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닫기
일자리와 교육리더십[우수학술도서 선정]
일자리와 교육리더십[우수학술도서 선정]
저자
권대봉 외
역자
-
분야
교육학
출판사
박영사
발행일
2014.01.20
장정
페이지
392P
판형
크라운판
ISBN
979-11-303-0048-1
부가기호
강의자료다운
-
색도
정가
25,000원
중판 2017. 8. 30
초판 2014. 1. 20.

필자가 세계은행 컨설턴트로서 개발도상국가들의 정책전문가들을 만나면, 그들은 이구동성으로 자국이 2차 세계대전 직후에는 대한민국보다 잘 살았었다는 말을 한다. 그리고 대한민국이 어떻게 최빈국가에서 경제대국으로 성장할 수 있었으며, 원조를 받던 나라에서 원조를 주는 나라로 탈바꿈할 수 있었는지 그 원동력에 대한 설명을 요구한다.
“교육의 힘이다. 그리고 대한민국 국가지도자들의 리더십과 국민들의 팔로워십이 잘 결합한 덕분이다. 구체적으로 수많은 한국인들이 일터에서 흘린 땀의 결실이다. 나 역시 1979년부터 1981년까지 2년간 중동 해외건설현장에서 새벽부터 밤까지 일했다”고 설명했다. 그들은 그렇게 열심히 일했던 한국인들을 이해하기 어렵다고 고개를 갸우뚱한다.
필자가 일했던 회사의 사훈이 “일하자, 더욱 일하자, 한없이 일하자, 조국과 민족을 위하여”라는 말도 해 주었다. 1970년대 초에 대학생이었던 필자의 세대에게 기성세대들은 “조국과 민족을 위하여” 공부하라고 요구했다. 그래서인지 필자의 뇌리에는 아직도 “조국과 민족을 위하여”라는 말이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세상이 변했다. 지금의 기성세대들은 젊은이들에게 글로벌 무대에서 인정받는 전문가가 되기 위하여 일하라고 요구한다. 따라서 젊은이들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일자리가 필요하다. 일자리는 자아실현을 위해서도 필요하지만, 인간안보의 첫걸음이기도 하며, 국가와 인류사회 발전에 공헌할 수 있는 기회의 마당이기도 한 것이다.
논어(論語)의 자로(子路)편에 “서(庶)·부(富)·교(敎)”라는 대목이 있다. 서(庶)란 인구를 많이 늘리는 일, 부(富)란 백성을 부유하게 만드는 일, 교(敎)란 교육을 잘 하는 일로 국정최고책임자의 책무이다.

2013년 현재 [e-나라지수]에 의하면, 한국의 합계출산율이 1.30명이고 청년고용률이 40.4%인 오늘날의 상황에도 2,500여 년의 시간을 뛰어넘어 “서(庶)·부(富)·교(敎)”는 현존하는 책무이고, 이는 휴먼웨어 개발을 통해 이룰 수 있다. 휴먼웨어를 개발해야 양질의 일자리가 있고, 양질의 일자리가 있어야 청년들은 결혼을 할 수 있고, 청년들이 결혼을 해야 인구를 늘릴 수 있기 때문이다. 좋은 일자리가 있어야 부유해지며, 좋은 교육을 잘 받아야 인간답게 살 수 있다.
인구의 양뿐만 아니라 인구의 질도 중요하다. 성·가정·학교 폭력은 바른 인간관·가정관·사회관이 정립되어야 예방이 가능하며, 불량식품과 탈세는 바른직업관·국가관·세계관 정립 없이는 근절하기 어렵다.
교육은 학교에서뿐만 아니라 가정과 기업에서도 이루어지고 있다. 교육을 통해 길러야 할 가치관은 인간관·가정관·사회관·직업관·국가관·세계관 등 6관(觀)이다.

글로벌시대의 고용가능성과 고용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6관 형성이 필수적이다. 바른 6관을 형성하려면 교육이 지육(智育)에만 머무르지 않고, 인간의 존엄성을 지키는 덕육(德育), 심신을 연마하는 체육(體育), 음악과 미술로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미육(美育), 올바른 섭생을 위한 식육(食育)을 포함한 ‘5育’이 절실하다.

