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판발행 2025.07.31
오늘날 교육 현장은 끊임없이 변화하며 새로운 질문을 던지고 있습니다. 교사들은 매일 고민합니다. 어떻게 하면 우리 아이들이 단순한 지식 습득을 넘어, 삶과 연결된 의미 있는 배움을 경험할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깊이 있는 성찰과 성장을 이룰 수 있을까? 하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습니다. 물리적인 교실의 한계, 다양한 학습속도를 가진 학생들의 개별 요구, 복잡한 행정 업무 속에서도 수업의 본질에 집중해야 하는 과제들이 산적해 있습니다. 그럼에도 우리는 미래 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며, 학습자와 교사 모두가 행복한 교육 공동체를 꿈꿉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응답하며, 이 책은 하이러닝을 활용한 깊이 있는 수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안합니다. 하이러닝은 단순한 기술 도구를 넘어, ‘Hi: 언제 어디서나 가능한 참여 학습’, ‘High: 개별 맞춤형 교육을 통한 성장 학습’, ‘Hybrid: 온 · 오프라인의 융합 학습’이라는 세 가지 핵심 ‘하이’를 통해 미래 교육의 비전을 구현하고자 합니다. 이는 곧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 즉 학습자 중심의 깊이 있는 배움을 향한 여정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하이러닝은 학생들을 수동적 참여자가 아닌, 자신의 배움을 주도하는 능동적 주체로 변화시킵니다. AI 맞춤형 진단을 통해 학생 개개인의 학습 속도와 수준에 맞춘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은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방식으로 배움을 확장하고 내면화할 수 있습니다. 더 이상 뒷자리에 앉은 아이가 화면이 보이지 않아 소외되거나, 준비물 부족으로 수업 참여가 어려운 일은 없습니다. 실물 교구의 물리적 제약을 넘어선 디지털 환경에서 학생들은 직접 모형을 조작하고 탐구하며, 깊이 있는 원리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기분 표시 기능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고 표현하며, 자유로운 생각과 감정 표현을 통해 사회 · 정서적 역량을 함양하고, 문제 해결 과정을 논리적으로 정리하며 사고를 확장하는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교사들에게도 하이러닝은 놀라운 변화를 가져옵니다. 수업 자료 준비와 행정 업무에 소모되던 불필요한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여, 오직 학생들의 배움과 성장에 더 집중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PPT 애니메이션을 일일이 설정하거나 종이 학습지를 출력하는 대신, 실시간으로 반응하며 학생 화면에 즉시 반영되는 역동적인 수업을 설계할 수 있습니다. AI 기반 진단 및 평가 기능은 학생 개개인의 학습 도달도와 취약점을 정확히 파악하여, 개별 맞춤형 피드백과 보충 · 심화 학습을 지원하는 든든한 조력자가 됩니다. 클래스보드를 통한 학생 활동의 누적 기록과 자리 배치 저장 및 관리 기능은 교실 밖에서도 학생들의 학습 흐름을 이어가고, 관계 중심의 교육을 실현하는 기반을 마련합니다. 수업 참여 신호등을 통해 학생들의 몰입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교사의 수업 진행 자체가 살아있는 애니메이션이 되는 효과를 만들어냅니다.
이 책은 하이러닝이라는 도구를 통해 우리가 추구하는 ‘깊이 있는 수업’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것을 어떻게 실제 교육 현장에 구현할 수 있는지를 탐구합니다. 코로나19와 같은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도 화상 수업, 등교 수업, 영상 수업 등 다양한 형태의 안정적인 학습 환경을 제공하며, 교사와 학생, 학부모가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교육 3주체 시스템을 만들어가는 길을 제시합니다. 학습 놀이를 통해 아이들의 몰입을 이끌어내면서도, 그 배움의 흔적을 체계적으로 기록하여 평가와 피드백으로 연결하는 혁신적인 방법론을 공유합니다. 교과서 미리 읽기나 자기소개, 타임머신 활동, 역할극까지, 하이러닝은 교육활동 전반을 더욱 풍성하고 의미 있게 만듭니다.
이 책에 담긴 다양한 활용 사례와 깊이 있는 통찰은 선생님들께서 하이러닝을 통해 ‘설명’이 아닌 ‘질문과 대화’가, ‘암기’가 아닌 ‘탐구와 표현’이 중심이 되는 수업을 만들어가는 데 귀한 길잡이가 될 것입니다. 하이러닝과 함께, 모든 학생이 자신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고, 배움 그 이상의 가치를 발견하는 깊이 있는 교육의 새로운 장을 열어갈 수 있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 이 여정에 동참하는 모든 선생님들을 두 팔 벌려 크게 환영합니다.
