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박영사/박영스토리 분야별 도서
닫기
반려동물미용사
신간
반려동물미용사
저자
이미림 외7
역자
-
분야
반려동물
출판사
박영스토리
발행일
2025.02.28
장정
무선
페이지
508P
판형
사륙배판
ISBN
979-11-7279-093-6
부가기호
93490
강의자료다운
색도
4도
정가
35,000원

초판발행 2025.02.28

서문


반려동물미용사의 역할과 중요성


반려동물미용사의 중요성

반려동물 산업이 급격히 성장하면서, 반려동물미용사는 단순히 외모를 관리하는 직 업을 넘어 반려동물의 건강과 복지를 책임지는 중요한 역할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반려 동물미용사는 반려동물의 외모를 아름답게 가꾸는 것은 물론, 위생과 건강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첫째, 반려동물미용사는 반려동물의 위생을 관리하는 전문가입니다. 정기적인 목욕과 털 관리를 통해 반려동물이 깨끗한 상태를 유지하게 하고, 피부 질환이나 기생충 감염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또한, 털을 다듬는 과정에서 발견되는 피부 이상이나 종양 등은 조 기 발견과 치료로 이어질 수 있어 반려동물의 건강을 지키는 데 크게 기여합니다.

둘째, 미용사는 반려동물의 정서적 안정에 기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미용 과정 에서의 터치와 관리가 반려동물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하며, 이는 보호자와 반려동 물 간의 유대감을 강화시키는 요소로 작용합니다. 더불어, 반려동물의 생활 환경에 맞춘 미용 스타일은 반려동물이 더 편안하고 쾌적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셋째, 반려동물미용사는 반려동물과 보호자 간의 소통을 돕는 중요한 매개체입니다. 반 려동물의 상태와 필요를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보호자에게 전달하여 적절한 관리와 치료 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돕습니다. 또한, 반려동물의 특성에 맞춘 맞춤형 미용 서비스를 제 공함으로써, 반려동물의 개성을 살리고 보호자의 만족도를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결론적으로, 반려동물미용사는 반려동물의 건강과 행복, 그리고 보호자와의 관계를 증진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들은 단순한 미용사가 아니라, 반려동물의 전 반적인 복지를 책임지는 전문가로서, 반려동물 산업에서 없어서는 안 될 필수적인 존재 입니다.


이 미 림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동물매개자연치유 석사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반려동물산업학과 박사과정 현) 부천대학교 반려동물과 겸임교수

라라반려동물교육센터 본부장 펫코리아뉴스 대표이사 한국반려동물학회 이사 한국반려동물자격능력평가원 이사

전) LS홀딩스 대표

전) 부산 경상대학교 반려동물보건과 외래교수

관심분야: 반려동물 미용학(긍정강화미용), 동물매개심리치료학, 펫아로마테라피, 펫푸드테라피 등 이메일: milim3@naver.com

이 창 현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동물매개자연치유 석사 현) 동명대학교 반려동물학과 객원교수

천안 연암대학교 겸임교수 카사노바에리 켄넬 대표

FCI / KKF 국제 전견종 심사위원

FCI / KKF 국제 전 카테고리 미용심사위원

KKF 국제 주니어쇼멘쉽 핸들러 심사위원

KKF 한국애견연맹 마스터그루머, 마스터 핸들러

FCI / KKF 카테고리 구루밍 책 와이어폭스테리어 공저 관심분야: 반려동물 미용학, 핸들링, 품종학, 반려동물 행동학 등 이메일: toyterrier@hanmail.net

민 자 욱

원광대학교 보건 · 보완의학대학원 동물매개심리치료학전공 동물매개심리치료학 석사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동물응용과학전공 농학 박사

현) 원광대학교 반려동물 산업학과 겸임교수

숭실사이버대학교 뷰티예술학과 반려동물관리전공 특임교수 디지털 서울 문화예술대학교 반려동물과 겸임교수 마스터그루밍클럽 대표

한국동물매개심리치료학회 상임이사 해결중심치료학회 이사

FCI / KKF 전견종심사위원

 

FCI / KKF 애견미용심사위원

전)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겸임교수

관심분야: 반려동물학, 반려동물 미용학, 동물매개심리치료학 등 이메일: ja3343@naver.com

김 현 주

경상국립대학교 수의학과 학사 서울대학교 수의학과 석사, 박사수료 현) 부천대학교 반려동물과 교수

경기도 반려동물테마파크 반려마루 운영위원회 위원(경기도) 고양시 동물복지위원회 위원(고양시)

