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박영사/박영스토리 분야별 도서
닫기
국내총생산국제수지의이해와경제분석
신간
국내총생산국제수지의이해와경제분석
저자
황상필, 최정태
역자
-
분야
통계/연구방법
출판사
박영사
발행일
2024.07.30
장정
페이지
288P
판형
크라운판
ISBN
979-11-303-2016-8
부가기호
93320
강의자료다운
-
색도
정가
20,000원

초판발행 2024.07.30


머리말

 

유럽을 창조한 율리우스 카이사르(B.C. 100~B.C. 44)내전기에서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누구나 모든 현실을 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기가 보고 싶어하는 것밖에 보지 않는다.” 카이사르가 이야기한 것이 맞다면, 그리고 그가 말한 대부분의 사람들에 포함되고 싶지 않다면 다양한 통계를 살펴보라고 권하고 싶다. 세상에는 세 가지 거짓말이 있다고 한다. 하나는 거짓말이고, 둘째는 새빨간 거짓말이며, 셋째는 통계라고 한다(There are three kinds of lies: lies, dammed lies, and statistics.). 마크 트웨인(Mark Twain, 1835~1910)에 의하여 유명해진 말이다. 마크 트웨인이 통계에 대해 비우호적인 느낌으로 이야기하긴 했지만, 통계에는 우리가 간과했던 실재에 대한 모습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다. 카이사르가 전시뿐만 아니라 평시에 이루었던 많은 성과는 통계 정보를 잘 활용한 데도 크게 기인한다.

이 책에서는 GDP(Gross Domestic Product, 국내총생산)BOP(Balance of Payment, 국제수지)를 보다 잘 이해하고자 할 때 필요한 배경지식을 차근차근 살펴보고자 한다. GDPBOP는 우리 경제를 가늠함에 있어 가장 먼저 찾게 되는 두 통계이다. 이 두 정보와 친숙해진다면 적어도 경제문제에 있어서는 현실을 정확히 파악하고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내리는 데 저 위대한 카이사르가 그랬던 것처럼 를 훨씬 넘어설 것이다. 물론 경제는 보는 시각에 따라 다른 해석이 나올 수 있겠지만 과녁에서 어이없게 크게 벗어나는 사태는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이때에도 카이사르는 그와 다른 견해가 있다면 다음과 같이 명쾌하게 이야기하였을 것이다. “내가 무엇보다도 나 자신에게 요구하는 것은 내 생각에 충실하게 사는 것이오. 따라서 남들도 자기 생각에 충실하게 사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하오.”

한국은행에서는 각종 경제지표에 대한 국민들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알기 쉬운 경제지표해설, 우리나라의 국민계정체계, 우리나라 국제수지통계의 이해등 여러 책자를 발간하여 다양한 통계를 소개하고 있다. 이 책은 저자들의 오랜 업무경험과 축적된 배경지식을 토대로 GDPBOP 통계를 소개하는 한편 두 통계를 중심으로 국민계정상 각 통계 간 관계, 통계의 활용 등 다양한 관심사를 풍부하게 설명하기 위한 강의자료 작성 목적으로 시작한 것이다. 그렇지만 원고가 완성되고 보니 관심 있는 여러 분들과 이를 공유하는 것도 좋을 것으로 생각되어 이렇게 책자로 발간하게 되었다.

論語溫故而知新, 可以爲師矣라는 구절이 있다. “옛것을 온양하여 새것을 만들어 낼 줄 알면 남의 스승이 될 만하다.”는 말이다. 이 책으로 새것을 곧바로 만들어 낼 수 있을지는 모르겠으나 옛것을 온양하는 데는 큰 도움이 되리라 믿는다. 물론 새 것이 만들어진다면 그보다 더 큰 기쁨이 없겠다.

이 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제1장에서 GDPBOP의 기본 개념과 각 통계의 구성, 여타 국민계정과의 관계를 살펴보며, 2장에서 우리 경제의 현황, 통계 읽는 방법 등에 대해 알아본다. 3장에서는 GDP BOP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경제분석 주제에 대해 정리해 본다.