5인 공동저자 드림
조윤호
경기도교육청 소속 초등 수석교사. 경기도교육청 하이러닝 선도교원으로서 하이러닝을 활용한 수업을 컨설팅하고 있고, 4천여명의 회원이 있는 네이버카페 '하이러닝 사용자 모임'을 운영중이다. 2022 개정교육과정 경기도 총론 개정과 다수 교과서를 집필한 경험을 바탕으로 깊이있는 수업과 미래교육에 대한 연구와 연수를 하고 있다.
김경서
경기도교육청 소속 초등교사. 교사는 수업으로 말한다는 철학으로 교수 · 학습 설계와 평가를 연구하며 경기도교육청 정의적 능력 평가 개발 위원으로 활동한 바 있다. 배워서 남주는 삶을 위해 오늘도 학생들과 만나며, 동료 교사들과 함께 소통하고 성장하고 있다.
노기현
경기도교육청 소속 초등교사. 교육의 본질에 디지털 활용 수업 혁신을 더하는 방법으로 수업에 깊이를 더하고 있다. 수업혁신사례 연구대회 전국 1등급 입상, 네이버 소프트웨어야 놀자 티처스랩 파트너스 트랙 연구위원, 경기도교육청 정의적 능력 평가 개발 위원 활동 등 다양한 연구와 실천을 지속 중이다.
전유빈
경기도교육청 소속 초등교사.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수업 혁신을 연구하고, 학습 효과와 학생 참여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실천하고 있다. 학생 한 명 한 명의 성장을 소중히 여기며 함께 어울려 살아가는 교실을 만들어가고 있다.
황수민
경기도교육청 소속 초등교사. AI 기반 깊이 있는 교수 학습 설계를 연구하며 미래 교육 실현을 위한 디지털 학습 환경 구축에 힘쓰고 있다. 연구회, 대학원, 전국 교육자료전 등의 활동을 통한 AI 기반 교육과정 연구를 통해 공교육에서의 미래 교육 방향에 맞는 맞춤형 학습과 평가 자료를 개발하고 있다.
PA R T I 하이러닝을 이해하는 한 걸음
1 하이러닝과 미래교육 10
• 하이러닝이란? 10
• 하이러닝의 3가지 의미 11
• 디지털 기반 학습의 필요성 13
• 교육혁명과 하이러닝의 연관성 14
• 미래 교육 시스템에서의 하이러닝의 역할 15
• 하이러닝 vs AI 디지털 교과서 17
• 디지털 교육의 미래, 코로나 팬데믹 이후에도 계속되어야 하는 이유는? 19
• 2022 개정 교육과정과 하이러닝의 연관성 20
2 하이러닝 활용 사례 22
• HI 학습으로의 평가 22
• HI 학생 주도 학습 29
• HI 삶과 연계된 수업 39
• HI 역량중심 교육 43
3 하이러닝 주요 기능 52
• <하이러닝 준비> ‘초기 설정’ 54
• <하이러닝 준비> ‘학급 관리’ 57
• <하이러닝 준비> ‘학급 경영’ 59
• <교수 · 학습 설계> ‘수업 설계’ 61
• <교수 · 학습 설계> ‘자료 준비’ - 교사 제시 교재 64
• <교수 · 학습 설계> ‘자료 준비’ - 학생 참여용 교재 65
• <교수 · 학습 설계> ‘자료 준비’ - 온라인 칠판 활용(화이트보드) 67
• <교수 · 학습 설계> ‘자료 준비’ - 문항 제시(문제풀이) 68
• <교수 · 학습 설계> ‘자료 준비’ - 영상 자료 제시(교사영상, 유튜브활용) 70
• <교수 · 학습 설계> ‘자료 준비’ - 외부 연계(웹 url) 72
• <교수 · 학습 설계> ‘진단, 평가 계획’ - 평가 준비(문제집 제작) 73
• <교수 · 학습 설계> ‘진단, 평가 계획’ - 학습 진단(AI 학습진단) 78
• <교수 · 학습 실행> ‘수업 준비’ - 수업 중 수업 설계하기(자료 추가) 80
• <교수 · 학습 실행> - ‘수업 중’
학생 참여 활동(모둠/발표 수업, 발표시키기) 82
• <교수 · 학습 실행> - ‘수업 중’
- 학생 학습 상황 파악(새탭열기, 질문하기) 85
• <교수 학습 실행> ‘수업 중’ - 교사 주도 설명(함께보기) 86
• <교수 · 학습 실행> ‘평가 · 피드백’
- 과정중심평가 및 환류(문제풀이, AI논술형평가) 88
• <교수 · 학습 실행> ‘평가 · 피드백’
- 과정중심평가 및 환류(모니터링, 발표하기) 89
• <교수 · 학습 환류> - 보충 · 심화학습
- 추가 과제 및 추가 학습(과제 제출, 문제풀이, 오답노트) 91
