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판발행 2025.02.28
머리말
디지털 시대의 도래와 함께 연구 방식도 급격히 변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유튜브는 영상 공유를 넘어 현대 사회의 일상이 기록되고, 다양한 담론이 형성·확산되는 핵심적인 공간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전 세계 수십억 명의 사용자가 매일 방대한 양의 콘텐츠를 생산하고 소비하는 이 환경은 연구자들에게도 새로운 연구 기회를 제공하며, 방대한 데이터 속에서 사회적 현상을 탐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습니다.
그러나 유튜브 데이터를 학문적으로 분석하는 것은 결코 단순하지 않습니다. 영상, 음성, 자막, 댓글, 메타데이터 등 다양한 요소가 복합적으로 얽혀 있으며, 이를 효과적으로 다루기 위해서는 연구방법론의 확장과 디지털환경에 적합한 분석 기법이 필요합니다. 기존의 양적·질적연구방법을 적용하는 것은 물론, 디지털 미디어의 특성을 반영하여 새로운 연구 분석 방법을 모색해야 합니다.
이 책은 저자들이 유튜브 연구 과정에서 겪은 시행착오와 고민을 바탕으로 연구자들에게 실질적인 가이드를 제공하기 위해 기획되었습니다. 유튜브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마주할 수 있는 도전과 해결 방안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보다 효과적이고 깊이 있는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이 책의 가장 큰 목적입니다.
이를 위해 책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습니다.
PART 1에서는 유튜브를 중심으로 한 디지털 환경의 변화와 ChatGPT 등 생성형 AI 신기술이 연구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전통적인 연구 방법론이 유튜브 연구에 어떻게 확장될 수 있는지 모색합니다.
PART 2에서는 유튜브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다루며, 유튜브 영상·텍스트·댓글 분석 연구의 필요성과 주제 선정, 분석 과정에 대한 실질적인 가이드를 제공합니다.
PART 3에서는 유튜브 연구의 가능성과 디지털 기술 융합 연구의 방향을 논의하며, 디지털 환경에서 연구자의 윤리적 책임과 역할을 심층적으로다룹니다.
이 책에는 유튜브 연구방법론 뿐만 아니라 디지털 환경에서 연구자의 사회적 책임과 윤리는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AI 등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연구에서 유튜브 연구자의 역할은 무엇인지, 연구자가 디지털 과학기술을 어떻게 주체적으로 활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가 담겼습니다. 이 책을 통해 독자들께서도 이 논의에 함께 참여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랍니다.
오늘날 유튜브는 현대 사회를 이해하는 중요한 창(窓)입니다. 이 책은 유튜브 연구의 완결판이 아니라, 유튜브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길잡이가 되고,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연구 방법을 탐색하는 출발점이 되기를 바랍니다.
우리는 시행착오를 겪으며 길을 열었고, 연구자로서의 고민과 해결 과정을 공유했습니다. 그러나 이 과정이 끝이 아닙니다. 유튜브 연구는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 분야이며, 앞으로도 더욱 확장될 것입니다. 이 책이 연구자들에게 새로운 연구 질문을 던지는 계기가 되기를 바랍니다. 더 나은 분석 방법을 고민하고, 창의적인 연구를 수행하며, 디지털 시대의 사회적 변화를 탐구하는 데 기여하는 것이 연구자들의 몫입니다.
유튜브 연구는 다양한 접근이 가능한 분야로, 연구자마다 색다른 주제와 방법을 탐색할 수 있습니다. 이 책이 유용한 지침서가 되어 보다 창의적이고윤리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바랍니다. 연구자들의 고민과 논의가 더해질 때, 유튜브 연구는 더욱 성숙한 학문적 영역으로 자리 잡을 것입니다.
끝으로, 이 책의 출간을 위해 관심과 지원을 아끼지 않으신 박영스토리 대표님과 편집 및 제작을 위해 수고해주신 관계자 여러분들께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2025년 2월 저자 대표 정익중
정익중(Ick-Joong Chung)
University of Washington, School of Social Work, Ph.D.
