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박영사/박영스토리 분야별 도서
닫기
한미동맹: 자유 민주 번영의 가치동맹을 위하여
신간
한미동맹: 자유 민주 번영의 가치동맹을 위하여
저자
남성욱 외4
역자
-
분야
정치/외교학
출판사
박영사
발행일
2025.01.05
장정
양장
페이지
324P
판형
크라운판
ISBN
979-11-303-2108-0
부가기호
93340
강의자료다운
-
색도
2도
정가
26,000원

초판발행 2025.01.05


머리말

2024년은 1953년 10월 1일 한미상호방위조약이 체결된 지 71주년이 되는 해다. 한미상호방

위조약은 지난 70년간 한반도의 안정과 평화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하지만 우리의 경제적

상징인 ‘한강의 기적’ 배경에 한미상호방위조약의 비준이 있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경제

와 안보의 상관관계는 상상으로 연결되어 있다. 피와 희생으로 구축된 한미 간 유대는 지난 70년에

걸쳐 한미 상호 간에 불가분의 영향을 줄 정도로 깊어지고 성장했다. 한미동맹은 안보 중심으로 시

작해 경제 파트너십을 거쳐 포괄적 전략동맹으로 확장되었으며 국제사회에서 ‘연대의 모범’으로 불

리고 있다.

일부 지식인과 젊은 세대 중에는 왜 한미동맹이 우리 안보의 기본이 되어야 하는지 의문을 갖고

있는 경우가 있다. 대한민국이 미국과 동맹을 맺는 이유는 두 가지다. 우선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

제 가치를 공유하는 나라, 다음은 한국 영토에 대한 지배 야욕이 가장 적은 나라이기 때문이다. 우

리가 중국, 러시아 및 일본과 동맹을 맺어 대한민국의 안보를 수호하기에는 역사적으로 아픈 상처

가 너무 많다. 이들 중 러시아는 우크라이나를 침공하여 국제 평화를 위협하고 있고 부동항을 찾아

남측으로 내려오는 남진 정책의 전통은 역사적으로 여러 차례 경험한 바 있다. 모든 국가의 안보는

자강불식(自强不息)의 의지와 외부와의 동맹(alliance)으로 지켜진다.

‘보다나은미래를위한 반기문재단’과 고려대학교 통일융합연구원은 2023년 7월 한미상호방위

조약 체결 70주년을 기념해 굳건히 이어져 온 한미동맹의 역사적 성과를 돌아보고 미래를 향해 전

진해 갈 한미동맹의 역할을 함께 고민해 보는 자리를 마련했다. 국내 외교 안보의 최고 전문가들이

“한미동맹: 자유 ·민주·번영의 가치동맹을 위하여”라는 제하의 세미나에 참석하여 고견을 나누었

다. 한미동맹의 외교적·군사적 측면을 중심으로 한반도 안보를 둘러싼 국제정세를 진단하고 한미

상호방위조약의 미래를 예견해 보는 뜻깊은 토론의 장이 되었다. 1년 이상 담론의 결과와 발표문을

더욱 다듬고 보완하여 역사의 기록으로 남기고자 본서를 발간하게 되었다. 본서의 집필은 2023년ii

한미동맹: 자유·민주·번영의 가치동맹을 위하여

7월 반기문 재단과 고려대 통일융합연구원이 공동 개최한 심포지엄에서 논의된 사항을 기반으로

발표자와 토론자의 감수와 수정을 거쳐 최종 완성되었다.

한국과 미국은 자유민주주의, 법치, 인권, 시장경제 등 핵심 가치를 함께 수호하는 ‘가치동맹’으

로서 함께 발전해 왔다. 한미동맹의 역할과 기능은 북핵, 팬데믹, 교역질서 변화, 기후 위기 등 글로

벌 복합 위기 속에서 더욱 확장되고 있다. 2023년 4월 26일, 워싱턴에서 개최되었던 한미 정상회

담은 이러한 차원에서 한미동맹의 미래를 더욱 굳건하게 설계하고 글로벌 동맹으로 발전시킬 수 있

는 중차대한 이정표가 되었다.

본서는 6개 장과 부록으로 구성되었다. 제1장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의 과거, 현재 및 미래 (남

성욱 고려대 교수), 제2장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의 외교적 함의와 평가(제성호 중앙대 교수), 제3

장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 이후 한반도 안보(정연봉 국가전략연구원 부원장), 제4장 한미동맹-한국

의 기적을 이끈 동력(이미숙 문화일보 논설위원), 제5장 가치동맹을 위한 한미동맹의 현재와 미래

발전 방향(김형진 전 유럽연합 대사), 제6장 한미동맹과 핵무장론(남성욱 고려대 교수) 등이다.

