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판발행 2025.04.30
머리말
현대 사회는 전례 없는 변화와 도전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기후 변화, 생물 다양성의 감소, 경제적 불평등의 심화, 그리고 사회적 양극화는 우리 세대와 미래 세대 모두에게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으며, 긴급하게 해결해야 할 중대한 문제들이다. 이러한 복합적인 문제들은 단순한 해결책을 넘어서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한다. 그러므로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교육을 통해 사회 전반의 인식 변화와 행동 변화를 이끌어 내야 하며,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응답하기 위해,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교육 전략과 그 실현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이 책은 이러한 변화의 촉매제가 되기 위한 바람에서 쓰게 되었다. 지속가능발전교육은 우리 사회가 직면한 복잡하고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열쇠가 될 수 있다고 믿으며, 지속 가능한 미래를 향한 우리의 여정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책은 환경 문제의 전 지구적 영향력과 복잡성을 다루면서도 지역사회 차원의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교육 방안을 탐색하고 사례를 제공함으로써, 교육이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해 어떻게 변화와 혁신을 이끌 수 있는지를 보여 주고 있다.
1장은 지속 불가능한 시대의 사회와 교육 환경의 변화를 다루며 현대 사회가 직면해 있는 복잡한 도전들을 분석하고 이러한 문제들에 대응하기 위해 교육과 사회가 어떻게 노력해야 하는지에 대해 생각해 본다. 울리히 벡의 ‘위험 사회’라는 개념을 출발점으로 삼아, 현대 사회가 직면해 있는 다양한 위험들을 분석한다. 여기서 ‘위험 사회’는 현대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위험이 단순한 개별 사건이 아닌, 사회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문제로 인식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이러한 인식은 지금 우리가 직면한 기후 변화, 환경 파괴, 경제적 불평등 등의 문제들이 어떻게 서로 연결되어 있는지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위험 사회의 특성과 지속 불가능한 발전의 문제점을 세심하게 다루면서, 이러한 문제들이 지금까지 우리가 경험한 것과는 달리 새로운 도전을 주고 있음을 밝힌다.
2장은 지속가능사회를 위한 교육적 접근에 초점을 맞추어 현실 세계의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학문 분야가 서로 연결되고 융합되어 새로운 해결책이 도출되는 학제 간 접근의 중요성을 다룬다. 그리고 환경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이론적 기초와 그 바탕이 되는 복잡성 이론과 지역 문화, 토착 지식에 대해 살펴본다. 여기에서 다루는 교육은 단순히 지식을 전달하는 수단이 아니라, 학습자들이 세계를 이해하고 비판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게 하며,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책임 있는 행동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과정이어야 한다. 따라서 현대 사회의 위험과 도전에 대응하기 위한 교육의 목적과 내용, 그리고 방법론에 있어 근본적인 전환이 필요하다. 교육은 우리 사회가 직면한 복잡하고 다양한 문제들을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3장은 지역 사회와 연계를 통한 네트워크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는 방안을 설명한다. 대학과 지역 사회 간의 연계를 강화하여 우리 사회가 직면한 복잡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네트워크 관점에 중점을 둔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지역 사회의 자원을 활용하여 교육, 사회, 환경 문제에 대응하는 동시에 지역 사회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을 촉진할 수 있다.
4장은 환경?지속가능발전교육이 무엇인지 고찰한다.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의미, 중요성, 특징, 역사를 전체적으로 조망한 후, 지속가능발전교육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에 대해 살펴본다. 이후, 환경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관계에 관해 살펴보고 두 분야를 융합하여 통합적으로 접근한다.
5장은 환경?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전략을 다룬다. 다양한 분야에서 발생하는 복잡한 문제들을 환경?사회?경제의 통합적 사고를 통해 해결할 수 있도록 적용 가능한 교육 방식을 소개한다. 이러한 교육 전략은 학생들이 문제를 다각도에서 바라보고, 창의적인 사고와 실천을 통해 해결책을 모색할 수 있게 하여,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해 필요한 지식, 가치, 태도를 개발할 수 있도록 한다.
6장에서는 지역 사회와 연계한 환경?지속가능발전교육 사례들을 소개한다. 환경, 문화, 경제 상황 등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지역 내의 자원을 교육에 활용하는 지역 사회 연계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구체적인 사례들을 통해, 지역 사회 연계 교육이 어떻게 실행될 수 있는지, 그리고 이를 통해 어떤 실질적인 변화와 성장이 가능한지를 보여 준다. 이는 학생들에게 실제 세계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지식과 역량을 갖추게 하고 지역 사회의 지속 가능한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해 줄 수 있다.
이 책은 환경 위기에 대한 깊은 이해와 함께 실제적인 행동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환경?지속가능발전교육을 통해, 지금 이 순간에도 계속되고 있는 환경 변화에 대해 우리 모두가 책임감을 가지고 실천적이고 혁신적인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는 힘을 갖기를 희망한다. 환경 위기를 극복하고 지속 가능한 미래를 향해 나아가기 위한 여정에서 이 책이 소중한 길잡이가 되기를 바란다.
