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판발행 2025.04.09
서문
1970년대 한국에서 추진된 새마을운동은 세계 최빈국이었던 한국을 경제 10위권의 대국에 이르게 한 근본 원동력이었다. 이같은 획기적 성과에 대하여 국제사회가 주목하면서 오늘날 새마을운동은 개발도상국의 효과적인 발전모델로 널리 인식되기에 이르렀고 이와 함께국제사회의 협력요청 또한 그만큼 증대되었다. 이같은 요청과 관련 새마을재단은 2010년경부터 아시아, 아프리카의 16개국을 대상으로 한국의 새마을운동 경험을 전수하고 협력하는 사업을 전개하여왔다. 사업의 핵심적 내용은 대상국마다 몇 개 마을을 선정하여 주민과의 협력을 바탕으로 커뮤니티 발전을 위한 시범사업을 전개하고 추진하는 것이었다. 추진결과 대다수의 사업은 전통적 ODA사업과는 비교할 수 없을만큼 상당한 성과를 거두었다. 그 성과는 투입물량에 비례한 것이아니었다. 주민의 자발적 참여와 체계화된 관리지원을 통하여 그 성과는 승수적이었다. 또한 그 성과는 물량적인 것에 그치지 않았다. 마을주민의 의식을 변화시키고 그에 따라 지속적 자생발전의 역량을 배양하기에까지 이르렀다. 당연히 지역의 특성과 참여의 성격과 정도에 따라 성과의 크기와 정도에는 차이가 존재한다. 그러므로 보다 확장적이고 고양된 성과의 담보를 위해서는 모범적 사례를 발굴하여 그 방법과 절차를 널리 알릴 필요가 있다. 이같은 인식에 따라 새마을재단은 대상사업지 중에서 성과가 높은 모범 사례를 발굴하여 널리 알리고자 하였다. 그러한 목적으로 선정된 대상이 코트디부아르의 씽골리마을이다. 씽골리의 성과는 물량면에서 주민의식면에서 괄목할 만하다. 따라서 이 마을에서의 새마을운동의 진행과정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게 된다면 향후 새마을사업은 물론 유사한 국제개발협력사업에 유용한 영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것이 이 책의 발간배경이다.
이 책은 일차적으로는 새마을운동에 관심 있는 일반인과 전문가를 대상으로 집필되었다. 여기에는 새마을교육 담당자, 새마을현장 실천가, 새마을운동 참여자 등이 포함될 것이다. 나아가서 이 책은 새마을운동을 넘어서 일반적으로 국제개발협력사업에 관심 있는 독자를 대상으로 포함한다. 새마을운동 관련 국제개발협력의 성공사례는 새마을운동을 넘어서 일반적 국제개발협력사업에도 유용한 교훈과 지침을 줄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 책은 국제개발협력과정에서 한 마을의 성공적 변화과정을 시작부터 종점에 이르기까지 자세하게 기술한 보고자료의 성격을 갖기 때문에 특히 국제개발협력사업을 설계하고 자문하는 전문가, 실무자들에게 유용한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현장에 대한 생생한 기록을 포함한 자료로서 교육현장에서도 흥미있게 다가오는 교육자료로서의 활용도도 높을 것이다.
씽골리의 주민들은 이구동성으로 이야기한다. “우리의 삶이 바뀌었습니다.” 이 책은 그들의 삶이 어떻게 바뀌었는지, 왜 바뀌었는지, 어떻게 바뀌어 갈지를 알게 해 줄 것이다. 아무쪼록 씽골리마을의 주민과 새마을협력 실천가들의 땀과 눈물로 얼룩진 이 이야기가 새마을국제협력, 나아가 국제사회의 개발협력의 향후 발전에 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2025.3.
새마을재단 대표이사 이승종
새마을재단 소개
인류 공영과 행복한 사회를 꿈꾸는 새마을재단
새마을재단은 새마을운동의 성공 경험과 노하우를 전 세계와 공유하고, 한국사회의 새로운 도약을 위해 새마을정신을 되새기며 공동체 회복에 힘쓰고자 설립된 비영리재단입니다. 2005년 경상북도가 시작한 ‘새마을세계화사업’을 이어 받아 2012년 ‘새마을세계화재단’이 설립되었고, 2022년 ‘새마을재단’이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국내외 새마을운동의 가치 확산과 국제개발협력의 파트너로서 활약하고 있습니다.
이제 새마을재단은 16개국에서 추진한 새마을사업의 성과를 바탕으로 마을을 넘어 국가 차원의 새마을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해당 국가의 정부와 긴밀하게 협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소득증대와 더 나은 생활편의를 위한 환경개선 사업을 지속할 뿐만 아니라, 문화적 소외나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문화와 ICT가 결합한 ‘스마트새마을’로의 확대 · 전환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Ⅰ 씽골리마을 생존에서 생활로 · 1
제1장 씽골리 새마을 사업의 표본 ....................................... 3
제2장 씽골리마을의 환경 및 여건 ..................................... 15
Ⅱ 씽골리마을, 성공의 홀씨 되어 · 37
제3장 씽골리 니즈와 여건 ............................................... 39
제4장 씽골리마을, 새마을운동을 만나다 ........................... 52
제5장 씽골리 새마을사업의 씨앗 이야기 ........................... 68
Ⅲ 씽골리 새마을 시범마을 추진과정과 전략 · 83
제6장 씽골리 시범마을조성 선정 및 사전조사 ..................... 85
제7장 씽골리 새마을 사업 추진전략과 사업관리 ............... 103
Ⅳ 새마을 마중물로 만든 기적 · 129
제8장 씽골리 새마을 조성사업 요소와 산출물 .................. 131
제9장 소득 증대 .......................................................... 146
제10장 마을(생활)환경 개선 .......................................... 169
제11장 주민자치역량증대: 사업성과의 지속가능성 ........... 190
Ⅴ Thanks, 새마을! · 221
제12장 새마을 시범마을의 성공경험 ................................. 223
제13장 결론 및 제언: 씽골리 사례의 활용 ....................... 242
요약 .......................................................................259
참고자료 .................................................................266
부록 1 ....................................................................267
부록 2 ....................................................................269
부록 3 ....................................................................277
부록 4 ....................................................................282
부록 5 ....................................................................292
색인 .......................................................................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