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박영사/박영스토리 분야별 도서
닫기
강의 형법총론(제3판)
개정판
강의 형법총론(제3판)
저자
강동욱
역자
-
분야
법학 ▷ 형법
출판사
박영사
발행일
2024.07.25
장정
페이지
516P
판형
크라운판
ISBN
979-11-303-4745-5
부가기호
93360
강의자료다운
-
색도
정가
32,000원

3판 발행 2024년 7월 25

2판 발행 2021년 8월 30

초판 발행 2020년 7월 30






3판 머리말

 

강의 형법총론2판을 발간한 이후 2년이 지났다. 짧은 시간이었지만 사회의 변혁에 따라 형법의 일부개정은 물론 일부 판례의 태도에도 변경이 있었다. 지금도 형법개정안이 국회에 발의되어 있는 상태이지만 사실상 21대 국회가 종료된 상태이므로 제3판을 발간하기로 결정하였다. 3판에서는 형법총론에 대한 이론과 판례 등에 대한 이해를 쉽게 이해하게 하고자 하는 본서의 저술 취지에 충실하면서 다음의 점에 관하여 수정·보완하였다.

첫째, 202388일 개정된 형법(법률 제19582)의 내용까지 모두 반영하여 수정·보완하였다. 그동안 형법규정의 일본식 표현이나 어려운 한자어 등을 국민의 눈높이에 맞추어 읽기 쉬운 우리말로 변경하고, 법률문장의 내용을 정확히 전달할 수 있도록 어순구조를 재배열하는 등의 형법일부개정이 있었다. 이에 개정된 형법규정에 따라 본서의 내용을 변경·수정하였다. 또한 형법에서 영아살해죄(251)와 영아유기죄(272)가 삭제됨에 따라 이에 관련된 내용을 수정하였고, 형의 시효에 대한 개정내용을 반영하였다.

둘째, 최근 각종 시험에서 판례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현실을 반영하여 20242월까지의 주요 대법원판례와 헌법재판소결정을 추가하는 등, 판례의 내용을 보완하였다. 특히, 형법1조 제2항의 적용범위에 관한 대법원 전원합의체의 판결을 상세하게 서술하였다.

끝으로 본서의 제2판에서 수정하지 못한 오·탈자나 서술의 오류 부분을 수정함으로써 본서의 완성도를 높였다.

이미 형법총론 교과서가 상당수 출판되어 있고, 모든 교과서들이 나름대로의 장점을 가지고 서술되어 있어서 많은 사람들이 형법총론 부분을 공부하는 데 이용되고 있다. 본서는 형법규정 및 그 적용범위에 관하여 중점 중심으로 정리·서술함으로써 전문법률가들뿐만 아니라 법학초보자들도 형법총론의 이론과 판례의 내용을 보다 쉽게 습득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서는 최근 판례 위주의 학습이나 각종 국가시험의 경향에 따라 주요 판결들을 소개함으로써 현대 법학공부의 흐름에 충실하게 대응하면서도 형법이론에 따른 학설의 대립과 그 이론적 귀결에 관한 이해의 중요성을 강조함으로써 형법총론 전반에 관하여 체계적인 지식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앞으로도 본서의 취지에 따라 내용을 충실하게 보완해 나갈 것임을 약속드리면서, 독자 여러분들의 많은 비판과 격려를 기대한다.

끝으로 본서의 교정을 도와준 김봉수 김천대학교 교수와 최형보 세경대학교 외래교수에게 감사하며,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제3판을 출간해 주신 박영사 안종만 회장님, 안상준 대표님, 김선민 이사님을 비롯한 편집부 직원 여러분께 심심한 사의를 표한다.

 

2024. 6.

목멱산 중턱에서

강 동 욱

 

법학박사

) 관동대학교 교수

) 한양대학교, 국립 경찰대학 강사

) 동국대학교 법과대학 학장 겸 법무대학원 원장

) 한국법학교수회 부회장

) 서울중앙지방검찰청 형사상고심의위원회, 대검찰청 검찰수사심의위원회,
서울고등검찰청 영장심의위원회 위원

동국대학교 법과대학 교수

법무부 여성아동정책심의회 위원장

법무부 법무보호위원

서울동부지방검찰청 형사조정위원

국가연구개발과제 범부처 평가위원

민주화운동관련자 명예회복 및 보상심의위원회 위원

서울 동부노인보호전문기관 사례판정위원회 위원장

한국법정책학회, 한양법학회, 한국아동보호학회 고문

한국탐정학회 회장, 한국아동학대예방협회 부회장 등

사법시험, 행정고시, 입법고시 및 각종 국가공무원(경찰공무원 포함)시험 출제위원,
선정위원, 면접위원 등

차례

 

1편 서 론

1장 형법의 기초이론

1절 형법의 의의 / 3

2절 형법의 성격 / 5

3절 형법의 기능 / 8

4절 형법의 역사 / 11

2장 죄형법정주의

1절 죄형법정주의의 의의와 배경 및 근거 / 14

2절 죄형법정주의의 파생원칙 / 16

3절 죄형법정주의의 현대적 의의 / 22

3장 형법의 적용범위

1절 시간적 적용범위 / 24

2절 장소적 적용범위 / 31

3절 인적 적용범위 / 37

4장 형법이론과 형법학파

1절 범죄이론 / 39

2절 형벌이론 / 40

3절 형법학파 / 42

 

2편 범죄론

1장 범죄 일반이론

1절 범죄의 기초 / 49

2절 범죄의 종류 / 56

2장 행위론

1절 형법상 행위론 / 61

2절 행위의 주체와 객체 / 66

3장 구성요건론

1절 구성요건 일반이론 / 71

2절 인과관계와 객관적 귀속 / 74

3절 고의 / 81

4절 사실의 착오 / 87

5절 과실 / 96

6절 결과적 가중범 / 110

7절 부작위범 / 117

4장 위법성론

1절 위법성 일반이론 / 136

2절 정당행위 / 145

3절 정당방위 / 159

4절 긴급피난 / 170

5절 자구행위 / 176

6절 피해자의 승낙 / 181

5장 책임론

1절 책임 일반이론 / 191

2절 책임능력 / 196

3절 책임고의·책임과실 / 210

4절 위법성인식 / 212

5절 기대가능성 / 225

6장 미수론

1절 미수범 일반이론 / 235

2절 장애미수 / 241

3절 중지미수 / 244

4절 불능미수 / 254

5절 예비죄 / 263

7장 공범론

1절 공범이론 / 274

2절 공동정범 / 286

3절 간접정범 / 308

4절 교사범 / 328

5절 종범 / 341

6절 공범과 신분 / 350

8장 죄수론

1절 죄수 일반이론 / 36

2절 일죄 / 365

3절 수죄 / 379

 

3편 형벌론

1장 형 벌

1절 형벌 일반이론 / 395

2절 형벌의 종류 / 396

3절 형의 양정 / 414

4절 누범 / 425

5절 선고유예집행유예가석방 / 430

6절 형의 시효소멸사면기간 / 446

2장 보안처분

1절 보안처분제도 / 453

2절 현행법상 보안처분 / 4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