본서의 발간은 고려대 통일융합연구원을 설립해 주신 정진택 제20대 고려대 총장님, 김동원 고

려대 총장님의 열정과 관심의 산물이기도 하다. 자료 정리에 혼신의 힘을 쏟은 고려대 통일융합연

구원의 조정연·김혜원 박사, 이나겸 연구원에게 감사의 말을 전한다. 마지막으로 미국에 거주하시

면서도 더 나은 한반도를 소망하며 본서를 해란연구총서로 발행하도록 물심양면의 많은 도움을 주

신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김해란 선배님, 고려대 통일보건의료 연구를 이끌고 계신 김영훈 전 의료

원장님, 김신곤 의과대학 교수님께도 심심한 사의를 표하고자 한다.

본서는 2024년 11월 30일 설립 2주년을 맞는 고려대학교 통일융합연구원의 해란연구총서 시

리즈의 제6권으로 발행한다는 측면에서 막대한 책임감을 느낀다. 마지막으로 연구총서를 발간해주

신 박영사 안종만 회장님과 김한유 과장 등 편집진에게도 고마움을 전한다.

2024년 12월

저자를 대표하여 남성욱

저자 약력

남성욱

서울장학재단 이사장

통일부 통일미래기획위원회 정치군사분과위원회 위원장

고려대학교 통일외교학부 교수

前) 고려대학교 통일융합연구원 원장

前)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처장

前)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원장

미주리주립대학교(University of Missouri-Columbia) 응용경제학 박사

제성호

중앙대학교 명예교수

前) 육군사관학교, 수원대학교, 중앙대학교 교수

前) 외교부 인권대사, 대통령 직속 통일준비위원회 위원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운영위원 겸 인권법제위원장, 통일부 남북관계발전위원회 위원

서울대학교 법학 박사

정연봉

한국국가전략연구원 부원장

대통령 직속 국방혁신위원회 위원

前) 육군본부 참모차장

경남대학교 정치학 박사이미숙

문화일보 논설위원

前) 문화일보 워싱턴 특파원

前) 문화일보 정치, 국제부 기자

前) 페어리디킨슨대학교(Fairleigh Dickinson University) visiting scholar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 석사

김형진

서울대학교 국가미래전략원 책임연구원

前) 국가안보실 제2차장

前) 주벨기에 유럽연합 대사

프린스턴대학교 정책학 석사

차례

제1장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의 과거, 현재 및 미래 [남성욱] 2

Ⅰ  이승만 대통령의 국제정세 인식.....................................................................4

1. 한반도의 세력 불균형............................................................................... 5

2. 이승만의 결기와 혜안............................................................................... 7

3. 6·25전쟁은 의지를 시험한 전쟁.............................................................. 9

4. 한미상호방위조약은 신(神)의 한수......................................................... 10

5. 당연한 동맹은 없다 ................................................................................ 12

Ⅱ  정전협정의 현재 ........................................................................................... 13

Ⅲ  정전협정의 미래 .......................................................................................... 16

1. 캠프 데이비드 정신, 원칙과 협의에 대한 공약 ....................................... 17

2. 한미상호방위조약은 캠프 데이비드 공약으로 진화 발전........................ 20

참고문헌 ................................................................................................................. 21

제2장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의 외교적 함의와 평가 [제성호] 22

Ⅰ  서언................................................................................................................ 24

Ⅱ  한미상호방위조약의 체결 배경 및 경위..................................................... 25

Ⅲ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의 국제법적 〮 외교적 함의와 파급영향............... 29

1. 한미군사동맹의 조약화........................................................................... 29

2. 냉전시대 자유진영에의 편입: ‘자유와 시장’이란 ‘가치의 공유’ .............. 31

3. 공산권과의 관계에서 할슈타인 원칙의 수용〮실천 ................................. 32

4. 북중 동맹관계를 견제하는 외교〮군사적 대응 메커니즘 ......................... 34

5. 한미상호방위조약과 한미동맹관계의 외교적 파급영향 ......................... 36

Ⅳ  한미상호방위조약의 종합 평가: 생동하는 기능과 미래 역할 .................. 38

1. 미국을 지구상에서 유일한 동맹국으로 수용........................................... 38

2. 동북아 평화의 안전판이자 한국 외교의 기본 축 형성 ............................ 40

3. 전방위적 협력의 단초 제공 및 21세기

글로벌 전략동맹으로 진화 촉진 ............................................................ 41

4. 통일과정에서 북한의 변화 견인 가능성.................................................. 42

Ⅴ  결론................................................................................................................ 43

