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닫기
문화정책과 경영
문화정책과 경영
저자
김민주 외
역자
-
분야
행정학 ▷ 행정학일반
출판사
박영사
발행일
2016.08.25
장정
페이지
497P
판형
크라운판
ISBN
979-11-303-0349-9
부가기호
강의자료다운
색도
정가
27,000원
머리말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융합을 이야기하지만 문화정책, 문화행정, 문화경제학, 문화경영은 학문의 융합을 기다리고 있는 또 하나의 중요한 분야이다. 한민족은 유전적으로나 역사적으로 문화민족의 역량과 기질을 타고 났으며 대한민국의 미래에 문화는 즐거움만이 아니라 경제적 혜택도 제공할 수 있는 분야이다. 이 책은 문화정책, 문화행정, 문화경제학, 문화경영 분야를 하나로 엮어서 학문의 융합적 시각에서 문화를 꿰뚫은 책이다. 문화정책, 문화행정, 문화경제학, 문화경영은 예술인이나 문화인이 연구하기에는 사회과학적 전문지식이 필요한 영역이기에 사회과학자인 저자들은 감히 문화를 사회과학적 시각에서 융합하여 문화 분야에서 활동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는 길잡이를 내기로 결심하였다.
융합적 사회과학 시각에 기초해서 문화를 바라보고 이해하는 것은 문화가 결코 사회와 분리될 수 없는 대상이라는 점에서 상당히 현실적인 접근방법이기도 하다. 실재로서 문화는 문화정책의 대상으로 현실 속에서 하나의 산물로 존재하면서 문화행정과 문화경영의 관리 대상이자 문화경제학의 분석 사례가 된다. 그래서 더더욱 정책학, 행정학, 경제학, 경영학은 문화를 이해할 때 함께 어우러져야 할 지적 도구들이자 지적 배경이 된다. 문화를 단순히 예술 영역에만 한정 지어서 이해하면 사회 속에서 실재로서 살아 움직이고 있는 문화를 반쪽만 바라보게 된다.
이제는 문화의 시대라는 말이 구시대적인 구호가 될 만큼 우리 일상에서 문화의 중요성은 자연스럽게 강조되고 있다. 창의력과 상상력과 관찰력에 기여하는 문화를 제대로 이해해야 할 필요성이 바로 여기에 있다. 문화가 일상의 삶 속에 배여서 우리에게 자연스럽지만 큰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 만큼 문화에 대한 반쪽짜리 이해가 아니라 온전한 이해를 해야 한다. 이때 필요한 것은 풍부한 정보와 함의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일정한 틀이다. 여기에 이 책이 기여할 것이라고 감히 예상한다.
이 책은 특히 예술현장에서 일하는 예술인과 예술경영인,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와 같은 정부현장에서 일하는 공직자, 학계의 학자와 전공 대학생 및 대학원생, 연구현장의 연구자, 그리고 교양 목적을 위한 일반 대중들에게 유익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들에게 이 책이 곁에 두고 필요할 때마다 수시로 참고할 수 있는 길잡이가 되었으면 한다.

2016년 8월 25일
저자 김민주, 윤성식

저자소개

김민주(金玟柱)
현재 동양대학교 북서울(동두천)캠퍼스 공공인재학부 교수이다. 그리고 공공인재학부장이다. 고려대학교에서 2012년에 행정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2013년부터 동양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지방공기업학회 총무기획이사와 국민권익위원회 고충민원처리실태 확인조사 심사위원을 역임했다. 저서로는 <평가지배사회>(2016), <행정계량분석론> (2015), <원조예산의 패턴>(2014)이 있다. 최근 논문으로는 “마을자치 사업에서 농촌현장포럼의 넛지 효과 분석”(2016), “공유자산의 자치적 관리 모델에 대한 비판적 검토”(2015), “문화정책의 이론적 논거와 유형”(2015), “정책평가의 방법론으로서 퍼지집합이론의 적용 가능성”(2014), “복지정책담당의 여성적 특성화에 관한 원인 분석”(2014), “한국행정의 ‘전통’ 만들기”(2013) “대북지원NGO 활동의 성장과 정부 재정지원의 상대적 중요도”(2012) 등 그 외 다수가 있다.


윤성식(尹聖植)
현재 고려대학교 행정학과 교수이다. 고려대학교에서 행정학사, 오하이오 주립대학교에서 경제학사, 일리노이대학(어바나 샴페인)에서 회계학석사, 버클리대학에서 경제학 박사, 동국대학교에서 불교학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미국 공인회계사이며, 텍사스대학(오스틴) 경영대학원 교수와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장을 역임했다. 현재 고려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고 국회공직자윤리위원장이다. 최근 저서로는 <부처님의 부자수업>(2015), <정부회계학>(2014), <사막을 건너야 서른이 온다>(2013), <재무행정학>(2012), <불교자본주의>(2011), <정부개혁의 비전과 전략>(2003) 등이 있다.

제1부 서론

제1장 문화의 이해

제2부 문화정책

제2장 국가와 문화정책
제3장 문화정책의 과정과 행위자
제4장 문화재 정책

제3부 문화경제학

제5장 문화경제학
제6장 문화산업
제7장 개별 문화산업

제4부 문화행정학

제8장 조직관리
제9장 인적자원관리
제10장 문화예산과 회계

제5부 문화경영학

제11장 문화경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