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닫기
아동과 청소년의 이상심리학 [2007년 우수학술도서]
아동과 청소년의 이상심리학 [2007년 우수학술도서]
저자
김경희
역자
-
분야
심리학
출판사
박영사
발행일
2007.01.20
장정
페이지
364P
판형
크라운판
ISBN
89-7189-486-5
부가기호
강의자료다운
-
색도
정가
18,000원
중판 2011. 2. 10.
초판 2007. 1. 20.



저자는 ‘한국심리학사’에 심리학 초창기에 외국에서 훈련받은 학자라고 소개된 바 있다. 저자의 첫번째 저서였던 아동심리학(1986)이 그 당시 우리 나라 최초의 저서(번역서가 아닌)였던 것과 마찬가지로, 이번 저서도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쓰여진 국내 최초의 이상심리학 저서이다.
아동,청소년 이상심리학은 저자가 정년을 한 학기 앞두고 46년 동안 임상심리학자로 훈련받았고 또 발달심리학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해 온 심리학자로서의 경력을 마무리한 책이다.
본 저서의 내용은 Nissen(2002)의 “Seelische Störungen bei Kindern und Jugendlichen(아동과 청소년의 정신장애)”와 Dumas와 Nilsen(2003)의 “Abnormal Child and Adolescent Psychology,” 그리고 Hansell과 Damour(2005)의 “Abnormal Psychology”를 기초로 하여 본 저자 방식대로 체제를 구축했다.
본 저서는 연구년인 2003년에 수집해 놓은 자료들을 토대로 2004년 9월부터 착수하여 2006년까지 3년여에 걸쳐 완성되었으며, 참고문헌은 2005년까지 잡았다.
본 저서는 4부, 13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선 서론에서는 이상발달의 정의와 역사적 개관을, 2장에서는 이상심리학의 제이론들을 개관했다. 제1부는 ‘정서적 차원’으로 명명하여, 3장 불안장애, 4장 우울증, 5장 연극성 장애를, 제2부는 ‘성격적 차원’으로 이름하여, 6장 사회성 발달장애와 사회성 행동장애, 7장 자폐증과 아스퍼르거 장애, 8장 아동기-발병 정신분열증을, 제3부는 ‘인지적 차원’이라 명명하여, 9장 정신지체, 10장 학습장애, 11장 주의력 결핍 과활동 장애를, 그리고 제4부는 ‘생리적 차원’으로 명명하여, 12장 섭식장애, 13장 배설장애를 포함시켜 다루었다.
본 저서는 기존의 번역서나 저서들이 미국 일변도인 것에 비해서 본 저자가 독일에서 수학하고 연구했던 배경에 기초하여, 첫째 정신장애의 역사가 독일 학자들에 기초하고 있어서 내용 중 ‘역사적 개관’에서는 다른 저서에서 볼 수 없었던 정보를 기술하였고, 둘째 장애의 진단 측면에서 미국과 독일의 경향을 자세하게 제시하였으며, 셋째 미국 저서들과는 달리, Kraepelin 이후 독일에서 아직도 아동과 청소년의 중요한 정신 장애로 분류되고 있고 과거에는 ‘히스테리 신경증’이라고 명명되었던 ‘연극성장애’를 첨가하였으며, 넷째 미국 저서들과는 달리, 정신장애의 명칭 중 한 가지를 발달심리학적 입장과 맥락을 같이하는 독일 정신의학자들의 명칭에 따라 ‘품행장애’ 대신 ‘사회성 발달장애’와 ‘사회성 행동장애’로 명명하였으며, 다섯째 저자가 독자적으로 11개의 정신장애를 ‘정서적 차원’, ‘성격적 차원’, ‘인지적 차원’, ‘생리적 차원’으로 분류하였다. 이 다섯 가지가 본 저서가 다른 저서나 번역서와 차별화되는 점이다.
그러나 우리 나라에서는 아동과 청소년의 정신장애에 대한 일반적 정보뿐 아니라 특히 역학조사가 미국이나 유럽에서와 같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했기 때문에, 우리 나라의 현황을 다룰 수 없었던 것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이 책은 이상심리학을 연구하는 심리학도뿐만 아니라 인접 과학 분야의 전공자들, 그리고 아동과 청소년에 관심을 가진 교사 및 부모들에게 지침서가 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면을 통해서 용어 정리에 도움말을 주신 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의 방희정 교수와 충북대학교 심리학과의 김혜리 교수께 깊은 감사를 드린다. 그리고 원고 및 자료 정리를 해 준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의 안정연 양, 석사과정의 허민정 양과 우소연 양, 그리고 학과 사무실의 오영주 양의 노고에도 고마움을 전한다.
끝으로 이 책의 출판을 기꺼이 허락해 주신 박영사의 안종만 회장님과 집필할 수 있도록 고무해 주신 황인욱 전무님, 그리고 책이 완성되는데 아낌없는 수고를 해 주신 편집부 나경선 과장과 편집부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한다.
