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닫기
한국의 외환위기(제3판)[우수학술도서 선정]
개정판
한국의 외환위기(제3판)[우수학술도서 선정]
저자
이규성
역자
-
분야
경제학 ▷ 미시/거시/국제경제
출판사
박영사
발행일
2015.12.30
장정
페이지
1129P
판형
크라운판
ISBN
979-11-303-0106-8
부가기호
강의자료다운
-
색도
정가
45,000원

제3판 2015. 12. 30
중판 2007. 2. 10.
초판 2006. 10. 30.

제3판을 내면서
지난 6~7월 그리스 디폴트(default)사태 이후 새삼 이 책에 대한 관심이 떠올랐는데도 시중에서는 절판되었기에 구할 수 없다는 이야기가 들려서 이번에 제3판을 내게 되었다.

차제에 제2판 때 미처 수정하지 못한 오‧탈자와 불분명한 표현들을 추가로 바로잡았고 또 본문에서 너무 떨어져 편집된 표(table)들은 가급적 읽는 데 편리하도록 위치를 조정하였다.


2015. 11. 1.
저자 씀

이 규 성
대전고등학교 졸업(1958)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경제학과 졸업(1963)
제12회 고등고시 행정과 합격(1960)
재무부 세관국 사무관(1963. 9~1969. 3)
재무부 법무관, 수출과·관세조정과·외화자금과 과장(1969. 3~1973. 8)
주제네바대표부 재무관(1973. 8~1975. 2)
재무부 금융제도 심의관(1975. 2~1976. 2)
대통령비서실 재경담당비서관(1976. 2~1978. 6)
재무부 국제금융국 국장(1978. 6~1980. 5)
재무부 재정차관보(1980. 5~1981. 11)
재무부 제 1차관보(1981. 11~1982. 6)
전매청 청장(1982. 6~1983. 10)
국무총리행정조정실장(1983. 10~1988. 12)
제33대 재무부 장관(1988. 12~1990. 3)
제44차 IMF·IBRD 연차총회 의장(1989. 9)
충남대학교 명예경제학 박사(1990. 8)
건양대학교 교수(경제학)(1991. 3~1995. 2)
금융통화운영위원회 위원(1991. 2~1997. 2)
한국과학기술원 초빙교수(경제학)(1995. 3~1998. 2)
초대 재정경제부 장관(1998. 3~1999. 5)
한국과학기술원 테크노경영대학원 초빙교수(경제학)(1999. 6~2003. 2)
국민경제자문위원회 위원(2000. 3~2003. 3)
21세기 금융비전포럼 의장(2002. 11~2013. 6)
(주)코람코자산신탁 회장(2003. 2~2014. 2)
한국과학기술원 테크노경영대학원 겸임교수(2003. 2~2006. 2)
한국과학기술원 금융전문대학원 겸임교수(2006. 2~2013. 8)
청소년금융교육협의회 회장(2003. 4~2006. 4)
국민경제자문회의 부의장(2004. 7~2005. 7)
사회복지법인 하나금융공익재단 이사회 의장(2006. 10~2012. 10)
(주)코람코자산신탁 회사발전협의회 회장(2014. 3~현재)
제1장 외환위기의 전개과정
Ⅰ. 불안감에 휩싸인 1996년의 경제
Ⅱ. 한보(韓寶)의 부도와 대외신인도 하락(1997. 1~3월)
Ⅲ. 금융시장의 일시적 소강국면(1997. 4~6월)
Ⅳ. 외환,금융시장 위기감의 고조(1997. 7~9월)
Ⅴ. 외환위기 발생과 IMF 구제금융 신청(1997. 10~11월)

제2장 외환위기 발생원인의 분석
Ⅰ. 다양하게 전개된 원인분석
Ⅱ. 건실한 거시경제 기초조건과 외환위기
Ⅲ. 한국 경제,사회의 구조적 문제점과 외환위기
Ⅳ. 자본거래 자유화의 위험과 외환위기
Ⅴ. 국제금융체제의 결함과 외환위기
Ⅵ. 느슨한 위기관리와 외환위기
Ⅶ. 외환위기 원인분석의 종합요약

제3장 위기극복정책의 기본구도
Ⅰ. 위기극복을 위한 정책과제
Ⅱ. 위기극복정책의 추진체계
Ⅲ. 외환위기에 대한 IMF의 최초대응전략(1997. 12. 3월)

제4장 IMF 최초대응의 차질과 국가부도 방지대책의 추진(1997. 12월)
Ⅰ. 시장의 냉담한 반응과 국가부도 위기의 봉착
Ⅱ. 추가 보완 대책 추진
Ⅲ. 외화유동성 확보대책 추진
Ⅳ. IMF의 초기대응에 대한 비판

제5장 외화 유동성의 확보와 구조개혁의 제도적 기반 마련(97. 12 ~ 98. 4월)
Ⅰ. 외화 유동성의 확보
Ⅱ. 외환,자본거래의 자유화와 외국인투자의 확대
Ⅲ. 구조개혁의 제도적 기반 마련
Ⅳ. 신용경색 심화와 대량 실업 발생

제6장 퇴출중심의 구조조정과 금리인하의 추진(1998. 5~6월)
Ⅰ. 경제실상에 대한 인식
Ⅱ. 퇴출중심의 금융과 기업구조조정
Ⅲ. 금리인하와 금융경색 완화대책 추진
Ⅳ. 실물경제 위축과 노동계 불안의 확산

제7장 1차 구조조정의 완료와 성장잠재력견지 대책의 추진(1998. 7~9월)
Ⅰ. 1998년 하반기 경제 전망과 정책과제
Ⅱ. 1차 구조조정의 완료
Ⅲ. 노동계의 구조조정에 대한 반발과 실업대책의 확대
Ⅳ. 러시아발 위기 확산 속에 외환시장은 안정
Ⅴ. 성장잠재력견지 정책의 추진

제8장 구조조정 가속화와 경제 활성화 추진(1998. 10~12월)
I. 대내외 경제여건의 변화와 정책과제
Ⅱ. 국제금융시장의 불안정 지속과 대응책 마련
Ⅲ. 구조조정의 가속화
Ⅳ. 경제 활성화 대책의 추진

제9장 금융안정의 회복과 플러스 성장의 실현(1999. 상반기)
Ⅰ. 1999년 경제정책의 기본방향
Ⅱ. 구조개혁의 지속적 추진
Ⅲ. 투자적격 신용등급 회복과 외환공급 우위 지속
Ⅳ. 금융시장 안정의 회복과 플러스 성장의 실현

제10장 대우그룹 파탄의 수습과 경제회복의 확산(1999. 하반기)
Ⅰ. 1999년 하반기의 정책과제와 대응
Ⅱ. 지식기반경제 발전전략의 수립
Ⅲ. 대우그룹의 파탄과 국내금융시장 동요의 수습
Ⅳ. 구조개혁의 착실한 추진
Ⅴ. 외환위기의 중산, 서민층 강타와 대응책의 마련
Ⅵ. 경제 회복의 확산과 순채권국으로의 전환

제11장 한국경제의 새로운 도약을 위한 구상 :
대전환기의 도전과제와 대응시스템의 혁신 방안
Ⅰ. 문제의 제기
Ⅱ. 한국경제에 대한 진단
Ⅲ. 새로운 도약을 위한 한국 경제의 과제
Ⅳ. 새로운 도약의 실현을 위한 경제시스템의 혁신

부록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