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닫기
한국의 신자본주의정신 [2007년 우수학술도서]
한국의 신자본주의정신 [2007년 우수학술도서]
저자
박우희ㆍ이어령
역자
-
분야
일반 단행본
출판사
박영사
발행일
2005.03.30
장정
페이지
223P
판형
신A5판
ISBN
89-7189-210-2
부가기호
강의자료다운
-
색도
정가
12,000원
중판 2007. 10. 15.

지난 1989년, 우리는 『한국의 기업정신』이라는 공저를 통해 한국 기업의 정신(spirit)에 대해 많은 고민을 나누었다. 그리고 15년이 지난 오늘, 우리의 관심은 『한국의 자본주의』로 넓혀졌다. 한국자본주의가 지닌 “정신”은 과연 무엇일까. 우리는 왜 다시 한국자본주의를 말하는가. 왜 지금 그 정신이 흔들리며 거부되고 깨어지고 있는 듯 보이는가. 그리고 과연 그것은 옳은 방향인가?

자본주의는 인간의 무한한 욕망, 물질적 이기추구를 허용하는 체제이며, 따라서 어느 체제보다 성장 동력이 강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반해 불평등, 환경파괴, 자원고갈 등 제약점 또한 지닌다. 하지만 이러한 제약은 그 정신이 바르고 옳을 때, 문제가 근본적으로 나타나지 않는다. 그런 정신이 무엇일까. 우리의 경우 어떤 것일까. 우리의 고민은 여기에서 시작되었다.

서양의 경우, 사회 경제는 막스 베버(Max Weber)가 근대 서구자본주의와 칼뱅(Jean Calvin)의 청교도 정신의 접점을 처음 찾으면서 발전한다. 일본은 이시다 바이간(石田梅岩)이 심학(心學)으로 의리양전(義利兩全)을 처음 구축하면서 시작한다. 이 둘이 지금의 미국, EU, 일본을 만든 기둥이며 바탕이었다.

그럼, 한국자본주의 정신의 발생은 어떠한가. 유교, 불교, 기독교, 무속, 기마성, 한풀이, 원융회통의 여러 생각이 용광로 속에 투입, 오랜 세월 용해되고 융합되어 하나의 정신이 만들어진 것이 아닐까. 그것이 지금의 경제발전을 가능하게 한 것이 아닐까. 하지만 한국 자본주의 정신이 무엇인지는 아직 명확하게 잘 밝혀져 있지 않고, 정의되지 않았기에, 오늘의 여러 혼란이 잉태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우리는 이 책에서 오랜 사색과 토론 끝에 나름대로 “한국자본주의의 정신”이 무엇인지 찾아보고 제시해보았다. 이의 가부(可否)는 강호제현의 학문적, 시대적 비판을 기다릴 뿐이다. 이 책을 읽고 객관적 서평을 많이 해 주길 기대한다.

끝으로 이 책을 쓰는데 재정적, 정신적 도움을 준 손병두 천주교평신도중앙협의회장에게 깊이 감사하며, 안종만 박영사 회장과 글을 깔끔하게 마무리해 준 이인제 박사와 서진영 박사에게도 감사의 뜻을 전한다.

2005. 2. 1
저자들
박우희(朴宇熙) 교수는 서울대학교 상과대학을 졸업하고, 영국 맨체스터대학에서 경제학 석사, 그리고 서울대학교와 일본 동경대학교에서 각각 경제학 박사를 받았다.
영국 옥스퍼드대 초빙교수, 일본 통상산업성 자문교수를 지냈으며, (대통령)과학기술자문회의 위원, 행정쇄신위원, (상공부) 무역위원장 및 생산기술원장을 역임했다.
한국경제학회 회장, 한국국제경제학회 회장, 서울대학교 경제연구소장, 사회과학대학장을 역임했다.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로 있다.



이어령(李御寧) 교수는 서울대학교 문리과 대학을 졸업하고, 이화여대 교수 및 동대학 기호학 연구소장, 이화여대 석좌교수를 지냈다.
문학박사인 이어령 교수는 서울신문, 한국일보, 중앙일보, 조선일보 논설위원 및 경향신문 프랑스 특파원을 역임했으며, 문학사상 주간, 일본 동경대학교 객원연구원, 국제일본문화센터 객원교수로 활동하였다.
초대 문화부 장관이며, 현재 예술원 회원, 문학평론가, 중앙일보 상임고문으로 재직하고 있다.
제I부 자본, 자본주의, 자본주의 정신

1. 자본주의란 무엇인가?
2. 돈이면 다 같은 돈일까?
3. 왜 자본주의를 선택해야 하는가?
4. 무엇이 자본주의를 만드는가?
5. 자본주의 정신은 어떻게 태어났나?
6. 자본주의 정신, 그 이후


제II부 자본주의의 여러 모습

1. 부자 나라 가난한 나라
2. 금욕이 자본이다
3. 창조력이 자본이다
4. 인간이 자본이다
5. 가족과 교육이 자본이다
6. 자본주의에도 색깔이 있다


제III부 자본주의 문화의 삼국지 - 한·미·일의 비교

1. 미국의 개척 문화
2. 일본의 집단 문화
3. 한국의 풀이 문화


제IV부 한국 자본주의의 정신

1. 한국 자본주의 정신의 사상적 뿌리
2. 한국 자본주의 정신의 문화적 뿌리
3. 한국 자본주의 정신의 기술적 뿌리


제V부 한국의 신(新)자본주의

1. 지식(디지털) 자본주의
2. 문화 자본주의
3. 정신 자본주의

나오며- 사ㆍ상(士ㆍ商) 자본주의 정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