경기도 창업지원사업 산학연협의체 전문가(경기도) 동물보건사 자격시험위원회 위원(농림축산식품부)

동물보건사 양성기관 인증위원회 위원(한국수의학교육인증원) 동물보건사 양성기관 인증평가위원회 위원(한국수의학교육인증원) 한국동물보건사대학교육협회 이사

전) 서정대학교 반려동물과 교수 관심분야: 수의학, 반려동물 동물보건 이메일: vetju@hanmail.net

김 선 주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동물매개자연치유 석사졸업 건국대학교 바이오힐링 동물매개치료학과 박사과정

현) 안동과학대학교 외래교수 개깎쟁이 애견미용실 원장

관심분야: 애견미용, 동물매개치료, 펫아로마테라피, 펫푸드 등 이메일: arlosunju@naver.com

육 근 창

경기대학교 행정복지상담대학원 상담심리학 석사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농학과 박사수료

현) 안동과학대학교 반려동물케어과 교수

KKF 반려견 훈련 심사위원

KKF 반려견 사회화 위원회 부위원장

KKF 국제 훈련기술 연구위원회 위원 전) 위드반려견아카데미 대표

관심분야: 반려견 훈련, 동물매개심리상담, 아동 · 청소년 교육 이메일: yuk690@asc.ac.kr

 

김 다 미

건국대학교 바이오힐링 동물매개치료학과 박사과정 연세대학교 경영학과 대학원 마케팅 석사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동물매개자연치유 석사 연세대학교 응용통계학, 사회학 학사

현) 안동과학대학교 반려동물케어과 외래교수 주식회사 써니웨이브텍 펫테크 서비스 기획 매니저

전) 롯데쇼핑 e커머스 사업본부 마케팅운영팀, 셀러지원팀 등 관심분야: 펫테크, 동물교감치유, 동물복지, 유기동물, 사료영양학 등 이메일: masterdam@naver.com

장 지 혜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반려동물산업학과 석사과정 현) 라라반려동물아카데미 대표원장

한국반려동물자격능력평가원 애견미용 심사위원 한국반려동물자격능력평가원 펫푸드 심사위원

전) 라라반려동물직업전문학원 원장

관심분야: 반려동물미용, 펫푸드, 반려견훈련, 동물매개심리상담 이메일: happy927@daum.net



CHAPTER 01  애견미용의 기초 3

I. 애견미용의 기본 개념 5

II. 견체의 기초 9

III. 개의 보정 31

CHAPTER 02  애견미용 기자재 47

I. 미용 도구 49

II. 미용 소모품 72

III. 미용 장비 78

IV. 안전한 도구 사용을 위한 팁 83

CHAPTER 03  반려동물 건강과 위생 관리 87

I. 반려동물 위생 관리 방법 89

II. 미용 중 발생할 수 있는 건강 문제와 대처법 99

CHAPTER 04 스파 및 입욕 관리 103

I. 브러싱 105

II. 반려견 목욕 107

III. 스파(spa) 112

IV. 입욕(bath) 113

V. 스파 관리의 효과 114

VI. 펫 마사지 기본법 115

CHAPTER 05  반려동물의 피부와 건강 문제 123

I. 반려동물의 피부와 털의 특징 125

II. 반려동물의 피부 질환 및 관리법 132

III. 미용 중에 발생할 수 있는 피부 손상 및 대처법 151

목차 ix

 

CHAPTER 06  애견미용 실무 테크닉 161

I. 견종별 기본 컷 스타일 163

II. 다양한 미용 스타일의 이해와 실습 175

CHAPTER 07 반려동물의 행동 심리학 및 행동 관리 213

I. 반려동물의 발달과정 및 특성 분석 215

II. 반려동물의 불안과 스트레스 해소법 233

III. 반려동물 행동의 이해와 공격성의 원인 245

IV. 안전하고 편안한 미용 환경 만들기 255

CHAPTER 08  윤리와 법규 271

I. 애견미용사의 직업윤리 273

II. 애견미용사가 알아야 할 주요 법률 280

III. 애견미용실의 창업과 운영 286

IV. 애견미용실의 주요 사건 및 분쟁 사례 303

CHAPTER 09  자격증 3급 준비 313

I. 필기시험 대비 315

II. 실기시험 대비 350

CHAPTER 10 자격증 2급 준비 365

I. 필기시험 대비 367

II. 실기시험 대비 385

  부록 425

I. 자격증 시험 안내 427

II. 모의고사 435

III. 용어 4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