메타버스 융합과 개인정보 249
Ⅱ. 해결할 과제 253
section 5 메타버스 향후 변화 256
Ⅰ. 메타버스 기술 발전 동향 257
Ⅱ. 메타버스 기술 발전 전망 259
Ⅲ. 메타버스 개발 방향 269
PART 4
메타버스 프롭테크
CHAPTER 8 프롭테크
section 1 프롭테크의 핵심기술 274
section 2 프롭테크 개관 277
Ⅰ. 프롭테크 개념과 범주 278
Ⅱ. 프롭테크 비즈니스 주요 가치 283
Ⅲ. 프롭테크 현황 287
section 3 국내·외 프롭테크 동향 290
Ⅰ. 프롭테크 성장과 발전 290
Ⅱ. 프롭테크 투자유치 동향 291
section 4 분야별 주요 프롭테크 300
Ⅰ. 주요 프롭테크 300
Ⅱ. 프롭테크 선도 비즈니스 모델 308
Ⅲ. 프롭테크 분석 312
section 5 프롭테크 발전과 진화방향 320
section 6 프롭테크의 미래 326
CHAPTER 9 메타버스 부동산 활용
section 1 부동산의 메타버스 활용 필요성 332
Ⅰ. 비대면시대 부동산 메타버스 활용 가속화 332
Ⅱ. 부동산의 메타버스 활용 필요성 335
section 2 부동산의 메타버스 활용 337
Ⅰ. 부동산 비즈니스 협업 337
Ⅱ. 부동산 시뮬레이션 341
Ⅲ. 부동산 개발 344
Ⅳ. 부동산 관리 및 임장활동 347
CHAPTER 10 메타버스 프롭테크
section 1 메타버스 프롭테크 개관 354
Ⅰ. 메타버스 프롭테크 도입 배경 354
Ⅱ. 메타버스 프롭테크 의의 357
Ⅲ. 메타버스 프롭테크 전망 360
section 2 메타버스 프롭테크 현황 361
Ⅰ. 해외 메타버스 프롭테크 362
Ⅱ. 국내 메타버스 프롭테크 376
section 3 메타버스 프롭테크 평가 381
section 4 메타버스 프롭테크 생태계 385
Ⅰ. 메타버스 프롭테크 생태계 구성 385
Ⅱ. 메타버스 프롭테크 환경과 인식 변화 387
section 5 메타버스 프롭테크 구현 핵심요인 388
Ⅰ. 메타버스 프롭테크 상호작용 유형 388
Ⅱ. 메타버스 프롭테크 구현 방안 393
참고문헌_400
찾아보기_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