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판 2024.07.15
중판 2024.03.20
제4판 2016.09.10
중판 2016.03.05
중판 2014.02.10.
초판 2011.09.20.
제5판 머리말
한때 대학가에는 “현대사회와 ...”라는 이름의 강좌가 유행병처럼 번졌던 시기가 있었다. 그러한 유행은 또한 범죄학에도 예외가 아니어서 전국의 대학에서 너도나도 앞 다투어 “현대사회와 범죄”라는 교양강좌가 개설되었다. 이 유행은 여기서 그치지 않고, 강좌와 같은 이름의 교재가 봇물 터지듯이 출판되었다. 다양한 교재의 출간은 학문적으로도, 학생들에게도 다행스러운 일이지만, 아쉬운 것은 당시 출간된 교재들이 이름만 바뀌었지 사실상 내용은 기존의 “범죄학” 서적들과 거의 같았던 것이다. 이런 아쉬움에 출판사와의 협의로 서명에 맞는 내용의 새로운 교재를 내놓게 되었던 게 벌써 20년이 넘었다. 한두 번 출판사가 바뀌고, 내용도 그때마다 조금씩 바뀌는 과정을 거쳐서 박영사에 정착하여 몇 번의 개정과 증보를 거쳐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이번의 증보판에는 “현대사회와 범죄”라는 서명의 의미를 최대한 반영한다는 견지에서 현대사회에서 우리가 새롭게 경험하거나 적어도 더욱 심각해지는 범죄 현상을 반영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최근 들어 그 수법이 더욱 교묘해지고 피해 또한 그 대상과 정도가 더욱 확산되고 심각해지고 있는 대표적인 범죄 두 가지를 추가하였다. 그 하나는 “피싱(Phishing) 범죄”이고, 다른 하나가 “교제 폭력(Date violence)”이다. 과거의 피싱 범죄가 어쩌면 투망식으로 고기를 잡듯 무작위적 ‘투망형’이거나 기껏해야 ‘낚시형’이었다면 현재는 표적을 선택하여 공격하는 그야말로 ‘작살형’으로 진화할 정도가 되었다. 또한 “교제 폭력”도 ‘스토킹(Stalking) 범죄’와 연계되기도 하여 더욱 빈번하고 잔인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이들 두 범죄에 대해서 미리 알고 대비함으로써 피해를 당하지 않거나 그 위험을 줄일 수라도 있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독자들에게 소개하였다.
늘 그렇듯이 학문을 하는 사람은 응당 글을 써야 마땅하지만, 그런 학문적 열정을 하나의 결실로 세상에 내놓는 것은 출판사의 몫이다. 이 책이 세상에 빛을 보게 해준 박영사와 그 임직원 여러분께 감사드린다. 그리고 노학자의 학문적 열정이 식지 않도록 응원해주는 독자 여러분께도 감사드린다. 저자의 학문을 쉬지 않고 이어갈 수 있게 배려해 준 고려사이버대학교와 우리 가족 모두에게도 감사드린다.
2024. 6. 6. 현충일에
삼청공원 모퉁이 고려사이버대학교 연구실에서
저자 이윤호 약력
동국대학교 경찰행정학과 졸
미국 Michigan State University 범죄학 석사, 박사
경기대학교 교정학과, 경찰학과 교수 역임
교학2처장, 대외협력처장, 행정대학원장 역임
동국대학교 경찰사법대학 교수 역임
사회과학대학장, 행정대학원장 역임
경찰사법대학장, 경찰사법대학원장 역임
입학처장 역임
국가경찰위원회 위원 역임
법무부 법무연수원 교정연수부장(개방형 임용 계약직 이사관) 역임
대한범죄학회 회장 역임
한국공안행정학회장 역임
한국경찰학회장 역임
한국산업보안연구학회장 역임
한국대테러정책학회장 역임
현 고려사이버대학교 경찰학과 석좌교수
동국대학교 명예교수
사단법인 목멱사회과학원 이사장
저 서
“한국소년비행론”, “한국형사사법정책론”, “범죄학”, “경찰학”, “교정학”, “피해자학”,
“현대사회와 범죄”, “범죄, 그 진실과 오해”, “범죄심리학”,
“연쇄살인범 그들은 누구인가”, “청소년 비행론”, “하루 한줄 행복에 물들다”,
“세기와 세상을 풍미한 사기꾼들”, “범죄 기네스북”, “영화속 범죄코드를 찾아라”,
“인생 프로파일링, 삶을 해부하다”, “폭력의 해부”(역저), “세기의 오심”
공저자 이승욱 약력
미국 Michigan State University, 범죄학 학사, 석사, 박사
미국 University of Southern Indiana 조교수 역임
현, 미국 Texas A & M, San Antonio 조교수
차 례
제1부 서 론
제1장 현대사회의 범죄
제2장 범죄학 이론의 기초
제2부 매스커뮤니케이션과 범죄
제1장 범죄와 형사사법에 대한 대중매체의 영향
제2장 범죄의 원인으로서의 대중매체
제3장 범죄대책으로서의 대중매체
제3부 현대사회의 폭력범죄
제1장 가정폭력
제2장 학교폭력
제3장 직장폭력
제4장 표적범죄
제5장 전통적 폭력범죄
제4부 현대사회의 특수범죄
제1장 사이버범죄
제2장 조직범죄
제3장 다국적, 국제적 범죄
제4장 마약범죄
제5장 환경범죄
제5부 현대사회의 경제범죄
제1장 경제적 환경과 범죄
제2장 산업스파이
제3장 기업범죄
제4장 직원범죄-고용인 절도, 사기, 횡령
제5장 화이트칼라범죄
제6부 범죄예방론
제1장 범죄예방이론
제2장 물리적 환경과 범죄
제3장 범죄피해와 범죄예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