2007. 1
삼성관 연구실에서
김 경 희
저자약력
고려대학교와 동 대학원 심리학과 졸업
독일 튀빙겐 대학교 심리학 박사(Ph. D.)
독일 자르 브뤼켄 대학교(1976), 아우그스부르크 대학교(1981) 및 튀빙겐 대학교(1985, 1995)
심리학과 초빙 교수 역임
현재 연세대학교 아동학과 교수
저서: 심리학 개설(공저, 고려대학교 출판사, 1974)
아동 정신병리학(학문사, 1982)
성격(민음사, 1988)
우리아이 왜 이럴까(동아출판사, 1990)
정서란 무엇인가(민음사, 1995)
발달심리학(학문사, 1999)
게슈탈트 심리학(학지사, 2000)
아동심리학(개정판, 박영사, 2003)
정서심리학(박영사, 2004) 외 다수
역서: 아기의 처음 365일 외
논문: Zeitbegriff und Zeitperspektive bei Kindern im Alter von 4 bis 8 Jahren(1971, 박사논문)
한국 청년의 정서에 관한 심리학적 연구(1996)
한국 아동의 정서에 관한 심리학적 연구(1997)
한국 아동과 청소년의 도덕적 정서-죄책감을 중심으로(2002)
한국과 독일대학생의 도덕적 정서에 관한 개념화 연구(2004)
일반청소년과 비행청소년의 도덕적 정서(2006) 외 20여 편
1. 서론: 중요 개념들1.1 이상발달의 정의   1
1.1.1 과잉 또는 부족 1
1.1.2 규범을 어기는 것 2
1.1.3 발달의 부적절성 2
1.1.4 부 적 응 2
1.2 역사적 개관   2
1.3 이상발달의 문제점   4
1.3.1 증 후 4
1.3.2 역 학 4
1.3.3 병 인 론 5
1.3.4 치료와 예방 5
1.4 정상과 이상발달   5
1.5 분류와 진단   7
1.5.1 분 류 7
1.5.2 진 단 10
1.6 경증 장애   11
1.6.1 엄지손가락 빨기 12
1.6.2 손톱 깨물기 13
1.6.3 머리털 잡아뽑기(Trichotillomania) 15
1.6.4 언어장애 17
1.6.5 수면장애 18



2. 이상심리학의 이론들: 이상심리란 무엇인가?2.1 정신분석 이론   20
2.1.1 현대정신분석 이론 22
2.1.2 정신역동적 치료 24
2.2 인본주의-실존주의 이론   25
2.2.1 인본주의 치료 25
2.2.2 실존주의 치료 26
2.3 행동주의 이론   27
2.3.1 고전적 조건형성 27
2.3.2 조작적 조건형성 29
2.3.3 모델링 또는 사회학습 30
2.3.4 행동 치료 30
2.4 인지이론   32
2.4.1 인지적 치료 34
2.5 사회문화적-가족체계 이론   34
2.5.1 사회문화적 접근 35
2.5.2 가족체계 이론 38
2.6 생물학적 이론   39
2.6.1 중추신경계(central nervous system, CNS) 39
2.6.2 내분비 체계(Endocrine system) 41
2.6.3 유 전 41
2.6.4 생리학적 치료 43
3. 불안장애제1부 정서적 차원
3.1 정상적 공포와 걱정의 발달   49
3.2 역사적 개관   50
3.2.1 프로이트와 정신분석이론 50
3.2.2 왓슨의 행동주의 51
3.2.3 보울비와 애착이론 52
3.3 증후 및 진단   52
3.3.1 분리불안 장애 53
3.3.2 특수 공포증 57
3.3.3 사회공포증 59
3.3.4 강박장애 63
3.3.5 공황장애 67
3.3.6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70
3.3.7 과불안 장애(일반화된 불안장애) 74
3.4 역 학   77
3.4.1 성 차 77
3.4.2 사회․문화적 차이 79
3.4.3 연 령 차 80
3.5 병 인 론   80
3.5.1 생물학적 요인 80
3.5.2 심리 사회적 요인 82
3.6 치 료   84
3.6.1 약물치료 84
3.6.2 인지-행동치료 85
4. 우 울 증3.6.3 가족치료 89
4.1 역사적 개관   91
4.2 증후 및 진단   92
4.3 역 학   101
4.3.1 일반적인 유병률 101
4.4 병 인 론   103
4.4.1 생물학적 요인 104
4.4.2 심리적 요인 106
4.4.3 가족요인 110
4.5 치료와 예방   112
4.5.1 치 료 112
5. 연극성 장애4.5.2 예 방 115
5.1 역사적 개관   116
5.2 증후 및 진단   118
5.3 유 병 률   124
5.4 병 인 론   124
5.4.1 행동이론 125
5.4.2 정신역동적 요인 125
5.4.3 부모의 양육방식 126
5.4.4 신경생물학적 요인 126
5.5 치료와 예방   127
5.5.1 치 료 127
5.5.2 예 방 128
6. 사회성 발달장애와 사회성 행동장애(품행장애)제2부 성격적 차원
6.1 역사적 개관   132
6.2 증후 및 진단    133
6.2.1 사회성 발달장애(반항성 장애) 133