저자 일동
손연아
예비 교사와 현장 교사의 통합과학교육‧지속가능발전교육 교사 전문성 함양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꾸준히 개발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지역사회를 위한 지속가능행복교육 이론과 교육 모델 정립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현재 단국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과 교수, 단국대학교 부설 통합과학교육연구소 소장으로 교육과 연구 활동을 이어나가고 있다.
이유미
과학교육 전문가로,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국립 사범대학교 교수로 근무하고 있다. 한국학 및 중앙아시아 문화에 관심이 많다. 지역 문화와 과학교육, 지속가능발전교육, 우즈베키스탄 과학교육과 교사교육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배경석
단국대학교에서 과학교육 전공으로 교육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단국대학교 부설 통합과학교육연구소에서 연구교수로 재직하며 과학교육을 연구하고 있다. 과학교육에 과학철학과 지속가능성에 대한 논의를 접목하는 데 관심이 많다.
박병열
미국 코네티컷대학에서 과학교육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같은 대학교에서 박사후과정 연구원으로 NSF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하였다. 과학교육, 지구과학교육, 환경교육, 교사교육, 영재교육, 리더십, 학교 내 다양성 문제 등을 중심으로 연구하고 있으며, 현재 단국대학교 부설 통합과학교육연구소에서 연구교수로 근무하고 있다.
박지수
서울대학교 역사교육과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는 단국대학교 부설 통합과학교육연구소에서 연구교수로 활동 중이며, 서원대학교에서 동아시아 근현대사를 강의하고 있다. 연구 분야는 동아시아 근대사와 생태환경사로, 역사를 통한 기후 위기 교육 연구에 주력하고 있다.
최재혁
단국대학교 부설 통합과학교육연구소에서 과학교육과 환경교육을 연구하고 있다. 관심 분야는 과학교육, 환경교육, 학교 밖 교육, 교육자와 학습자의 자기효능감, 교육콘텐츠 개발, AI 활용 교육콘텐츠 개발 등이다.
강순기
미국 오리건주립대학 화학공학박사로 삼성엔지니어링에서 환경신기술 개발 및 환경교육사이트 구축 등에 참여하였으며, 현재 단국대학교 부설 통합과학교육연구소에서 연구하고 있다. 주요 관심 분야는 AI를 활용한 에듀테크, 환경 및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역량진단시스템 개발 등이다. 저서로는 “꿈푸꿈비의 신나는 환경탐험기”, “세대를 넘어서”가 있다.
오현정
환경교육사, 청소년지도사, 영양사 등의 자격을 갖추고 단국대학교 부설 통합과학교육연구소에서 과학교육, 환경‧지속가능발전교육을 연구하고 있다. 관심 분야는 환경 행동 실천, 지역 기반 네트워크 활성화, 생태 환경교육과 과학교육 등이다.
문예진
단국대학교 부설 통합과학교육연구소에서 박사과정 연구원으로 과학교육을 연구하고 있다. 관심 분야는 과학교육, 환경교육, 교육의 게임화 등이 있다.
김서현
단국대학교 부설 통합과학교육연구소에서 과학교육과 생물교육을 연구하고 있다. 관심 분야는 생물다양성 교육, 교육 프로그램 및 교구 개발 등이다.
Chapter 01
지속 불가능한 시대의 사회와 교육 환경의 변화
01 위험 사회와 지속 불가능한 시대 3
02 현대 환경 위기에 대한 고찰 14
03 환경 위기와 교육의 변화 23
Chapter 02
지속가능사회를 위한 교육적 접근
01 간학문성, 다학문성, 초학문성 35
02 복잡성 이론 42
03 문화적 접근 44
Chapter 03
지속가능사회를 위한 지역사회 연계 모델
01 트리플 헬릭스(TH) 모델 73
02 지역사회 연계형 실천공동체(CoP) 모델 85
03 지역사회 연계 네트워크 모델 94
Chapter 04
환경·지속가능발전교육의 이해
01 지속가능발전교육 105
02 환경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관계 116
03 환경‧지속가능발전교육의 의미와 추구하는 역량 121
Chapter 05
환경‧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전략
01 시스템사고(Systems Thinking) 141
02 서비스러닝(Service Learning) 155
03 리빙랩(Living Lab) 159
04 리빙스쿨(Living School) 16205 지속 가능한 행복과 교육 실행 전략 170
Chapter 06
환경‧지속가능발전교육 사례
01 대학-기업-지자체-학교의 연계 사례 187
02 A시 환경교육주간 프로그램 운영 사례 194
03 청소년 환경정책 제안 포럼 운영 사례 199
04 대학-교육청-학교의 협력 프로그램 사례 205
05 대학 중심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 확산 사례 217
06 환경교육 연극 사례 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