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닫기
중국의 경쟁 다이나믹스[우수학술도서 선정]
중국의 경쟁 다이나믹스[우수학술도서 선정]
저자
장세진
역자
-
분야
경영학 ▷ 경영학일반
출판사
박영사
발행일
2013.11.22
장정
페이지
310P
판형
변크라운판
ISBN
979-11-303-0036-8
부가기호
강의자료다운
-
색도
정가
23,000원

초판 2013. 11. 22.


중국은 모든 사람에게 각자 다른 것을 의미할지 모른다. 어떤 사람은 중국을 13억 인구로 이해하며, 다른 사람은 중국의 넓은 영토에 주목한다. 중국은 가장 오래된 문명지이기도 하고 뛰어난 문화와 예술유산을 갖고 있다. 다른 사람은 정치에 주목할지도 모른다. 중국은 아직도 공산당이 실제적으로 지배하는 얼마 되지 않은 나라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중국을 여행한 사람은 중국의 자본주의적 속성에 놀란 경험이 있을 것이다. 정부관리는 사업가처럼 사고하고 행동하며, 기업에는 자본주의적인 인센티브제도가 작동하고 있다. 공산당이 지배하는 중국은 역설적으로 2008년 글로벌경제위기로부터 전세계 자본주의를 수호하는 역할을 하였다. 중국에 대한 위의 시각들은 나름대로 다 의미가 있다. 중국은 너무 넓고 다양하기 때문에 어떠한 시각이라도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경영학자인 저자에게 중국은 다국적기업과 중국현지기업간의 치열한 경쟁 다이나믹스를 연구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해준다. 한국도 일본의 경제발전모델을 따라 수출주도형 경제성장을 이루었으나, 중국의 경제성장은 속도와 규모 면에서 한국과 일본을 능가하고 있다. 중국이 개혁 및 개방정책을 채택한 1978년 당시에는 낙후된 기술과 미숙련노동자들로 가득 찬 비효율적인 국영기업들이 중국을 지배하고 있었다. 그러나, 다국적기업들이 합작투자형식으로만 중국에 진출하도록 규제하면서, 중국정부는 점차적으로 국내산업을 구조조정하고 중국현지기업들이 경쟁력을 갖출 시간을 벌었다. 본서가 출간되는 현재, 이미 수많은 강력한 중국현지기업들이 등장하여 여러 산업에서 다국적기업들을 위협하고 있다. 중국은 이와 같이 중국현지기업들이 어떻게 부상하고 다국적기업들이 이런 경쟁압력에 어떻게 대응하는지를 살펴볼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해준다.

이렇게 중국현지기업들이 부상함에 따라, 이에 충분한 대비를 하지 않은 다국적기업들은 중국시장에서 퇴출되는 위협에 직면하게 되었다. 중국현지기업들은 낮은 비용과 뛰어난 유연성, 방대한 유통망과 정부보호로 시장점유율을 늘렸다. 그 결과, 기술과 브랜드가 뛰어남에도 불구하고 이미 많은 다국적기업들이 경쟁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퇴출되었다. 중국시장에서 이들 중국현지기업들과 경쟁하는 것은 더 나아가 세계시장에서 경쟁하는 것이다. 마치 올림픽 게임처럼 전세계 최고의 기업들이 중국에서 경쟁하므로, 중국시장에서의 경쟁은 전세계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서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다. 따라서, 중국시장에서의 경쟁 다이나믹스를 이해하는 것은 향후 기업의 성장과 수익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본서는 이와 같이 중국시장을 대상으로 글로벌경쟁의 성격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서는 성공적인 다국적기업들이 어떻게 중국사업을 확장하였고, 성공적인 중국현지기업들이 어떻게 구조조정과정을 통해 부상하여 다국적기업에 도전하였는가를 살펴본다. 중국에서의 치열한 경쟁현황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일화가 존재하나, 이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는 부족하였다. 경제학자들은 정부정책과 같은 거시경제적인 측면에 집중하는 것에 비해, 경영학자들은 사례연구에 집중하여 논의의 일반화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본서는 저자가 지난 10년 동안 중국의 현지기업과 다국적기업에 대해 수행한 연구를 집대성한 것이다. 저자는 중국 통계청의 1998년부터 2009년까지의 연간 산업실태조사 자료를 토대로 중국에 있는 40만개의 기업들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였고, 또한 주요 산업과 기업에 대한 인터뷰를 통한 필드연구를 통해 중국의 경쟁현황을 잘 이해하게 되었다. 중국이 두 자릿수의 경제성장을 계속하였으므로, 중국에서의 12년은 다른 나라의 30~40년과 같이 큰 변화가 생기는 시기였다. 본서는 각 장마다 승용차, 소비재, 통신, 맥주, 철강 산업과 같은 사례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고, 저자가 학술지에 출간한 실증분석결과를 부록에 수록하여, 상호대조가 가능하게 하였다.

