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닫기
박물관미술관학 [2007년 우수학술도서]
박물관미술관학 [2007년 우수학술도서]
저자
N. Kotler & P. Kotler
역자
한종훈ㆍ이혜진
분야
인문학/교양/어학
출판사
박영사
발행일
2005.08.20
장정
페이지
510P
판형
크라운판
ISBN
89-7189-233-1
부가기호
강의자료다운
-
색도
정가
28,000원

박물관미술관학 - 뮤지엄 경영과 전략 -  [2007년 우수학술도서]


중판 2008. 2. 10.

역자가 미국에서 공부할 무렵에 본고 영문판이 처음 출간되었는데, 미술관 경영과 관련하여 유학을 간 터라 맨하탄의 반즈 앤 노블 서점에서 이 책을 처음 접하고는 반가운 마음을 금할 수가 없었다. 한국뿐 만이 아니라 미국에서도 뮤지엄의 최근 경영사례와 마케팅이론을 뮤지엄 경영에 접목시키는 신이론을 다룬 문헌이 드물었기 때문이었다.

본서는 미국 노스웨스턴 대학교 켈로그 경영대학원의 석좌교수이자 영리부문 마케팅이론의 세계적 권위를 가진 필립 코틀러와 그의 사촌이자 미국 뮤지엄 경영분야에서 수십 년의 경험을 가진 스미소니언 박물관 연구학자 닐 코틀러가 수년간의 작업을 거쳐 내놓은 뮤지엄 마케팅과 경영 전략을 다룬 서적이다. 마케팅론은 어떤 분야보다도 실생활에 적용시켜 실행을 중시하는 학문의 특성상 사례연구 (case study)가 매우 중요한데, 본고는 1990년 이후 최근 뮤지엄의 경영 전략 수립과 마케팅 사례를 풍부하고 방대하게 다루고 있기 때문에 뮤지엄 운영에 종사하는 전문직이나 박물관학/미술관학을 연구하는 학자, 학생들에게 매우 유익한 책이 되리라고 생각한다.

선조들이 물려준 옛 유물을 잘 보존하고 그 가치를 현세에 널리 교육하며, 후세에 길이 물려주는 “수구”의 사명을 지닌 대표적 사회교육 기관인 박물관과, 앞서가는 첨단 기법과 “혁신”적인 발상이 필요하며, 경쟁적인 환경 하에서 상업적인 개념을 기반으로 하는 실용학문인 마케팅과는 언뜻 서로 상충하는 주제로도 보인다.

그러나 사회 공헌적인 사명을 지닌 다른 모든 비영리 기관과 마찬가지로 박물관도 경영과 운영이라는 존폐 여부가 달려있는 사안은 피할 수 없는 현실이기 때문에 그러한 사명과 설립취지를 구현하기 위하여서도 최적의 경영기법과 마케팅 전략은 현대 뮤지엄 운영에 필수적인 요소가 되고 있다.

예술행정 석사학위를 마치고 귀국 후 미술관에서 일하면서, 그리고 학교에 뮤지엄 운영과 관련된 과정에 출강하면서 느낀 점은 우리나라 또한 이와 관련된 서적 출간이나 연구가 미흡하여 이난영 박사가 30여년 전 “박물관학 개론”을 출간하신 이래 신간을 찾아 보기가 힘들어 현대의 뮤지엄 운영과 관련된 연구서나 교재의 집필이 필요함을 절감하던 중 우리나라의 사례를 포함한 저서는 나중에 쓰더라도 우선 서양의 뮤지엄 사례를 충실하게 다룬 본고를 빠른 시일 내에 출간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판단되어 이렇게 번역서를 내놓게 되었다.

그간 예술경영분야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조언과 충고를 아끼지 않았던 삼성미술관 리움의 홍라희 관장님, 대림미술관의 한우정 이사장님, 삼성문화재단의 한용외 사장님, 대림미술관의 이해욱 관장님, 현대미술관회의 임히주 학장님,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김영나 교수님, 월간미술의 정규봉 대표이사님, 강효주회장님을 비롯한 한국예술경영학회 회원여러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리고, 짧지 않은 준비기간 동안에 늘 응원을 아끼지 않았던 가족들에게 진심으로 고맙다는 인사를 전합니다.

2005년 여름
한종훈ㆍ이혜진

저자 약력


Neil Kotler

Smithsonian Institution에 재직중인 프로그램 연구위원으로서 Dartmouth College, Georgetown University,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에서 강의를 하였다. 그는 또한 미하원(U.S. House of Representatives)에서 입법위원(legislative director)을 지냈으며, 이디오피아에서 평화봉사단(Peace Corps)에 근무하기도 하였다.


