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박영사/박영스토리 분야별 도서
닫기
법학의 길을 새로 묻다
신간
법학의 길을 새로 묻다
저자
한국법학교수회
역자
-
분야
법학
출판사
박영사
발행일
2025.04.25
장정
양장
페이지
360P
판형
크라운판
ISBN
979-11-303-4895-7
부가기호
93360
강의자료다운
-
색도
1도
정가
25,000원

집필진 소개


조홍식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송상현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명예교수

김현철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이영록 조선대학교 법학과 교수

천경훈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이국운 한동대학교 법학부 교수

정긍식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홍영기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안정빈 경남대학교 법학과 교수

양천수 영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이계일 연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박혜진 한양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김정연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제1부 한국법학교수회 60주년 기념행사

개회사 [조홍식] 3

기조강연 [송상현] 9

한국법학교수회 60주년 선언문 20


제2부 한국법학교수회 60주년 기념학술대회

제1장 법학의 길을 새로 묻다

• 법학의 길을 새로 묻다 [김현철] 29

제2장 한국의 법학자

• 법학자의 초기 정체성 [이영록] 49

Ⅰ. 머리말 49

Ⅱ. 법학자의 소명과 초창기 한국의 특수성 51

Ⅲ. 법학자 모델을 찾아서: 유진오와 유기천 62

Ⅳ. 맺음말을 대신하여 72

• 법학 학문후속세대 양성 체제의 현재와 미래 [천경훈] 75

Ⅰ. 머리말 75

Ⅱ. 기초적 고찰 77

Ⅲ. 국내의 현황 분석 81

Ⅳ. 외국의 현황 개관 94

Ⅴ. 서울대 학문후속세대 양성센터의 경험 104

Ⅵ. 몇 가지 제언 107

• 로스쿨 체제와 법학자의 정체성 [이국운] 111

Ⅰ. 경세(經世)의 법학 전통은 어디로 가버렸는가? 111

Ⅱ. 한국 사회에서 경세의 법학이 빛나던 시절 114

Ⅲ. 불투명한 전망 속의 혼돈과 타협 121

Ⅳ. 로스쿨 개혁의 비전과 법률가의 사회적 역할 129

Ⅴ. 새로운 방향 설정 이후 법학자들이 해야 할 일 139

제3장 한국의 법학교육

• 근대 한국 법학교육 제도사 [정긍식] 145

Ⅰ. 머리말 145

Ⅱ. 근대법학의 수용과 법학교육 147

Ⅲ. 현대 법학교육제도의 형성 158

Ⅳ. 맺음말 163

• 법률가양성교육에 대한 성찰 [홍영기] 166

Ⅰ. 상황 167

Ⅱ. 법률가의 역할 174

Ⅲ. 제안 185

Ⅳ. 맺음말 195

• 학부 법학 교육의 위기와 대안 [안정빈] 196

Ⅰ. 들어가며 196

Ⅱ. 2024년 9월 현재 법학과 현황 197

Ⅲ. 학부 법학과가 위기에 처한 이유 210

Ⅳ. 직업적 측면에서의 법학부의 법학교육(상세) 216

Ⅴ. 맺음말 231

제4장 한국의 법학연구

• 법학 연구의 역사 [양천수] 235

Ⅰ. 머리말 235

Ⅱ. 법학 연구의 역사 개관 236

Ⅲ. 법학 연구의 전통과 방법을 찾아 246

Ⅳ. 법학의 위기와 법학의 학문적 유의미성 268

Ⅴ. 맺음말 272

• 전환기, 법학의 학문성 재고 [이계일] 274

Ⅰ. 들어가며 274

Ⅱ. 법학연구의 세부유형 분류와 방법론 276

Ⅲ. 조사의 방법과 대상 설계 280

Ⅳ. 조사 결과 283

Ⅳ. 조사의 함의와 과제 302

Ⅴ. 본고의 한계와 보완조사가 필요한 영역 312

• 새로운 시대환경에서 법학의 사회적 기여와 세계화 [박혜진․김정연] 314

Ⅰ. 머리말 314

Ⅱ. 연구방법 316

Ⅲ. 연구결과 317

Ⅳ. 분석 336

Ⅴ. 맺음말 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