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소개
김준형
서울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에서 도시계획학 석사 및 박사학위를
수여받았다. 주택 및 부동산 정책 수립의 실증적 근거를 발견하고, 또 그 영향을 파악하는 연구를 주로 수행하고 있으며, 약 70여 편의 학술논문을 게재하였다. 고령사회와 부동산이란 주제에 대해 “고령화와 주택시장: 은퇴 전후 주택소비 변화를 중심으로(2011)”를 필두로 9편의 학술논문을 게재하는 등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대구대학교 도시 · 지역계획학과를 거쳐 2013년부터 명지대학교 부동산학과에서 주택정책, 도시계획, 연구조사방법론 등을 강의하고 있다.
차례
제1장 들어가며
1 본고의 목적................................................................ 5
2 본고의 구성................................................................ 14
제2장 고령화의 이해
1 정해진 미래................................................................ 27
2 고령화의 추이................................................................ 30
3 고령가구의 추이................................................................ 42
4 고령화의 지역적 맥락................................................................ 50
5 소결................................................................ 62
제3장 고령가구의 이해
1 인구학적 특성................................................................ 71
2 경제적 특성................................................................ 85
3 신체적, 사회적 특성................................................................ 106
4 소결................................................................ 129
제4장 고령가구의 주택 다운사이징
1 다운사이징과 주택시장................................................................ 139
2 주택 다운사이징의 원인................................................................ 142
3 주택 다운사이징의 반론................................................................ 146
4 실증연구의 결과................................................................ 150
5 소결................................................................ 155
제5장 고령가구의 주택 점유형태
1 주택 점유형태와 그 결정................................................................ 161
2 고령가구의 주택 점유형태 변화................................................................ 168
3 실증연구의 결과................................................................ 170
4 소결................................................................ 180
제6장 고령가구의 부동산자산
1 자산구조의 결정................................................................ 187
2 고령가구의 자산구조 결정................................................................ 192
3 실증연구의 결과................................................................ 195
4 소결................................................................ 201
제7장 부동산자산의 이전
1 자산이전에 대한 이론................................................................ 208
2 주택 및 부동산자산의 이전................................................................ 212
3 실증연구의 결과................................................................ 214
제8장 고령가구와 주택연금
1 모기지와 역모기지................................................................ 231
2 주택연금의 개념 및 현황................................................................ 236
3 주택연금의 주요 이슈................................................................ 249
제9장 고령가구의 주거이동 및 주거입지
1 머무르는가, 이동하는가?................................................................ 260
2 이동의 목적지................................................................ 267
3 실증연구의 결과................................................................ 273
제10장 고령가구의 주택유형과 주택개조
1 고령가구의 주택유형................................................................ 286
2 고령가구의 주택개조................................................................ 303
제11장 고령사회의 도시계획
1 개요................................................................ 327
2 물리적 요인................................................................ 330
3 비물리적 요인................................................................ 335
4 맺으며................................................................ 343
제12장 고령자를 위한 부동산개발
1 들어가며................................................................ 351
2 보건복지부의 노인주거복지시설................................................................ 352
3 중앙정부 및 서울시................................................................ 366
4 현황 및 문제점................................................................ 372
제13장 국외 사례
1 미국................................................................ 389
2 일본................................................................ 403
우리 사회는 급속한 고령화에 직면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부동산 시장의 변화는 앞으로 우리 삶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런 사회 현상을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신간도서 『고령사회와 부동산』(저자 김준형, 출판사 ㈜박영사)이 출간됐다.
『고령사회와 부동산』은 고령화와 부동산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탐구한 책으로, 고령 가구의 특성과 그들의 주택 다운사이징, 주택 점유 형태, 자산 구조, 주택연금, 주거 이동 및 입지 선택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이 책은 단순히 고령화와 부동산의 연관성을 분석하는 데 그치지 않고, 실증적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자료와 통찰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독자는 주택시장과 고령화라는 주제를 이해하고 나아가 고령 가구의 주택 시장에서의 행동과 선택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국내외 사례를 비교함으로써, 국내 상황에 맞는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등 고령사회의 부동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까지 모색한다.
이 책은 학생들을 위한 교재로도 활용될 수 있고, 일반인들 나아가 정책 결정자와 연구자들에게는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신간도서 『고령사회와 부동산』은 급변하는 사회적 변화에 대응하고자 하는 모든 이들에게 유용한 지침서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