Philip Kotler

마케팅 분야의 세계적인 석학으로서 Northwestern University의 Kellogg Graduate School of Management에서 국제 마케팅 교수로 재직중이다. 지금까지 , 등 15여권의 마케팅 관련 서적을 집필하였고 백여편이 넘는 논문을 발표하였다. 뿐만 아니라 유수기업과 비영리기관에 컨설턴트로도 활동하고 있다.




역자 약력


한종훈

한국외국어대학교
미국 컬럼비아 대학교 대학원 예술행정 석사 학위
미국 뉴욕 구겐하임 미술관 근무
삼성문화재단 삼성미술관 운영실장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예술행정 겸임교수
한국박물관건축학회 종신회원
한국예술경영학회 초대회장
삼성전자 VD(사) 마케팅커뮤니케이션 그룹장


이혜진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
미국 카네기 멜론 대학교 대학원 예술행정 석사 학위
미국 피츠버그 카네기 미술관(Carnegie Museum of Art) 근무
미국 피츠버그 오페라 재원조성 부서(fundraising department) 근무
워커힐 미술관 기획실 근무
대림 미술관 기획실장
제1부 21세기 뮤지엄

제1장 다양한 뮤지엄의 세계
제2장 뮤지엄의 전략적인 도전: 설립취지, 관람객, 재원조성


제2부 뮤지엄의 전략계획

제3장 전략계획 수립
제4장 관람객 연구
제5장 시장 세분화, 타겟팅, 포지셔닝


제3부 박물관 발전을 위한 전략과 도구

제6장 마케팅 조사와 정보수집 도구
제7장 프로그램 제작: 전시, 프로그램, 경험, 서비스
제8장 박물관 프로그램과 서비스의 보급
제9장 커뮤니케이션과 프로모션 전략
제10장 가격결정과 수익증대 전략
제11장 자원의 유치: 회원과 자원봉사자, 기부자의 지원
제12장 마케팅 조직: 계획, 예산, 수행, 관리


맺음말 박물관의 미래
“뮤지엄의 마케팅과 전략계획 수립에 관한 처음이자 유일한 가이드북이다.”



“<뮤지엄 마케팅과 전략>은 내가 본 책 중에 가장 포괄적이고 고차원적인 접근을 한 서적이다. 저자는 시장 지향적인 비즈니스와 미션 지향적인 비즈니스의 차이를 현실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저명한 마케팅 전문가로서 이 책에서 단순하게 방법론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뮤지엄이 어떻게 관람객을 육성하고 기관의 활동을 강화시킬 수 있는가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 Robert P. Bergman, Cleveland 미술관 관장


“뮤지엄의 미래에 있어서 잘 수립된 설립취지(mission)와 마케팅 프로그램만큼 관람객을 육성하고 수익을 내는데 중요한 요소는 없다. 이 책의 저자 Neil Kotler와 Philip Kotler는 뮤지엄 이사회와 경영자에게 성공을 확신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내용을 통찰력 있고 실용적인 가이드북 형식으로 설파하고 있다.”
- Harold M. Williams, J. Paul Getty Trust 명예회장


“<뮤지엄 마케팅과 전략>은 경험으로부터 우러나온 훌륭한 경영모델과 유효적절한 어드바이스 및 유용한 전략을 제공한다. 여러 다양한 유형과 서로 다른 규모의 뮤지엄에서 일하더라도 관리자는 이 포괄적인 매뉴얼에서 많은 도움은 물론 영감까지도 얻을 수 있다.”
- Robert R. Archibald, Missouri Historical Society 회장


“Neil Kotler와 Philip Kotler는 새로운 세기에 기업가 정신을 바탕으로 심각하게 진로를 개척하여야 하는 뮤지엄 전문직들을 위한 우수하고도 포괄적인 텍스트를 저술하였다. 이 책은 경험이 많은 뮤지엄 전문가들에게도 어려운 수준에 한 단계 오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할 것이다. 본인 또한 <뮤지엄 마케팅과 전략>에서 많은 것을 배웠으며, 비단 박물관뿐 만이 아니라 동물원과 수족관등의 혁신적인 경영을 위해서도 필요한 서적이라고 생각한다.”
- Terry Maple, American and Zoo and Aquarium Association 협회장


“이 책은 뮤지엄이 새로운 세기에 직면하는 환경 변화와 여러 이슈 및 도전을 규명하는 데에 필수적인 문헌이 될 것이다.”
- Sondra Quinn, Orland Science Center 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