이 책을 작성하는 데에는 많은 분들의 도움이 있었다. 저자들은 한국은행의 여러 부서에서 근무하면서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습득하고 실무를 경험하였으며, 이는 이 책을 작성하는 데 소중한 자산이 되었다. 풍부한 업무 경험과 관련 지식을 차곡차곡 전수해 주시고 여러 측면에서 으로 으로 도움을 아끼지 않으신 선후배님들, 동료들, 관련 전문가님들에게 깊은 감사를 전한다. 또한 책의 구성과 내용 전달이 더욱 알차게 되도록 유익한 조언을 해주신 상명대학교 이동진 교수님에게 특별한 고마움을 남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책 구성이나 내용 면에서의 부족함, 혹시라도 남아 있을 수 있는 오류 등은 물론 저자들의 책임이다.

모쪼록 이 책이 개인의 의사결정뿐만 아니라 장·단기 경제현상 분석, ·거시 경제문제 해결방안 마련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희망해 본다

황상필

1989년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한 후 2004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에서 시계열 분석에 대한 연구로 통계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1992년 한국은행에 입행한 후 조사국, 경제통계국, 경제연구원 등에서 주로 근무하였다. 한국은행 경제통계국장, 거시모형부장, 경제교육실장, 울산본부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다양한 경제현안 분석 및 경제전망, 통계 연구 및 개발과 편제, 모형구축 작업 등에 참여하였다. 주요 연구로는 한국은행 분기거시계량모형(BOK04, BOK12 BOK12 재정모형 등)과 거시계량투입산출모형 구축, VAR 모형에 의한 유가충격의 영향, DSGE 모형을 이용한 소비행태 분석, 선형지출체계를 이용한 소비구조 변화, 인구구조 변화와 소비 및 산업구조, 빅데이터를 활용한 경기판단지표 개발 등이 있다. 저서로는 차근차근 알아보는 시계열의 특성 및 분석(박영사)이 있다.

 

최정태

1996년 연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한 후 2001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환위험 헤징에 관한 연구로 경영학(재무관리)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2001년 한국은행에 입행한 후 국제국, 외자운용원, 경제통계국 등에서 주로 근무하면서 정부채 및 모기지채권(MBS) 운용역, 회사채팀장, 국제수지팀장, 국민소득총괄팀장, 국민계정부장 등을 역임하였다. 외환보유액 운용뿐만 아니라 GDP, BOP 등 한국은행이 생산·편제하는 주요 통계의 총괄책임자로서의 경험 또한 축적하였다. 우리나라의 지식재산권 무역수지 통계를 신규로 개발·공표하였으며 산업통상자원부, 통계청, 특허청, 지식재산연구원 등 다양한 기관에 통계 관련 자문을 제공하였다. 2023년부터는 그간의 국민계정통계에 대한 기여를 국제적으로 인정받아 OECD 국민계정통계회의 집행위원(OECD Working Party on National Account Bureau member)으로 활동하고 있다.

차례


I. GDP와 BOP란 무엇인가?

1. GDP의 정의 3

2. GDP의 구성과 삼면등가 원칙 8

3. 다양한 GDP 관련 지표 27

4. GDP와 GDP 디플레이터 34

5. BOP의 정의 43

6. BOP의 구성 47

7. GDP, BOP 통계와 국민계정 64

8. GDP와 BOP 통계 간 관계 74

9. GDP 통계와 산업연관표 80

10. GDP, BOP 통계와 자금순환표 91


Ⅱ. 우리나라의 GDP, BOP 현황과 통계표 읽는 방법

1. 최근 GDP 현황 111

2. GDP 통계 읽는 방법 131

3. 최근 BOP 현황 148


Ⅲ. 국민계정과 경제분석

1. GDP와 경제예측 177

2. GDP와 잠재성장률 200

3. 우리나라의 1인당 GNI 216

4. 금리와 경제성장 225

5. 환율과 경제성장 232

6. 유가와 경제성장 249

7. 교역조건 변화와 경제성장 259

8. 경제성장과 고용 267


<참고문헌> 2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