현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현 아동권리보장원 제2대 원장
현 대통령 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위원현 국무총리 소속 사회보장위원회 위원
『아동복지론』(공저), 『청소년복지론』(공저), 『사회조사론』(공저), 『실종아동의 이해』(공
저), 『지역아동센터의 이해와 실제』(공저), 『아동청소년 방과후 서비스의 현황과
과제』(공저), 『빈곤아동과 삶의 질』(공저) 등을 포함하여 아동·청소년 연구 다수
수행
(e-mail) ichung@ewha.ac.kr
강희주(Hee-Ju Kang)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 박사
현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박사후연구원
현 이화여자대학교, 강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강사
<연구> AI를 활용한 디지털 환경 내 아동학대 발견 및 대응, 유튜브 출연아동 아동학
대 및 권리침해 현황, 아동양육시설 거주경험 및 소규모화 시범사업 연구, 아동
기본법 제정 연구 등 국내 아동보호 체계와 아동권리 향상을 위한 연구 수행.
(e-mail) deresa@ewha.ac.kr
김재연(Jaeyeon Kim)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박사과정 수료
현 유한대학교 사회서비스학과, 서원대학교 아동복지학과 강사
<연구> 유튜브 출연 아동 및 장애인 유튜버 연구, 정신장애인 지역사회 지원 연구,
장애인권리보장법 제정 및 장애영향평가 운영 방안 연구 등 장애인 정책 관련 연
구, 한국과 일본의 장애인 법률 및 지원체계 비교 연구 등 장애인·아동 대상 연구 수행
(e-mail) agnas413@gmail.com
김지혜(Ji-Hye Kim)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 박사
현 이화사회과학원 비상임연구원
현 가천대학교 사회정책대학원 사회복지학과 강사
<연구> 장애인 유튜브 분석, ChatGPT를 활용한 복지서비스 접근성 연구, 장애인 권
리 및 발달장애인 형사절차 연구, 시각장애아동 중재 프로그램 및 가족 복지서비
스, 발달장애인 직무 적응 및 돌봄 서비스 연구, 발달장애인 돌봄 종사자 연구 등
장애 및 복지 관련 연구 수행
(e-mail) solmi53@hanmail.net
PART 01 우리는 왜 유튜브를 활용해야 하나?
CHAPTER 01 디지털 환경과 연구 변화 8
CHAPTER 02 유튜브의 특징과 데이터 활용 12
1. 유튜브의 특징 12
2. 유튜브 데이터 특징과 활용의 장점 16
PART 02 유튜브 데이터 연구방법
CHAPTER 03 유튜브 데이터의 자료 수집 26
1. 채널 선정 방법 27
2. 영상 선정 방법 36
3. 기타 활용 방법 42
4. 자료 수집에서 추가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 49
5. 논문 작성 시 고려해야 할 사항 50
CHAPTER 04 유튜브 영상 연구하기 52
1. 유튜브 영상 분석의 필요성 52
2. 유튜브 영상에 대한 사회과학적 접근 55
3. 유튜브 영상분석 방법 58
4. 유튜브 영상분석 과정의 주요 요소 62
5. 유튜브 영상 내용분석 과정 65
CHAPTER 05 유튜브 텍스트 데이터 연구하기 96
1. 유튜브 텍스트 데이터의 연구 목적과 주제 선정 97
2. 텍스트 데이터 연구의 대상 선정 102
3. 텍스트 데이터 정리 및 정제 118
4. 텍스트 분석 방법 134
5. 연구결과 및 해석 145
CHAPTER 06 유튜브 댓글 연구하기 151
1. 유튜브 댓글 연구의 목적과 주제 선정 152
2. 댓글 연구의 분석 대상 기준 선정 154
3. 댓글 데이터의 수집과 정제 157
4. 수집된 댓글 분석 방법 166
5. 연구결과 및 해석 171
CHAPTER 07 유튜브 데이터 활용 연구 심사 대응 가이드 176
PART 03 유튜브 연구의 미래
CHAPTER 08 유튜브와 새로운 연구의 확장 186
1. 소외 계층 당사자의 생생한 목소리를 담는 유튜브 187
2. 유튜브 콘텐츠를 통한 민감한 주제 연구 188
3. 유튜버 직업군 등장과 사회적 변화 연구 189
CHAPTER 09 유튜브 연구와 디지털 기술의 융합 191
1. 디지털 기술 융합과 연구 패러다임의 변화 191
2.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유튜브 연구의 새로운 가능성 193
CHAPTER 10 디지털 환경에서 유튜브 연구자의 역할 195
1. 유튜브 연구의 윤리적 고려 195
2. 디지털 기술 융합 연구에서 유튜브 연구자의 역할 197
참고문헌 204
색인 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