• <교수 · 학습 환류> ‘다시보기’ - 포트폴리오, 누가적 기록(클래스보드) 92
• <교수 · 학습 환류> ‘성찰’ - 수업 피드백 및 의견수렴(게시판, 설문)> 96
PA R T II 하이러닝으로 만드는 깊이 있는 수업
1 교과별 100배 활용하기 102
• 물감없이 미술하기 102
• 저학년도 도전하는 초간단 하이러닝 체험 103
• 가장 간단하지만 의미있는 음악수업 105
• 따로 또 같이, 우리만의 역사신문 만들기 106
• 몰입하는 학습 공간으로 만드는 온책읽기 109
• 스마트 각도기, 스마트 자로 학습 준비 끝! 110
• 교구 없이 깊이있게 사유하는 조작활동 111
• 정보로 소통하는 우리, 설문조사 프로젝트(+1모둠 만드는 법) (수학) 113
• 생동감 넘치는 수업
(PPT 애니메이션 효과를 미리 준비할 필요가 없어요) 115
• 검색 없이, 클릭 한 번으로 만나는 공신력 있는 수업 콘텐츠
(EBS 영상 활용) 116
• 수업 준비는 집에서 미리, 이제 거꾸로 수업 쉽게 가능해요 117
• 모둠별 별별 학습지 배부와 빈틈없는 모니터링의 비결 118
• 웹URL을 활용한 개별화 수업으로 학생별 학습 속도 차이 극복하기 120
• 디지털 기반으로 하는 계기 교육으로 자기주도 학습 역량 강화 122
• 새로운 나, 새로운 친구, 설레는 시작(학기 초 활동) 124
2 전교과 1000배 활용하기 127
• 깊이 있는 수업의 본질을 찾는 ‘종이 대체하기’ 127
• 오늘은 내가 우리반 꼬마샘이 되어보자 128
• 실물화상기에서 디지털 발표로 변화하는 스마트한 수업 130
• 학생의 속도에 맞춰 흐르는 맞춤형 수업 132
• 더 넓게 더 깊게, 자유로운 모둠 활동 133
• 생생한 수업과 몰입하게 만들어주는 ‘유튜브 함께보기’ 135
• 의미있는 디지털 활용 수업, 비과제 행동 예방으로 시작하기 136
• 내 손으로 움직이는 이야기, 디지털 역할극 138
• 제2의 온라인 등교에도 혼란 zero! 하이러닝 화상수업 140
• 교과 수업도 깊이 있게, 끊김 없이 수업과 만남이 이어져요 142
3 하이러닝을 활용한 놀이수업 144
• 놀이를 연계한 학습으로의 평가 144
• 질문과 응답을 통한 문제 해결 수업하기 146
• 모눈 위에서 펼쳐지는 우리반 놀이 활동 148
• 멀리서도 하나가 되는 우리, 협동화 만들기 149
4 맞춤형 학습 및 개별화 활동 151
• AI 한 스푼을 더한 학생별 맞춤형 학습과 피드백 151
• 수업을 넘어 생각을 확장하는 과제 활용법 154
• 학습자 주도성의 열쇠, 스스로 문제집 만들기 156
• 오답에서 성찰로, 성찰을 성장으로 바꾸는 오답 노트 활용법 157
• 은밀하게 질문하면 위대하게 답변하는 채팅하기 159
• 모두를 위한 수업 설계, 활동과 수준에 맞춰 과목을 나눠요 160
• 내 스스로 배움을 정하는 선택, 배움공책 162
5 교사 기록 및 관리 165
• 언제든 다시 활용, 교사의 클라우드 165
• 적자생존! 적고 기록하는 교사가 살아남는다. 167
• 변화도 기록도 한눈에, 우리반 자리 배치 168
6 학급 운영 171
• 학생 참여형 수업을 돕는 ‘위젯’ 171
• 감정을 기록하다, 나를 이해하는 감정판 173
• 학습의 원동력, 내 캐릭터 보상 시스템 175
• 학급의 색깔을 담아, 학생들과 함께 하는 학급 환경 구성 177
• 내 역할, 내 책임! 함께 만드는 우리 학급 179
• 주도적으로 시작하는 하루, 아침 루틴 활동 181
• 하이러닝을 활용한 학생 주도 행사 기획 및 운영 182
• 가정과의 연계 학습으로 깊이 있는 교육 공동체로 거듭나기 184
7 학습으로의 평가 187
• 자동 채점부터 피드백까지, 평가의 새로운 패러다임
- AI 논술형 평가 187
• 성장 보드로 수행평가하기 189
• 디지털 갤러리로 작품 전시회 개최하기 191
• 클래스보드로 수업, 평가 한 방에 해결하기 192
• 비밀 상담소를 통해 학생들과 정서적 소통하기 194
PA R T III 부록
1. 하이러닝 사용자모임 카페 안내 200
2. 하이러닝 활용자료 모음 안내 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