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박영사/박영스토리 분야별 도서
닫기
한국의 사회적경제
신간
한국의 사회적경제
저자
한상일
역자
-
분야
행정학
출판사
박영사
발행일
2025.02.28
장정
무선
페이지
376P
판형
크라운판
ISBN
979-11-303-2225-4
부가기호
93350
강의자료다운
-
색도
2도
정가
27,000원

초판발행 2025.02.28

<머리말>


사회적경제를 처음 연구하기 시작한 대학원생이나 교수들이 지역사회 활동가를 인터뷰할 때 자주 묻는 말이 “이 일을 왜 하시는 거죠?”이다. 경제적 이익이 중요해지는 시대에 사회적경제 활동의 이유를 찾기 어려워진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한국의 지역에는 자신이 만든 공동체에서 자족적인 경제활동을 하려는 사람들이 있고, 이들이 운영하는 사회적경제 조직의 수는 증가하고 있다.

지역에는 스스로 생산하거나 소비하는 공동체를 만들어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다는 꿈을 가진 작은 사람들이 있다. 이들은 고용된 직장에서 부당하게 대우받기보다 같은 뜻을 가진 사람들과 순수한 마음으로 함께 생산하고 분배하길 원한다. 그렇게 하면 열악한 환경을 개선하고 자신의 공정한 몫을 찾고, 모두가 행복한 지역을 만들 수 있을지 모른다고 생각한다. 이런 생각을 실행에 옮겼을 때 차가운 현실 속에서 실패하는 경우가 많지만 끈질긴 노력 끝에 여러 번의 시행착오를 거쳐 새로운 모델로 자리잡기도 한다.

한국에는 다양한 사회적경제가 있고 이들은 서로 다른 발전의 과정을 거쳤다. 사회적경제는 그들이 직면한 도전, 인적·물적 자산, 문화적 토대와 같은 특성에 따라 나름의 발전 경로를 지나 각자 독특한 혁신의 성과를 보여준다. 저자는 이 책에서 한국의 주민과 사회적 기업가가 만들어 낸 다양한 성취의 과정을 보여주고 싶었다. 이렇게 다양한 과정을 이해할 때 사회적경제의 어떤 특성과 노력이 새로운 의미와 성과를 만들 수 있는지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2022년 7월 14일 저자는 연구진과 함께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퀘벡 노동운동과 사회적경제의 산 증인인 라로즈(Gerald Larose) 데자르댕(Desjardins) 연대경제금고 부회장을 만났다. 그는 “사회적경제에서 제일 어려운 것은 정체성을 찾고 지키는 일”이라고 언급하며 대화를 마무리하였다. 사회적경제가 가장 역점을 두어야 할 일이 지역의 정체성을 찾고 비전을 공유하는 일이라는 의미이다. 이 책에서 발견한 한국 사회적경제 제도화의 시작은 학습이었다. 주민과 활동가가 함께 배우는 과정을 시작으로 지역의 정체성을 찾고 이를 기반으로 문화적 토대를 만들 때 사회적경제가 제도화되고 지속가능한 지역이 형성된다.

이 책은 학술서적으로 집필되었다. 그런데 한국에서 사회적경제를 강의할 때 사용될 만한 책이 부족하다는 점을 감안해서 교재로도 쓸 수 있게 내용을 구성하였다. 따라서 이 책에는 교재가 갖는 몇 가지 특징이 있다. 먼저 각 장을 사회적경제 관련 인용문으로 시작했다. 인용문은 각 장과 내용이 연결되는 문헌이나 인터뷰에서 추출하였다. 모든 장을 직관적인 설명이나 현장감 있는 증언으로 시작해서 독자가 주제에 친숙하게 접근하도록 유도하였다. 중요한 개념, 특징, 원칙은 박스로 강조하였다. 독자들은 시각적으로 강조된 박스를 통해 무엇을 이해해야 하는지를 쉽게 파악하고, 유사개념과의 차이는 무엇인지 생각해 볼 기회를 갖게 된다.

주목할 만한 사례나 연구 성과는 <들여다보기>라는 항목으로 구분해서 강조하였다. 본문에서 언급되는 한국, 스페인, 이탈리아, 독일, 프랑스, 캐나다, 미국 등 여러 나라의 사회적경제 관련 사례를 간략하게 요약해서 내용의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각 장이 마무리될 때는 그 장의 내용을 간결하게 요약해 두었다. 본문의 내용 중에서 반드시 기억해야 할 것을 정리해서 독자의 학습 편의를 도왔다. 제3장부터 제16장까지 각 장의 제일 마지막에는 <사례분석>을 배치하였다. 한국의 사회적경제를 학습할 때 알아두면 좋은 사례를 비교적 상세히 설명하여 독자의 더 많은 관심을 끌고 학습 의욕을 높이려고 하였다.

