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정치학과 졸
미국 러트거스(Rutgers)대 정치철학 박사
미국 러트거스대, 데이비스 엘킨스대, 머리대 강의
미국 하버드(Harvard)대 연구교수
서강대 교수, 조선대 교수, 서울대 · 고대 · 연대 · 한양대 · 외대 강사
독일 베를린 자유대학(Freie Universitat Berlin) 연구교수
러시아 철학연구소 노연구원
러시아 상트 페터스부르크대학 명예철학박사
러시아 인문과학원 원사
중국 사회과학원(北京) 명예교수
중국 요녕성 사회과학원(沈陽) 特邀연구원
저 서
국가이론과 분단한국(한울, 1985) 공저
분단의 우상(사계절, 1991)
사회주의의 제 문제(나남, 1991)
자본제시대의 사상(창비, 1991)
논 문
사유재산과 자유의 역사에서 본 시원인: 루소와 마르크스 . 엥겔스 연구
(학위논문: 1978. 5. 25)
“레닌과 농업문제” 미정치학회(1979)
“사상가 레닌” 국제정치학회(모스크바, 1979)
서문을 대신하여 1
제1장마키아벨리
제1절마키아벨리의 생애와 저작 20
제2절마키아벨리의 문제의식 27
제3절마키아벨리의 사상분석 35
1.진정한 것보다는 보이는 것이 중요하다 35
2.속물적인 대중의 보수성 39
3.정치의 영역은 사랑, 그러나 그보다도 두려움으로 실현된다 43
4.마키아벨리의 ‘공화국’ 49
5.fortuna와 virtù 65
6.종교와 도덕에 관하여 71
제2장마키아벨리 이후의 사상
제1절루터와 칼뱅: 종교개혁운동의 창시자들 85
제2절폭군정벌론 93
1.위그노들의 폭군정벌론 94
2.les Ligueurs 100
3.les Politiques 107
제3절Jean Bodin 111
1.생애와 저작 111
2.보댕 「국가론」의 의의 114
3.가족과 온정국가 118
4.보댕의 주권이론 123
제3장고대유물론의 부활과 경험철학
제1절대륙의 유물론적 철학: 갈릴레이, 데카르트, 가상디 129
제2절Francis Bacon 137
제3절유토피아와 초기공상주의 140
제4장Thomas Hobbes
제1절홉스의 생애와 저작 160
제2절홉스의 방법론 166
1.홉스철학의 전체적 조망 166
2.홉스의 유물론: 물질과 운동 173
3.정념과 이의 운동 180
제3절홉스의 국가이론 186
1.“자연상태”의 이론 186
2.홉스의 “자연법” 192
3.그의 “소유권”에 관하여 199
4.홉스의 주권이론 205
제5장John Locke
제1절Hooker vs. Filmer 215
제2절잊혀진 대안: 제라드 윈스탄리와 기독공산제 225
1.서 론 225
2.경작파운동의 구상들 229
3.공동보존의 평화사상 235
4.예속화와 자유 240
5.기독공산제의 반‘진보’적 성격 243
제3절로크의 생애와 저작 245
제4절로크의 정치이론 250
1.그의 인식론과 정치이론의 병렬성 250
2.그의 자연상태관 257
3.그의 사회계약관념 262
4.정부의 해체와 저항권 267
제5절로크의 소유권이론 271
제6절로크의 부르주아계급지배론 290
1.자연상태의 논리적 구성과 경제적 전개 291
2.사회계약의 본질과 시민사회의 정치적 주체 297
제6장계몽의 세기와 les Philosophes
제1절계몽사상의 선구자: Voltaire와 Montesquieu 303
제2절계몽사상의 계승: Condillac과 Helvétius 322
제3절초기 공상적 사회주의 336
1.장 메슬리에 336
2.모 렐 리 345
3.마 블 리 353
제7장장 자크 루소
제1절루소의 생애와 저작들 363
제2절루소의 역사인식 373
제3절자연인과 사회인 384
제4절이행전략: ‘입법가’와 사회계약 396
제5절루소의 이상사회관 407
제8장프랑스 유물론의 발전
제1절La Mettrie 417
1.라메트리의 생애와 저작 417
2.라메트리의 유물론적 사상 423
제2절디 드 로 439
제3절돌바하 남작 450
제9장프랑스 대혁명 이후의 사회주의 사상
제1절바뷰프와 전투적 공산주의 466
제2절생시몽과 오웬 477
1.생 시 몽 477
2.오 웬 482
제3절샤를 푸리에 487
1.정념의 사상가 Fourier 489
2.사회의 단계와 문명의 위치 496
제4절신바뷰비즘 505
제10장게오르크 헤겔
제1절칸트에서 헤겔까지 511
1.이마누엘 칸트 511
2.칸트에서 헤겔까지 516
3.헤겔의 생애와 저작 519
제2절헤겔의 「논리학」 523
제3절헤겔의 자연철학 536
1.자연에 대한 관념론적 접근 536
2.개념과 자연 538
3.자연과학의 변증법적 적용 546
제4절정신의 현상학 560
제5절국가와 세계사: 헤겔 「법철학」과 「역사철학」 577
1.헤겔의 국가이론 578
2.헤겔의 역사이론 589
제6절헤겔의 「철학사강좌」 600
1.고대철학 601
2.현대철학 613
제11장마르크스와 엥겔스
제1절그들의 생애와 저작들 623
제2절마르크스의 초기저작 630
제3절마르크스․엥겔스의 철학: 유물사관과 유물변증법 640
1.유물사관 642
2.유물변증법 648
제4절자본제사회의 경제분석 656
제5절유물사관의 확대: 인류의 전사 675
1.L.H.Morgan의 「고대사회」에 나타난 연구의 요약 676
2.엥겔스의 「가족, 사유재산 국가의 기원」 683
제6절유물변증법의 심화: 엥겔스의 「자연의 변증법」 688
찾아보기 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