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닫기
설득의 경제학 : 거시경제학적 접근
설득의 경제학 : 거시경제학적 접근
저자
윤택
역자
-
분야
경제학 ▷ 경제학일반
출판사
박영사
발행일
2017.06.10
개정 출간예정일
페이지
210P
판형
크라운판
ISBN
979-11-303-0437-3
부가기호
강의자료다운
-
정가
14,000원
머리말

본 책의 목표는 거시경제적 설득의 중요성과 실효성을 분석하는 최근의 이론들을 정리하는 것이다. 거시경제적 설득은 가계와 기업의 소비심리 및 투자심리에 영향을 미치는 일련의 행위, 그리고 재정정책 또는 통화정책의 일환으로 실시되는 기대관리정책의 실효성을 제고하려는 정책적 노력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본 책에서는 소비자와 기업의 정보처리능력이 유한할 때 거시경제적 설득의 중요성이 증가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완전한 정보처리능력을 가진 합리적 기대의 가계와 기업은 정부의 정책내용을 포함한 현재 시점에서의 경제상황에 대한 완전한 지식이 비용없이 축적할 수 있다. 따라서 합리적 기대 가설이 유효한 세상에서는 단순히 준칙과 재량의 구분만 중요하다. 그러나 소비자와 기업의 정보처리능력이 유한하다고 가정하는 경우 자신이 직접 생성한 시그널 또는 다른 사람이 생성한 시그널을 통해서 현재 시점에서의 경제상황을 파악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현재와 미래의 거시 경제상황에 대한 대중매체의 경제기사와 전문가의 의견 현실의 경제에서는 주로 다른 사람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해하여 자신의 행동을 선택해야 하는데 다른 사람들이 제공하는 정보를 정확히 이해하는 데에도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제한적 합리성을 고려한 기존의 거시경제학 이론에서도 경제활동에 참가하고 있는 모든 개인들이 정보를 처리하는 능력이 유한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그러나 자신이 직접 학습과정을 통해 습득한 정보에 의거하여 행동을 선택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이 제공한 정보를 이해하는 데에도 한계가 있다는 점을 강조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점에서 제한적 합리성을 고려한 기존의 연구와 차별된다.
본 책은 2017년 2월 공동학술대회에서 한국경제학회가 주관한 특별세션인 `DSGE 모형과 시사점'에서 저자가 발표한 내용을 담고 있음을 밝힌다. 당시 한국경제학회 회장이신 조장옥 교수님(서강대학교)과 특별세션을 주관한 정용승 교수님(경희대학교), 그리고 그 외의 발표세션에 참석해 주신 분들의 유익한 질문과 커멘트에 감사드린다. 본 연구에서 소개한 실증분석 결과를 위해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제공하고 있는 BIG KINDS-Pro를 활용하였음을 밝힌다. 또한 본 연구는 2014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NRF-2014S1A3A2044637)임을 밝힌다.
윤 택
현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Chicago University 경제학 박사(Ph.D.)
전 Board of Governors of the Federal Reserve System 시니어 이코노미스트
차 례

제 1 장 설득의 거시경제적 중요성
1. 설득의 경제적 규모
2. 거시경제적 설득의 중요성
3. 거시경제적 설득의 메커니즘

제 2 장 정보처리능력의 유한성과 미디어의 역할
1. 미디어 지수
2. 정보처리능력의 유한성과 개인의 정보
3. 인지된 미디어 지수와 실제의 미디어 지수
4. 미디어 경제 뉴스와 소비자 심리

제 3 장 설득의 경제학
1. 확률적 선택모형
2. 베이지안 설득
3. 고려 대상 집합의 형성과 설득의 역할
4. 설득의 심리학과 설득의 경제학

제 4 장 금융설득
1. 금융설득에 대한 실증 연구
2. 헤지펀드의 설득과 외환시장 투기적 공격
3. 맥락효과와 설득의 역할

제 5 장 확률적 선택모형과 실물적 경기변동
1. 소비자의 확률적 선택과 경기변동
2. 소비자의 정보비용과 실물적 경기변동 모형
3. 소비자를 위한 정보기술 발전의 의미
4. 소비자의 품질선택을 고려한 경기변동 모형

제 6 장 확률적 선택을 고려한 뉴케인지안 모형
1. 소비자의 불완전한 정보와 가격 경직성
2. 소비자의 불완전한 정보와 총수요 곡선
3. 통화정책의 이자율 경로에 대한 함의

제 7 장 확률적 선택과 통화정책의 결정
1. 통화정책의 결정과정
2. 중앙은행의 소통과 기준금리 미디어 전망지수
3. 중앙은행의 불완전한 정보와 통화정책의 실제 운용
4. 기준금리의 확률적 선택모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