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박영사/박영스토리 분야별 도서
닫기
포스트휴먼 세계 연구하기: 디지털 객체와 면담하는 법
신간
포스트휴먼 세계 연구하기: 디지털 객체와 면담하는 법
저자
Catherine Adams · Terrie Lynn Thompson
역자
이경미 · 장인철
분야
교육학
출판사
박영스토리
발행일
2025.04.10
장정
무선
페이지
198P
판형
신A5판
ISBN
979-11-7279-101-8
부가기호
93370
강의자료다운
-
색도
1도
정가
17,000원

초판발행 2025.04.10


옮긴이의 말


사물은 늘 인간의 곁에 있었지만, 인간은 항상 사물을 도구로 개발하고 사용하며 자신의 손 안에 두기에 익숙했다. 잘 보이지 않던 사물이 인간의 눈앞에 자신을 드러내기 시작한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사물이 힘을 키우면서다. 최근 디지털이라는 물질성을 가진 사물들이 우리 삶 곳곳에 침투한 것은 물론, 인공지능과 휴머노이드와 같이 오랫동안 상상 속에 머무르던 기계들이 실제로 등장하기 시작했다. 우리는 사물을 통해 확장되는 신체적 혹은 인지적인 능력에 감탄하면서도 점점 더 강해지는 기계를 바라보며 그들과 어떠한 관계를 맺어야 할지 고심하게 된다.

최근 포스트휴먼으로 일컬어지는 사물들과 얽혀서 세계를 마주하는 인간, 그리고 그 세계를 함께 구성하는 인간이 아닌 것들에 대한 새로운 존재론과 윤리에 관한 학문적 담론들은 이러한 고심을 반영한다. 하지만 포스트휴먼 이론이 제시하는 인간 중심적인 관점에 대한 반성과 상호 구성적인 실천에 대한 접근이 매력적임에도 불구하고 일상생활에서 출현하는 다양한 현상을 기술하고 분석하며 설명해야 하는 연구자에게 포스트휴먼적인 연구를 수행하기란 쉽지 않다. 이 책은 난해할 수 있는 포스트휴먼 이론을

현실 속 실증연구로 초대할 수 있는 친근한 연구 방법을 담고 있다.

《포스트휴먼 세계 연구하기: 디지털 객체와 면담하는 법》은 행위자 - 네트워크 이론과 (후기)현상학적 연구를 결합하며 디지털적인 것을 포스트휴먼의 관점으로 연구할 수 있는 방법론적 도구상자를 제공한다. 이 책에서 제시하는 방법론은 규범적이고 단계적이기보다 휴리스틱이라는 형태로 발견적이며 비선형적이다. 지금까지 철학, 미디어학, 인류학 등에서

제시된 인간과 사물과의 관계에 대한 관점들을 융통성 있게 받아들이되, 연구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질문의 형태로 제시한다. 이 책의 부제에서 말하는 면담이란 연구자가 연구 참여자를 만나고 바라보듯, 사물을 능동적인 연구 참여자로 초대하여 새롭게 서로의 관계를 살펴볼 수 있는 질문을 던진다는 의미이다. 연구의 과정에서 혹은 일상에서 사물을 새롭게

보기를 원한다면, 이 책에서 제시된 질문을 진지하게 물어볼 만하다. 그 과정에서 도구주의적이고 인간 중심적인 관점에서는 볼 수 없었던 사물에 대해 새로운 이해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의 1장은 포스트휴먼 탐구의 배경이 되는 이론을 살펴본다. 2장에서는 연구 자료 수집에서 사용할 수 있는 휴리스틱을, 3장에서는 연구 자료 분석에서 사용할 수 있는 휴리스틱을 제시한다. 4장에서는 연구 과정에서 디지털 도구의 도입이 자료 수집과 분석의 실천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는지를 앞서 제시한 휴리스틱을 적용하여 살펴본다. 최근 화상 회의 소프트웨어를 통한 비대면 면담, 음성인식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면담 자료 전사,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면담 자료 코딩 등도 보편화되고 있을 뿐 아니라, 시선추적, 뇌파검사, 뇌영상촬영과 같은 첨단기술을 기반으로 한 보이지 않던 영역을 데이터화하는 자료 수집 방법이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연구 실천을 객관성, 효율성, 편의성에 기대어 받아들이기보다, 연구의 목적,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 사이의 관계, 연구 맥락과

연구 결과의 구성에 대해 성찰하고자 하는 연구자에게 4장은 특히 중요한 함의를 가진다. 마지막 5장에서는 포스트휴먼 합류성이라는 개념을 제시하며, 디지털 전환의 시대에 연구자에게 필요한 역량이 단지 기술과 기기를 유창하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과 기계의 윤리적이고 정치적 관계에 대한 보다 비판적인 접근임을 강조한다.

번역의 과정은 가장 적합한 단어를 찾고 문장을 가다듬는 행위지만, 몇몇 부분에서 만족할 만한 번역을 하지 못했다. 특히, 영어 단어를 음차한 경우는 대응되는 한국어를 성급하게 찾기보다 그대로 쓰는 것이 의미 전달에 더 용이할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몇몇 철학 용어도 가장 많이 사용되는 단어를 찾으려 했지만, 아직 합의되거나 정착되지 않은 것도 있었

다. 이러한 낯선 용어들이 책의 내용을 이해하는 데 장애물로 작용하지 않기를 바란다.