참고문헌 ................................................................................................................. 46

제3장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 이후 한반도 안보 [정연봉] 50

Ⅰ  서론................................................................................................................ 52

Ⅱ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 53

1. 정전협정과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 53

2. 한미상호방위조약의 주요 내용............................................................... 56

Ⅲ  한미동맹의 제도화........................................................................................ 58

1. 미군 주둔의 제도화 ................................................................................ 58

2. 연합지휘체제의 제도화........................................................................... 64

3. 연합방위태세의 제도화........................................................................... 68

4. 대북 핵 억제력의 제도화 ........................................................................ 71

Ⅳ  한미동맹이 한반도 안보에 미친 영향......................................................... 72

1. 북한의 국가목표 달성 거부 및 한국 방위 ............................................... 72

2. 한반도 상황의 안정적 관리..................................................................... 75

3. 한국군 전력증강 및 현대화 견인 ............................................................ 76

4. 한국군의 편성, 교리, 교육훈련 발전에 기여........................................... 78

5. 역내 다자안보협력 촉진 ......................................................................... 79

Ⅴ  결론................................................................................................................ 81

참고문헌 ................................................................................................................. 83x

제4장

한미동맹-한국의 기적을 이끈 동력 [이미숙] 84

Ⅰ  한국의 기적을 만든 한미동맹 ................................................................... 86

Ⅱ  조선책략에서 캠프 데이비드까지............................................................... 88

Ⅲ  문재인 정부의 동맹중독론........................................................................... 93

Ⅳ  우크라이나 전쟁이 일깨워준 동맹의 중요성 ............................................ 98

Ⅴ  제임스 매티스의 동맹론.............................................................................101

참고문헌 ...............................................................................................................104

제5장

가치동맹을 위한 한미동맹의 현재와

미래 발전 방향 [김형진] 106

Ⅰ  한미동맹의 현재 .........................................................................................108

1. 윤 대통령 방미를 계기로 돌아본 한미동맹...........................................108

2. 한미동맹에 대한 인식...........................................................................110

3.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112

Ⅱ  역대 대통령의 미국 의회 연설 ..................................................................114

1. 의회 연설의 의미..................................................................................114

2. 이승만 대통령 연설(영어, 1954.7.28.).................................................115

3. 노태우 대통령 연설(영어, 1989.10.18.) ..............................................116

4. 김영삼 대통령 연설(한국어, 1995.7.26.).............................................116

5. 김대중 대통령 연설(영어, 1998.6.10.).................................................117

6. 이명박 대통령 연설(영어, 2011.10.13.) ..............................................117

7. 박근혜 대통령 연설(영어, 2013.5.7.)...................................................118

8. 윤석열 대통령 연설(영어, 2023.4.27.).................................................118

9. 한국 대통령의 미국 의회 연설이 보여주는 이야기...............................119

Ⅲ  최근 3차례 정상회담 공동성명.................................................................120

1. 정상회담 공동성명의 의의....................................................................120

2. 정상회담 공동성명 표현의 시사점........................................................121

3. 한미동맹 표현.......................................................................................124

4. 대북정책 공조 표현 ..............................................................................124

5. 인태 협력 표현......................................................................................125

6. 경제·기후 문제 등 협력 표현 ...............................................................126

7. 공동성명이 보여주는 변화....................................................................127

Ⅳ  향후의 협력 과제 ........................................................................................128

1. 변곡점에 선 세계..................................................................................128

2. 한반도 주변 리스크 대응 관련 한미 간 공조.........................................129

Ⅴ  결론..............................................................................................................132

참고문헌 ...............................................................................................................135

제6장

한미동맹과 핵무장 [남성욱] 136

Ⅰ  우크라이나 전쟁과 푸틴의 핵 위협...........................................................138

1. 김일성, 미국의 핵 공격 공포에 핵 개발 박차........................................138

2. ‘북한판 핵 독트린’ 선언과 비핵화 폐기 ................................................141

3. 제재할 것인가 인정할 것인가, 국제사회 딜레마...................................142

Ⅱ  핵이 가져온 전력 불균형 ...........................................................................144

1. 남북한 군사력 비교 ..............................................................................144

2. 한미 확장억제 전략의 유용성과 한계 ...................................................145

3. 북러 군사동맹 부활의 함의...................................................................148

Ⅲ  핵무장 담론 .................................................................................................152

1. 시몬 페레스(Shimon Peres)의 핵 모호성 전략...................................152

2. 북핵 억제와 핵균형 전략 ......................................................................153

Ⅳ  결론..............................................................................................................155

참고문헌 ...............................................................................................................157

부록 .......................................................................................................................164

색인 .......................................................................................................................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