이 책은 2021년 선정 한국연구재단 저술출판지원사업의 지원으로 출판되었다. 그러나 저자는 오래전부터 사회적경제에 대한 관심을 두고 있었다. 저자는 비영리조직의 전통이 강한 미국에서 지역사회 조직 연구를 시작하였다. 한국에 돌아온 후 유사한 연구 대상을 저자가 재직 중인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가 위치한 원주시의 사회적경제 조직에서 찾았다. 본격적인 연구는 2010년에 착수한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과제, “지역친화적 사회적 기업의 지속가능성 연구”에서 시작되었다. 그 후 연구책임을 맡은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자지원, 토대연구지원, 공동연구지원 과제와 BK21 플러스 교육연구팀에서의 연구대상을 사회적경제로 확장했고 범위도 전국과 세계로 넓혔다.

저자가 이 책에서 표방하는 주된 생각은 2017년부터 5년 동안 진행한 한국연구재단 토대연구지원사업, “공동체, 기업가정신, 지역경제 활성화” 연구에서 주로 형성되었다. 한국의 공동체와 기업가정신에 대한 DB를 만들기 위해 연구진과 함께 전국 31개 지역을 둘러보고 활동가를 만나며 많은 것을 배웠다. 그때 했던 생각이 이 책의 곳곳에 스며들어 있고 활동가의 증언도 기록되어 있다. 저자를 만나주고 많은 자료와 함께 큰 교훈을 주신 31개 지역의 사회적경제 활동가에게 진심으로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이 책이 집필되기까지 많은 분의 도움이 있었다. 저자의 지역사회 연구는 대학원 석사과정 때부터 배운 조직 민주주의에 대한 지적 호기심에서 촉발되었다. 관료제와 민주주의의 딜레마, 참여의 유형과 함의, 지역 자치공동체의 사례를 접하게 해 주신 지도교수님 연세대학교 안병영 명예교수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저자의 사회적경제 연구의 시작부터 지금까지 동행해 주고 계신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정무권 명예교수님께도 감사드린다. 이 책을 쓰게 된 가장 중요한 계기였던 토대연구지원 사업에서 함께 토론하고 고민해 주신 유평준, 정무권, 장종익, 최무현, 임효상, 이현옥 교수님께도 감사드린다. 저자가 책임을 맡은 과제의 전임연구 인력으로써 지원을 해 주신 고은주 박사님, 이재희 박사님, 박주희 교수님, 조미라 박사님, 유한나 교수님, 권소일 교수님께도 감사드린다. 특히 토대연구지원 사업부터 현재의 공동연구지원 사업까지 함께해 주고 계신 이경미 연구교수님께 감사드린다. 

언제나 저자를 지지해 주시는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글로벌행정학과의 모든 소속교수님께 감사드린다. 특히 이 책의 초고를 읽고 좋은 수정 의견을 주신 조인영 교수님께 감사드린다. 저자는 지난 1년 간 대학의 보직을 맡으며 집필을 마무리하느라 학교 일에 소홀하게 되지 않을지 걱정의 시간을 보냈다. 보직과 집필을 동시에 수행하는 동안 많은 격려를 해 주신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의 하연섭 부총장님을 비롯한 모든 구성원 여러분께 감사드린다. 마지막으로 언제나 가까운 곳에서 믿음을 주고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 주는 모든 가족 구성원에게 가장 깊은 감사와 사랑의 마음을 전한다.


2025년 2월 

한상일

한상일


현직

•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글로벌행정학과 교수


연구분야

• 사회적경제, 조직론, 지역개발


학력

• 미국 Univ. of Southern California, Sol Price 공공정책대학원 졸업(행정학박사, 2003)

•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행정학과 졸업(행정학사, 1996)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행정학과 졸업(문학사, 1994)


경력 및 수상

• (현)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원주기획처장(2024-현재)

• (현) 연세대학교 글로벌행정학과 4단계 BK21 교육연구단장(2020-현재)

• (현) 한국행정이론학회 회장(2024.9-현재)

• (전) 한국정책학회 ODA정책특별위원장(2022)

• (전) 한국행정학회 편집이사(2023-2024)

• (전) 연세대학교 글로벌행정학과 BK21 플러스 교육연구팀장(2013-2020)

•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우수업적 교수상(저역서 부문 최우수, 2021)

•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우수업적 교수상(연구비 부문 우수, 2023)

• 대한민국 학술원 우수 학술도서상(원주의료기기클러스터의 이해, 2010)