이 책은 교육학에서의 포스트휴먼 연구 이론 및 방법을 소개하기 위한 기획의 첫 작업이다. 이 기획에서는 이론, 연구 방법, 적용 사례에서 대표될 만한 책을 번역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은 인공지능 시대에 관계의 교육학을 정립하기 위해 함께 고군분투하는 연구자들이 있어서 시작할 수 있었다. 이 책을 같이 읽으며 난해한 부분에 대한 해석과 여러 주장이 제공하는 함의를 함께 나누어 준 서울대학교 PRiDE 연구원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또한, 인공지능의 기능적 가능성에만 주목하는 요즘, 대안적이고 비판적인 관점의 연구가 필요하다며 격려하고 함께 연구하는 서울대 학습과학연구소 조영환 소장님과 서울대 생물교육과 하민수 교수님께도 존경의 마음을 전한다. 마지막으로 어려운 학술 출판 시장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기획을 보고 출판의 기회를 제공하며, 원고도 정성스럽게 다듬어 준 박영스토리 편집부에게도 감사드린다. 교육학에서 개념적으로 탐색되고 있는 포스트휴먼 연구가 이 책을 통해 현실 속에서 보다 다채롭고 역동적으로 실천되고, 이전에 상상하지 못했던 인간과 비인간의 복잡한 얽힘이 생생한 언어로 다시 태어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이 책의 마지막 문장처럼 독자들도 “이제 우리와 가장 가까이 있는 것, 바로 사물에게 인사를 건넬” 수 있기를 바란다.


노트북과 워드프로세스에게도 감사의 인사를 건네며,

이경미, 장인철


사물들에게

감사의 말

이 책의 상당 부분은 가족과 친구들과 보내야 할 시간을 할애하여 집필하였습니다. 사물의 사물다움과 객체의 하기(doing)에 몰두하는 우리를 인내심 있게 이해해 준 사랑하는 이들에게 깊이 감사드립니다. 또한, 익명의 리뷰어들에게도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그들의 세심하고 관대한 논평은 우리가 해결해야 할 중요한 문제와 체계적인 조언을 제시해 주었으며, 이후에는 따뜻한 격려와 함께 깊이 숙고할 질문들을 남겨 주었습니다.
이 책과 이 책에서 인용된 몇몇 연구 프로젝트는 캐나다 사회과학및 인문학 연구 위원회(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Research Council of Canada), 앨버타 대학교 교육학부(학술 발전 기금 지원), 앨버타 대학교(디지털 학습 프로젝트 연구 상, 킬램 연구 기금), 디지털 기회 신탁(Digital Opportunity Trust), 그리고 스코틀랜드 정부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옮긴이


이경미

한양대학교 교육공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캐나다 토론토

대학교에서 원격교육의 개방성과 혁신성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

석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영국 랭커스터 대학교에 재직

하며, 박사과정생들을 대상으로 질적연구방법론을 가르치고

지도하였다. 현재 서울대학교 교육학과에서 후기구조주의와

포스트휴머니즘의 관점에 기대어, 인간, 기술, 기계가 함께 얽혀서

만들어 가는 복잡하면서도 역동적인 교육적 관계들을 탐구하고

있다. 질적교육연구를 통해 다양한 교육 현상들을 심층적으로 분석,

이해와 공감을 기반으로 한 더 나은 교육적 경험들을 구성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장인철

서울대학교 영어교육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캐나다 토론토

대학교에서 어학연수생의 언어 학습과 삶, 정체성에 관한 문화

기술지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대구교육대학교를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영어교육과에 재직

중이다. 사회 속에서 영어를 비롯한 언어가 만들어 내는 경계와

실천에 주목하여, 새로운 언어교육 담론을 소개하는 데 관심이

많다. 《언어 다양성과 불평등》을 번역했으며, 국내외 학술지에

영어 이데올로기, 영어교육의 사회문화적 맥락, 다중언어주의에

관한 논문을 발표하고 있다. 최근에는 AI 시대 언어 능력을 어떻게

재개념화할지 고민하고 있다.



지은이


Catherine Adams

캐서린 아담스는 포스트휴머니즘과 사회물질적 질적교육연구의

방법론적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한 학자로, 캐나다 앨버타 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실천의 현상학을 중심으로 한 후기현상학과

포스트휴먼 및 포스트디지털 접근 방식을 기반으로 디지털 기술

과 인공지능이 인간의 교육 경험에 미치는 영향, 특히 교육 기술의

사회적, 윤리적 문제를 탐구하고 있다. 최근에 여러 저서를 통해

기술화되고 상호 연결된 세계에서 학습과 존재를 연구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론적 실천들을 제시하고 있다.