국가발전과 국민행복을 이끄는 수레의 두 바퀴는 일자리와 교육리더십이다. 이 책은 일자리를 찾는 청년, 일터에서 일하는 기업인, 그리고 100세 시대의 남녀 성인과 노인을 위한 일자리와 교육리더십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 하는 정책전문가와 현장전문가들이 읽으면 도움이 되는 글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책은 현대적인 서(庶)·부(富)·교(敎)를 구현할 수 있도록 교육리더십을 통해 도와주기 위해 제1부는 일자리와 청년 교육리더십, 제2부는 일자리와 기업인 교육리더십, 제3부는 일자리와 성인·노인 교육리더십으로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책이 세상에 나오도록 도와준 박영사 관계자들에게 심심한 사의를 표한다.

2014년 1월
저자를 대표하여 日岡 권 대 봉
공저자 약력

대표저자 권대봉
고려대 교육학과(학사)/해외건설현장근무/미시간주립대 대학원(석, 박사)
고려대 교육대학원장/한국인력개발학회장/한국평생교육학회장/한국직업능력개발원장
(현)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 겸 세계은행(IBRD) 컨설턴트

강석주
공주사대 교육학과(학사)/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석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박사)
(현) 제주 한림고등학교 교사

권양이
고려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박사)
(현) 홍익대학교 교육학과 초빙교수

김영석
고려대학교 교육학과(학사)/고려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석사)/
University of Georgia Department of Lifelong Education, Administration & Policy(박사)
(현) 동의대학교 인문대학 평생교육·청소년상담학과 조교수

김재현
고려대학교 통계학과(학사)/고려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석, 박사)
(현) 고려대학교 연구교수/경산1대학교 초빙교수/아주대학교 겸임교수

김 환 식
고려대학교 행정학과(학사)/고려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박사)/교육부 직업교육지원과장
(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사무국장

노경란
고려대학교 교육학과(학사)/일본 교토교육대학 대학원 교육학과(석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박사)
(현) 성신여자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박소연
고려대학교 교육학과(학사)/고려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석, 박사)/ 광주대학교 교수
(현) 안양대학교 교양대학 교수

박용호
고려대학교 교육학과(학사)/고려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석사)/펜실베이니아주립대(박사)
(현) 인천대학교 창의인재개발학과 교수

박지혜
서울대학교 교육학과(학사)/고려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석사)/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Department of Human Resource Education(박사)
(현) 국민대학교 문과대학 교육학과 교수

박혜영
고려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석, 박사)/동양대학교 교수
(현) 호서대학교 교수

신범석
고려대학교 교육학과(학사)/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석사)/고려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박사)
(현) (주)입소 대표이사

유대원
고려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박사)/미국 MIT 경영대학원 학습조직 과정 수료
(현) 한국산업교육협회 회장/(주) 한국센터링 대표 컨설턴트

이성엽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기업교육(석사)/고려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박사)
(현)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

이정의
고려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석,박사)/
보스톤대학 The Sloan Center on Aging and Work, Research Associate/경기도 가족여성연구원 연구위원
(현)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전문원

이진구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학사)/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기업교육(석사)/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대학원(박사)
(현)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교수

조대연
서울교육대학교(학사)/고려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석사)/미국 오하이오주립대(박사)/
숙명여자대학교 교수
(현)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허선주
고려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석, 박사)
(현) 영동대학교 중등특수교육과 교수

현영섭
고려대학교 교육학과(학사)/고려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석, 박사)
(현)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
Part1 일자리와 청년 교육리더십
Chapter 01 일자리 복지를 위한 새로운 교육시스템과사회시스템
Chapter 02 단위학교 진로교육 리더십
Chapter 03 고교단계 직업교육 리더십
Chapter 04 대학생 리더십 교육
Chapter 05 대학교육 서비스와 고용가능성

Part2 일자리와 기업인 교육리더십
Chapter 06 일자리와 21세기 경력개발 이슈
Chapter 07 휴먼웨어의 전수와 직무교육적 가치
Chapter 08 유비쿼터스 시대의 휴먼웨어의 무형식 학습
Chapter 09 수행공학을 활용한 기업교육
Chapter 10 서비스교육
Chapter 11 인적자원개발 활동의 평가모형

Part3 일자리와 성인·노인 교육리더십
Chapter 12 성인학습이론의 변화 트렌드
Chapter 13 성인의 셀프리더십
Chapter 14 100세 시대의 인생3모작을 위한 베이비부머은퇴세대 지원 체계
Chapter 15 중고령 여성의 일자리와 취업의식
Chapter 16 모든 이를 위한 노인교육 리더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