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박영사/박영스토리 분야별 도서
닫기
고령사회와 부동산
신간
고령사회와 부동산
저자
김준형
역자
-
분야
부동산학
출판사
박영사
발행일
2024.10.15
장정
페이지
400P
판형
사륙배판
ISBN
979-11-303-1925-4
부가기호
93320
강의자료다운
색도
4도
정가
28,000원
초판발행 2024.10.15

고령사회의 출현이 부동산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전망은 어렵지 않게 관찰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망은 과연 얼마나 정확한가? 충분한 실증적 근거를 갖고 있는가? 사실 이에 대해 적지 않은 학술연구가 진행되었으나, 그 결과들은 아직 우리 사회에 충분히 전달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고는 고령화가 주택, 부동산, 도시 등에 걸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양한 이론과 정확한 연구결과들을 풍부하게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토대로 독자들은 고령사회에 대한 다양한 전망과 예측들에 대해 논리적으로 탄탄한 시각과 통찰력을 기초로 올바르게 이해하고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자소개

김준형

서울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에서 도시계획학 석사 및 박사학위를

수여받았다. 주택 및 부동산 정책 수립의 실증적 근거를 발견하고, 또 그 영향을 파악하는 연구를 주로 수행하고 있으며, 약 70여 편의 학술논문을 게재하였다. 고령사회와 부동산이란 주제에 대해 “고령화와 주택시장: 은퇴 전후 주택소비 변화를 중심으로(2011)”를 필두로 9편의 학술논문을 게재하는 등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대구대학교 도시 · 지역계획학과를 거쳐 2013년부터 명지대학교 부동산학과에서 주택정책, 도시계획, 연구조사방법론 등을 강의하고 있다.

차례

제1장 들어가며

1 본고의 목적................................................................ 5

2 본고의 구성................................................................ 14


제2장 고령화의 이해

1 정해진 미래................................................................ 27

2 고령화의 추이................................................................ 30

3 고령가구의 추이................................................................ 42

4 고령화의 지역적 맥락................................................................ 50

5 소결................................................................ 62


제3장 고령가구의 이해

1 인구학적 특성................................................................ 71

2 경제적 특성................................................................ 85

3 신체적, 사회적 특성................................................................ 106

4 소결................................................................ 129


제4장 고령가구의 주택 다운사이징

1 다운사이징과 주택시장................................................................ 139

2 주택 다운사이징의 원인................................................................ 142

3 주택 다운사이징의 반론................................................................ 146

4 실증연구의 결과................................................................ 150

5 소결................................................................ 155


제5장 고령가구의 주택 점유형태

1 주택 점유형태와 그 결정................................................................ 161

2 고령가구의 주택 점유형태 변화................................................................ 168

3 실증연구의 결과................................................................ 170

4 소결................................................................ 180


제6장 고령가구의 부동산자산

1 자산구조의 결정................................................................ 187

2 고령가구의 자산구조 결정................................................................ 192

3 실증연구의 결과................................................................ 195

4 소결................................................................ 201


제7장 부동산자산의 이전

1 자산이전에 대한 이론................................................................ 208

2 주택 및 부동산자산의 이전................................................................ 212

3 실증연구의 결과................................................................ 214

제8장 고령가구와 주택연금

1 모기지와 역모기지................................................................ 231

2 주택연금의 개념 및 현황................................................................ 236

3 주택연금의 주요 이슈................................................................ 249


제9장 고령가구의 주거이동 및 주거입지

1 머무르는가, 이동하는가?................................................................ 260

2 이동의 목적지................................................................ 267

3 실증연구의 결과................................................................ 273


제10장 고령가구의 주택유형과 주택개조

1 고령가구의 주택유형................................................................ 286

2 고령가구의 주택개조................................................................ 303


제11장 고령사회의 도시계획

1 개요................................................................ 327

2 물리적 요인................................................................ 330

3 비물리적 요인................................................................ 335

4 맺으며................................................................ 343


제12장 고령자를 위한 부동산개발

1 들어가며................................................................ 351

2 보건복지부의 노인주거복지시설................................................................ 352

3 중앙정부 및 서울시................................................................ 366

4 현황 및 문제점................................................................ 372


제13장 국외 사례

1 미국................................................................ 389

2 일본................................................................ 403

우리 사회는 급속한 고령화에 직면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부동산 시장의 변화는 앞으로 우리 삶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런 사회 현상을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신간도서 고령사회와 부동산(저자 김준형, 출판사 박영사)이 출간됐다.

고령사회와 부동산은 고령화와 부동산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탐구한 책으로, 고령 가구의 특성과 그들의 주택 다운사이징, 주택 점유 형태, 자산 구조, 주택연금, 주거 이동 및 입지 선택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이 책은 단순히 고령화와 부동산의 연관성을 분석하는 데 그치지 않고, 실증적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자료와 통찰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독자는 주택시장과 고령화라는 주제를 이해하고 나아가 고령 가구의 주택 시장에서의 행동과 선택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국내외 사례를 비교함으로써, 국내 상황에 맞는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등 고령사회의 부동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까지 모색한다.

이 책은 학생들을 위한 교재로도 활용될 수 있고, 일반인들 나아가 정책 결정자와 연구자들에게는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신간도서 고령사회와 부동산은 급변하는 사회적 변화에 대응하고자 하는 모든 이들에게 유용한 지침서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