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박영사/박영스토리 분야별 도서
닫기
리더십 개발론
신간
리더십 개발론
저자
이진. 윤소겸
역자
-
분야
경영학
출판사
박영스토리
발행일
2025.09.30
장정
무선
페이지
276P
판형
크라운판
ISBN
979-11-7279-162-9
부가기호
93320
강의자료다운
-
색도
2도
정가
17,000원

초판발행 2025.09.30

서문


오늘날 리더십은 조직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넘어, 우리 시대의 가장 중요한 화두이자 핵심적인 담론으로 자리 잡았다. 리더와 그들의 육성에 관심을 두지 않는 조직은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며, 리더십의 확보와 개발은 조직의 현재와 미래를 위한 필수불가결한 과제가 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따라 수많은 리더십 이론과 현장의 성공 사례들이 쏟아져 나오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정작 그 리더십의 본질을 ‘어떻게’개발하고 내면화할 것인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와 지침은 여전히 부재하다. 리더십에 대한 과학적 연구는 20세기에 본격화되어 100년이 넘는 역사를 지녔음에도, 리더십 ‘개발’에 대한 학계의 관심과 이론적 성취는 아직 걸음마 단계에 머물러 있다. 리더십 연구자이자 동시에 현장 실무자들을 만나는 교수로서, 현장의 실천을 안내하고 이론과 실제의 가교가 되어줄 지적 토대가 없다는 것은 한편으로 아쉽고 또 부끄러운 일이었다. 또한 이 책의 출간을 기대하며 같은 고민을 나누었던 동료 연구자들과 수강생들의 바람은, 이 지적 갈증이 비단 개인적인 것이 아님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지난 수년간 대학에서 리더십 개발론을 강의하며 이러한 지식의 공백을 해소하고자 깊이 고민하였다. 이 책은 그 고민의 결과물로, 현장의 실천가는 물론, 리더십에 관심을 갖는 경영진과 학문적 탐구를 추구하는 연구자 모두에게 길잡이가 되어줄 기초적인 가이드이다. 특히, 오랜 시간 국내 리더십 개발을 선도해 온 최고의 전문가인 윤소겸 박사와의 공동 집필은 리더십 개발 지식의 체계화와 현장의 실천적 통찰을 아울러 담아내는 시도를 가능하게 했다. 이 책을 통해 우리는 리더십과 리더십 개발에 대한 고전적 연구부터 최신의 연구결과까지 폭넓게 아우르며 현장의 시선까지 담아냄으로써 이론과 실제의 균형을 맞추고자 했다.

물론, 리더십 개발이라는 방대하고 심오한 영역의 모든 것을 이 한 권에 담아내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따라서 이 책의 목적은 모든 것을 아우르는 완결된 지식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다. 그보다는, 파편화된 채 흩어져 있던 다양한 연구와 실천적 관행들을 하나의 체계로 엮어, 리더십 개발에 대한 뿌리 깊은 오해를 줄이고 이해를 높이는 데 중점을 두고자 하였다.

부디 이 책이 리더십의 세계로 진입하려는 모든 이들에게 첫걸음을 제공하는 마중물이 되어, 더 넓고 깊은 지식의 세계로 나아갈 수 있는 단단한 토대를 마련해 주기를 바란다.


2025년 9월

이 진


서문


리더십 개발은 언제나 조직에서 가장 중요한 과제로 여겨지지만, 동시에 가장 풀기 어려운 숙제이기도 하다. 수많은 리더십 개발 프로그램이 실행되었지만, 현장에서 체감한 것은 이론적으로 완벽해 보이는 방법론이 실제로는 기대만큼 효과를 내지 못한다는 현실이었다. 리더 개인의 성장과 조직 성과를 어떻게 연결할 것인가는 HRD 담당자가 매일 직면하는 근본적인 과제이다.

그동안 효성, KIA, 그리고 SK텔레콤에서 1,000명 이상의 리더들과 함께 호흡하며 리더십 개발을 실험하고 실행해 왔다. 그 과정에서 확인한 중요한 교훈은, 리더십이 리더 개인의 역량에 국한되지 않고 리더와 팔로워가 공동의 목표를 향해 상호작용하며 형성되는 과정이라는 점이었다. 그러나 여전히 많은 조직에서 리더십을 개인의 특성과 능력에만 환원해 바라보는 경우가 많고, 그로 인해 개발의 효과가 제한되곤 한다.

이 책은 이러한 한계를 넘어 프로세스 리더십 모형을 중심으로 리더십을 새롭게 조망하고자 한다. 우리는 리더십을 리더와 팔로워, 그리고 공동의 목표가 역동적으로 상호작용하며 만들어 가는 과정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효과적인 리더십 개발은 리더뿐 아니라 팔로워십을 함께 고려해야 하며, 조직 차원에서 이를 조율할 수 있는 체계가 필요하다.