저자가 이 주제에 대해 지난 10년간 연구를 하는 동안, 여러 학자와 기업실무진으로부터 많은 도움을 받았다. 이 자리를 빌어, 중국의 경쟁 다이나믹스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신 여러분께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특히, 본 주제에 대해 연구를 하면서 학술지에 공동집필한 동료교수들에게 감사를 들인다. 그 중, 일부 실증결과는 학술지에서 허락을 받고 본서에 인용되었다. 본 연구는 학술진흥재단의 우수학자 연구비지원(KRF-342-2007-1-B00016)에 의해 지원을 받았고, 싱가포르대학의 연구비 지원도 이 자리를 빌어 감사드린다. 본 연구를 위해 재키 얀 젱, 레아 셍 얀, 캐티 브라운이 연구보조를 하였고, 김민아가 한글판 초벌번역을 도와주었고, 초수봉 교수가 중국어 표기를 검토해주었다. 또한 영문원서를 출간하는 데 도움을 준 Oxford University Press의 데이비드 머슨 편집장과 엠마 부스 편집자과 한글번역판을 출간하는 작업을 맡은 박영사의 전채린 편집자에게 감사의 말씀을 전한다.


저자

저자 : 장세진

저자약력
장세진(張世進)은 KAIST 경영대학 교수로 싱가포르 국립대학의 프로보스트 석좌교수를 겸직하고 있다. 과거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의 금호아시아나 석좌교수와 뉴욕대학교 스턴경영대학의 교수로 재직한 바 있고, Stanford Business School, Wharton School, INSEAD, London Business School, 히도쯔바시대학에서 방문교수를 역임하였다. 2007년에는 학술진흥재단이 선정한 인문사회부문 국가석학으로 선정되었다. 장세진 교수의 영문저서로 Sony vs. Samsung: The Inside Story of the Electronics’ Giants Battle for Global Supremacy (Wiley, 2008)는 삼성전자와 소니의 전략을 비교하여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 태국어, 베트남어 등으로 번역되었고, 외환위기 이후 한국과 아시아의 기업집단의 구조조정에 대한 저서, Financial Crisis and Transformation of Korean Business Group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과 Business Groups in East Asia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등이 있다. 그 밖에 박영사에서 “경영전략,” “글로벌경영,” “M&A의 경영전략”을 출간하였다.
01 서  론
다국적기업들에 대한 중국정부의 정책
외국인직접투자의 동향
본서의 구성

02 다국적기업의 진입전략
사례 연구: 자동차 산업
진입방식과 입지선정에 대한 의사결정
진입 후 전략

03 중국현지경쟁자들의 등장
소비재 산업: 사례연구
구조조정과정
민영화와 경영성과
생산성 높은 신규진입기업
다국적기업에서 중국현지기업으로의 기술이전효과

04 다국적기업과 중국현지기업간의 경쟁
통신 산업: 사례연구
산업 경쟁다이나믹스
중국에서의 지적재산권 보호
경쟁의 승자들

05 다국적기업의 경영성과
맥주 산업: 사례연구
이전효과, 경쟁효과 그리고 기업의 생존으로 본 경영성과
다국적기업의 수익률과 소득이전효과

06 미래를 위한 경쟁
68철강 산업: 사례연구
국가통제의 감소와 향후의 민영화 방향
경쟁과 산업합리화통합
중국기업의 해외직접투자와 글로벌경쟁의 가속화

부록 01 연간 산업실태조사 및 소유권으로 본 기업들의 정의
부록 02 진입방식결정
부록 03 입지결정
부록 04 합작투자기업에서 독자소유 자회사로의 전환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부록 05 민영화 기업들의 경영성과
부록 06 기업생산성 측정방법
부록 07 다국적기업 시장점유율의 결정요인
부록 08 다국적기업과 현지기업의 생존 분석
부록 09 다국적기업과 현지기업의 수익성 분석
부록 10 중국에서의 소득이전

Notes
References
Ind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