Terrie Lynn Thompson

테리 린 톰슨은 포스트휴머니즘 철학을 적용하여 학습과 이동

성에 대한 개념을 확장한 연구자로, 영국 스털링 대학교에 재직

중이다. 디지털 기술과 인공지능이 일과 학습을 변화시키는 방식에

관심을 두고, 서구권 국가들과 비서구권 국가들을 넘나들면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인간-너머의 이론적 관점과 방법의 혁신

적인 활용을 모색하며, 학제 간 연구를 통해 디지털 환경에서의 일,

학습, 지식 생성을 탐구한다. 최근에는 데이터화된 여성의 신체에

관한 데이터 사회운동으로 관심을 확장하고 있다.


《포스트휴먼 연구》 시리즈

1. 포스트휴먼 세계 연구하기: 디지털 객체와 면담하는 법

Researching a Posthuman World: Interviews with Digital Objects

Catherine Adams.Terrie Lynn Thompson 공저, 이경미 · 장인철 공역

2.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과 교육 (발간 예정)

Actor-Network Theory in Education

Tara Fenwick.Richard Edwards 공저, 장인철·이경미 공역

3. 디지털 대학과 포스트휴먼: 텍스트, 신체, 물질이 얽힌 공간 (발간 예정)

Posthumanism and the Digital University: Texts, Bodies and

Materialities

Lesley Gourlay 저, 이경미·장인철 공역

CHAPTER 01 포스트휴먼 탐구 소개

초록 ...................................................................................................... 12

서론 ...................................................................................................... 13

이론적 기틀 잡기 .................................................................................. 15

포스트휴먼 ........................................................................................... 15

ANT와 그 너머 .................................................................................... 21

현상학과 그 친척들 .............................................................................. 23

현상학과 ANT를 함께 혹은 따로 ........................................................ 27

객체와 사물, 물질성과 매체성 ............................................................ 30

객체와 면담하기 .................................................................................. 35

면담하기 ............................................................................................... 35

휴리스틱 ............................................................................................... 38

이 책의 구성 ......................................................................................... 40


CHAPTER 02 객체에 주목하기, 사물에 조율하기

초록 ...................................................................................................... 44

휴리스틱 1: 일화 수집하기 .................................................................. 45

면담 질문 ............................................................................................. 45

포스트휴먼적 일화: 사물의 작용과 비인간의 행위 보여 주기 ............ 48

포스트휴먼적 일화 구성하기 ............................................................... 49

연구 실천의 실행 속에서 재조립된 닮은꼴로서의 일화 ...................... 55

휴리스틱 2: 행위자 따라가기 .............................................................. 59

면담 질문 ............................................................................................. 59

주목받는 객체 ...................................................................................... 62

하이브리드 따라가기: 공동 행위자 ..................................................... 66

휴리스틱 3: 사물의 초대적 성질에 귀 기울이기 ................................. 69

면담 질문 ............................................................................................. 69

어포던스와 감정가 ............................................................................... 75

음조, 선율, 그리고 발화 ...................................................................... 78

휴리스틱 4: 고장, 사고, 이상 현상 살펴보기 ...................................... 81

면담 질문 ............................................................................................. 81

준비된 도구(손-안에-있음)와 고장난 도구(눈-앞에-있음) ............... 86


CHAPTER 03 그물망 느슨하게 하기,

매체성과 물질성 분석하기

초록 ...................................................................................................... 92

휴리스틱 5: 인간-기술-세계 관계의 스펙트럼 분별하기 .................... 93

면담 질문 ............................................................................................. 93

체화적 관계 ......................................................................................... 95

해석학적 관계 ...................................................................................... 97

타자적 관계 ......................................................................................... 99

배경적 관계 ........................................................................................ 100

간단한 예 ........................................................................................... 102

휴리스틱 6: 미디어의 법칙 적용하기.................................................. 104

면담 질문 ........................................................................................... 104

증진 .................................................................................................... 108

쇠퇴 .................................................................................................... 109

회복 .................................................................................................... 111

반전 .................................................................................................... 112

테트라드 ............................................................................................ 113

휴리스틱 7: 번역 풀어내기................................................................. 116

면담 질문 ........................................................................................... 116

휴리스틱 8: 응답과 경로 추적하기 ................................................... 126

면담 질문 ........................................................................................... 126


CHAPTER 04 공동 연구자인 객체와 면담하기

초록 .................................................................................................... 134

소프트웨어의 조용한 요동: 코딩하는 연구자 ................................... 138

디지털 기기들: 누구-무엇의 연구인가? ............................................. 147

자료의 사회물질성 ............................................................................. 153

시각화된 자료의 다양한 사회적 삶 ................................................... 156

연구의 사물과 대화하기...................................................................... 160


CHAPTER 05 포스트휴먼 합류성

초록 .....................................................................................................164

새로운 합류성 .....................................................................................167

포스트휴먼 윤리 개발 ........................................................................ 168

사고, 존재, 행위의 변화 예측............................................................. 171

업무 실천의 탈숙련화와 재숙련화에 대한 재고 ............................... 174

디지털 자료 다루기 ............................................................................ 176

디지털 정치에 대한 질문..................................................................... 177

맺으며 .................................................................................................178


참고문헌 ..............................................................................................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