무엇보다 이 책이 나오기까지는 이진 교수님의 학문적 통찰과 연구적 기여가 큰 힘이 되었다. 학계에서 같은 문제의식을 가진 분을 만난 것은 큰 행운이었다. 덕분에 현장의 고민을 학문적 틀 속에서 다시 성찰할 수 있었고, 실무 경험을 체계적 지식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이러한 협업은 학문과 실무를 연결하는 든든한 다리가 되었다.

이 책이 리더십 개발을 직접 담당하는 HRD 전문가뿐만 아니라, 조직의 전략과 인재 육성을 고민하는 HR 임원, 그리고 이론과 실제의 접점을 탐구하는 대학원생과 연구자들에게도 의미 있는 길잡이가 되기를 바란다. 리더십 개발은 단순한 프로그램의 문제가 아니라 조직의 방향성과 문화를 좌우하는 핵심 과제이기 때문이다.

이 책이 리더십과 팔로워십을 균형 있게 이해하고자 하는 다양한 독자들에게 새로운 통찰을 제공하고, 프로세스 리더십 모형이 조직의 학습과 성장을 이끄는 실질적 도구로 자리 잡기를 기대한다.


2025년 9월

윤소겸


이 진

가톨릭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LG CNS에서 HRD 담당자로 실무를 경험하며 전문성을 쌓았고, 미국 Texas A&M 대학에서 인적자원개발 박사 학위를 취득하며 이론적 기반을 다졌다. 이후 Texas State University 교수를 거쳐 현재 가톨릭대학교 경영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리더십, 조직개발, 전략적 HR을 주요 연구 분야로 삼아 이론과 실무의 균형을 추구하며, 국내 유수 기업과 공공기관에 컨설팅과 자문을 활발히 제공하고 있다.

 

윤소겸

SK텔레콤 HR센터 매니저

효성, KIA, SK텔레콤에서 HRD 담당자로 근무하며 1,000명 이상의 리더를 대상으로 리더십 개발 프로그램을 설계 · 운영하였다. 또한 사내 코치(KPC, Korea Professional Coach)Assessment Center Assessor로 활동하며 조직 현장에서의 실천적 경험을 축적하였다. 고려대학교에서 교육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주요 연구 분야는 리더십 개발, 여성 리더십, 직무열의(Engagement), 그리고 AI 기반 HRD 혁신이다. 기업 현장의 경험과 학문적 탐구를 융합하여 HRD 분야에서 이론과 실무를 잇는 연구와 저술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목차

 

CHAPTER 01 | 리더와 리더십 7

1. 리더십의 정의 8

2. 리더십에 관한 주요 관점 11

3. 리더와 관리자 22

 

CHAPTER 02 | 리더십 개발: 프로세스 접근법 27

1. 리더십 개발 현황 28

2. 리더십 개발이 실패하는 7가지 이유 34

3. 리더십 개발의 대안적 관점을 위한 세 가지 전제 41

4. 프로세스 기반의 리더십 개발 접근법 50

 

CHAPTER 03 | 리더 개발: 원리와 쟁점 55

1. 리더 개발의 단계 56

2. 리더의 성장: 온보딩과 파이프라인 60

 

CHAPTER 04 | 리더 개발의 방법 I. 훈련 79

1. 리더 개발의 세 가지 접근법 81

2. 리더 훈련(Leader Training) 83

 

CHAPTER 05 | 리더 개발의 방법 II. 개발 활동 107

1. 리더 개발 활동(Leader Developmental Activities) 108

2. 리더 개발을 위한 주요 개발 활동 111

 

CHAPTER 06 | 리더 개발: 생애주기적 접근 141

1. 리더십과 삶의 경험: 두 리더의 사례 143

2. 탁월한 리더의 초기 경험 145

3. 리더 개발의 생애주기적 접근 149

4. 리더 개발 생애주기 관점의 의미 157

 

CHAPTER 07 | 리더 개발: 리더의 정체성 161

1. 정체성: 유동적 자아의 형성 162

2. 리더 정체성과 리더 개발 167

 

CHAPTER 08 | 팔로워와 팔로워십 개발 181

1. 팔로워십: 어제와 오늘 182

2. 팔로워십의 유형 187

3. 효과적인 팔로워의 개발 197

4. 리더팔로워 관계의 변천사 199

 

CHAPTER 09 | 리더십 프로세스 211

1. 왜 리더가 실패하는가? 리더십 탈선(Leadership Derailment) 213

2. 리더팔로워 정체성 형성: 주장하기(Claiming)와 부여하기(Granting) 217

3. 암묵적 리더십/팔로워십 이론(Implicit Leadership 222

Followership Theories)

 

CHAPTER 10 | 리더십 평가 233

1. 리더십, 무엇으로 평가해야 하는가: 리더십 효과성

(Leadership Effectiveness) 235

2. 리더십, 어떻게 평가해야 하는가: 성과와 리더십 역량 평가 238

3. 리더십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리더 집단 전형성 247

(Leadergroup Prototypicality)과 리더 지지(Leader Endorsement)

 

CHAPTER 11 | 요약 및 리더십 개발을 위한 제언 255

1. 리더십 개발 프로세스 모형 256

불법복제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