제1부 기초적 논의


제1장 사회적경제란 무엇인가? 4

1. 사회적경제의 개념 5

2. 사회적경제가 중요한 이유 13

3. 한국 사회적경제의 비교분석과 발전경로 분석의 필요성 18

4. 책의 구성과 내용 20


제2장 한국 사회적경제의 현황 26

1. 한국 사회적경제의 규모와 분포 27

2. 한국 사회적경제의 현황: 조직, 주민, 공무원의 인식 31


제2부 이론적·역사적 논의


제3장 사회적경제의 이론과 연구 경향 46

1. 사회적경제 이론의 계보 47

2. 초기 학자의 사회적경제에 대한 관점 49

3. 폴라니의 사회적경제 이론 59

4. 사회적경제 이론의 체계화: 정부·시장·공동체와 사회적경제의 역학 61

5. 한국 사회적경제 연구의 최근 경향 68

6. 한국 사회적경제 연구의 향후 과제 72


제4장 사회적경제의 역사 77

1. 유럽 사회적경제의 역사적 발전 78

2. 한국 사회적경제의 역사적 발전 85


제5장 한국 사회적경제의 발전경로 94

1. 한국 사회적경제의 발전에 관한 기존 연구 95

2. 한국 사회적경제의 발전양식 97

3. 한국 사회적경제의 자발적 지역화 102

4. 한국 사회적경제의 공식적 제도화 109

5. 한국 사회적경제에서 혁신의 제도화 116

6. 한국 사회적경제의 발전양식의 상호작용과 발전경로 119


제3부 구성개념별 분석


제6장 한국 사회적경제의 공동체성 130

1. 공동체란 무엇인가? 131

2. 사회적경제에서 공동체의 중요성 134

3. 사회적 자본과 공동체성 그리고 사회적경제 136

4. 한국에서의 공동체와 사회적경제 138

5. 한국 사회적경제의 공동체성 141


제7장 한국 사회적경제의 사회적 기업가정신 150

1. 사회적 기업가정신과 사회적경제 151

2. 사회적 기업가정신의 개념 152

3. 사회적 기업가정신의 선행요인 154

4. 한국의 사회적 기업가정신, 사회문제 해결, 사회적경제 155


제8장 한국 사회적경제 조직의 관리 역량 162

1. 사회적경제 조직의 역량 163

2. 한국 사회적경제 조직의 역량 167


제4부 정책영역별 분석


제9장 한국의 사회적경제와 의료·복지 178

1. 사회적경제와 의료․복지 179

2. 한국의 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의 개념과 발전과정 182

3. 한국의 의료․복지 분야 사회적경제의 성과 191


제10장 한국의 사회적경제와 노동통합 197

1. 사회적경제와 노동통합 198

2. 유럽의 사회적경제와 노동통합 199

3. 한국 사회적경제의 노동통합 203

4. 한국의 노동통합 분야 사회적경제 206


제11장 한국의 사회적경제와 지역경제 활성화 212

1. 한국의 지역이 직면한 위기 213

2. 지역경제 활성화에서 사회적경제의 중요성 214

3. 사회적경제를 통한 지역경제 발전전략 217

4. 한국의 지역별 지역경제 활성화 인식 221


제5부 조직유형별 분석


제12장 사회적 기업과 사회적경제 228

1. 사회적 기업의 개념과 유형 229

2. 한국 사회적 기업 지원제도의 도입배경 232

3. 한국 사회적 기업 제도화의 과정 236

4. 한국 사회적 기업 지원제도의 문제와 쟁점 238

5. 한국 사회적 기업의 역량과 성과 242


제13장 협동조합과 사회적경제 248

1. 협동조합의 개념, 원칙, 유형 249

2. 한국 협동조합의 역사 254

3. 한국 협동조합의 현황 259

4. 한국 협동조합의 역량과 성과 260


제14장 마을기업과 자활기업 266

1. 마을기업의 개념과 발전과정 267

2. 자활기업의 개념과 발전과정 271

3. 한국 마을기업과 자활기업의 현황 273

4. 한국 마을기업과 자활기업의 문제점과 과제 277


제6부 발전을 위한 과제와 전망


제15장 사회혁신, 리빙랩 그리고 한국의 사회적경제의 발전 284

1. 사회적경제와 사회혁신 285

2. 리빙랩: 시민이 만들어가는 사회혁신 288


제16장 사회적경제와 국제개발협력 294

1. 개발도상국가에서 사회적경제가 중요한 이유 295

2. 개발도상국가에서의 사회적경제 활성화 전략 297

3. 한국국제협력단의 사회적경제 진흥 전략 309


제17장 한국 사회적경제의 과제와 발전전략 313

1. 한국 사회적경제의 기회와 위기 314

2. 한국 사회적경제의 과제 316

3. 책을 마무리하며 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