6.2.2 사회성 행동장애(품행장애 또는 청소년 비행) 135
6.3 역 학   141
6.3.1 연령 및 성차 141
6.3.2 사회․문화적 차이 142
6.4 병 인 론   142
6.4.1 생물학적 요인 143
6.4.2 심리적․가족 요인 145
6.4.3 사회․문화적 요인 146
6.5 치료와 예방   147
6.5.1 치 료 147
7. 자폐증과 아스퍼르거 장애6.5.2 예 방 150
7.1 자 폐 증   151
7.1.1 역사적 개관 151
7.1.2 증후 및 진단 154
7.1.3 역 학 162
7.1.4 병 인 론 163
7.2 아스퍼르거 장애   168
7.2.1 역사적 개관 168
7.2.2 증후 및 진단 168
7.2.3 역 학 171
7.2.4 병 인 론 172
8. 아동기-발병 정신분열증7.2.5 치료와 예방 172
8.1 역사적 개관   177
8.2 증후 및 진단   178
8.2.1 DSM-Ⅳ-TR 분류 178
8.2.2 임상적 분류 180
8.3 역 학   182
8.3.1 연령 및 성차 182
8.3.2 사회․문화적 차이 184
8.4 병 인 론   184
8.4.1 생물학적 요인 184
8.4.2 임신 및 출생중 합병증 186
8.4.3 가족․문화요인 186
8.5 치료와 예방   187
8.5.1 치 료 187
8.5.2 예 방 189
9. 정신지체제3부 인지적 차원
9.1 역사적 개관   193
9.2 증후 및 진단   197
9.2.1 적응적 기능 197
9.2.2 진단과 발달의 고려점 200
9.2.3 의학적․심리학적 증후 201
9.3 역 학   202
9.3.1 연령 및 성차 203
9.3.2 사회․문화적 차이 203
9.4 병 인 론   204
9.4.1 생물학적 요인 204
9.4.2 출생시 손상요인 210
9.4.3 출생 후 손상요인 211
9.4.4 가족, 사회․문화적 요인 212
9.5 치 료   213
9.5.1 약물치료 213
9.5.2 행동수정 213
9.5.3 심리치료 214
10. 학습장애9.5.4 교 육 215
10.1 역사적 개관   219
10.2 증후 및 진단   222
10.3 역 학   224
10.3.1 유 병 률 224
10.3.2 발병연령 225
10.3.3 성 차 225
10.3.4 사회․문화적 차이 225
10.3.5 예 후 226
10.4 병 인 론   226
10.4.1 생물학적 요인 227
10.4.2 사회․문화적 요인 228
10.4.3 교수법과 교수자료 228
10.4.4 사회적․문화적 기대 228
10.5 치료와 예방   229
10.5.1 치 료 229
11. 주의력 결핍 과활동 장애10.5.2 예 방 230
11.1 역사적 개관   233
11.2 증후 및 진단   234
11.2.1 부 주 의 234
11.2.2 과활동과 충동성(탈억제) 235
11.2.3 관련된 인지적 손상들 235
11.2.4 ADHD 아동의 부주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236
11.2.5 실행 기능 곤란 237
11.2.6 진단에 유의할 점 239
11.2.7 합 병 증 240
11.2.8 일반적 적응문제 241
11.3 역 학   241
11.3.1 연령차와 성차 241
11.3.2 사회․문화적 차이 242
11.4 병 인 론   242
11.4.1 생물학적 요인 243
11.4.2 가족, 사회․문화적 요인 247
11.5 치료 및 예방   248
11.5.1 치 료 248
11.5.2 예 방 252
12. 섭식장애제4부 생리적 차원
12.1 역사적 개관   256
12.2 증후 및 진단   257
12.2.1 신경성 식욕부진증 258
12.2.2 신경성 폭식증 260
12.2.3 폭식형 섭식장애 262
12.3 역 학   264
12.3.1 연령 및 성차 264
12.3.2 사회․문화적 차이 265
12.4 병 인 론   266
12.4.1 생물학적 요인 266
12.4.2 심리적 요인 267
12.4.3 사회․문화적 요인 269
12.5 치료와 예방   269
12.5.1 치 료 270
13. 배설장애12.5.2 예 방 273
13.1 역사적 개관   275
13.2 증후 및 진단   276
13.2.1 유뇨증(enuresis) 276
13.2.2 유분증(encopresis) 278
13.3 역 학   279
13.3.1 유 뇨 증 279
13.3.2 유 분 증 280
13.4 병 인 론   281
13.4.1 생물학적 요인 281
13.4.2 심리 사회적 요인 283
13.5 치료와 예방   285
13.5.1 치 료 285
13.5.2 예 방 287

참고문헌   289
인명색인   343
사항색인   3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