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닫기
재난복지란 무엇인가-생활지원체제의 구축을 향해서
재난복지란 무엇인가-생활지원체제의 구축을 향해서
저자
西尾祐吾.大塚保信.古川隆司
역자
최송식 외
분야
사회복지학
출판사
박영사
발행일
2015.07.31
개정 출간예정일
페이지
315P
판형
크라운판
ISBN
979-11-303-0223-2
부가기호
강의자료다운
-
정가
18,000원
역자 서문

2014년 4월 진도 앞바다에서 <세월호 참사>가 일어나 400여명이 넘는 희생자가 발생하는 사회적 재앙이 일어나 그 가족들은 물론이고 모든 국민들까지 큰 아픔과 고통을 겪고 트라우마를 입게 되었다. 세월호 사건이 일어나기 이전과 이후에도 우리 사회는 여전히 규모의 차이는 있지만 크고 작은 사고와 재난들로 인해 사람이 다치거나 죽고 지역사회는 많은 부정적 영향들을 받고 있다. 우리는 세월호 참사를 포함한 재난에서 무엇을 배우고, 사회를 바꾸기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가?
외국의 경우를 보면 미국은 2001년 9.11사태와 2004년 허리케인 카트리나를 통해, 일본은 한신아와지 대지진과 2011. 3. 11. 발생한 동일본대지진과 쓰나미로 인한 핵발전소 파손으로 방사능누출 등 감당할 수 없는 인적 및 물적 피해는 물론이고 사회적 해체를 경험하고 극복하는 과정 속에서 재난에 대한 국가의 대응방향 전반에 대한 전기를 맞게 되고 일반국민이나 지역사회의 의식과 역할도 많은 변화를 맞게 된다.
그동안 우리 사회복지학연구자 집단은 재난과 관련해서는 재난정신보건에 국한된 관심과 활동을 해 온 측면이 많아서 이를 반성하고 재난과 사회복지로 그 영역을 확대하여 연구 경향들을 살펴오던 중 인접학문들(사회과학은 물론이고 자연과학과 공학, 의학 등)은 재난에 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고 그 깊이도 상당한 정도까지 도달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이에 우리 연구진들도 재난과 사회복지에 대한 심층적 연구와 공부가 매우 필요하다는 인식을 하게 되고, 어떤 자료를 통해 공부와 연구의 계기로 삼을 수 있을까 고민하던 중 미국보다는 지역적으로 우리와 가깝고 지리적 특성상 자연재해가 빈번한 일본에서의 연구성과를 공부하여 소개하고 싶은 바람을 갖게 되었다. 이에 대한 대답의 단초가 西尾祐吾, 古川隆司, 大塚保信가 공동으로 편저한 󰡔災害福祉とは何か―生活支援体制の構築に向けて󰡕(ミネルヴァ書房)와의 만남이다. 한국어로는 󰡔재난복지란 무엇인가―생활지원체제의 구축을 향해서󰡕가 일본의 특징에 맞추어 자연재해를 중심으로 된 특징은 있지만, 아직 한국사회에서 재난과 사회복지를 연결하여 재난복지라는 개념이나 영역이 정착되어 있지 못한 실정에서는 더없이 적당한 서적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번역하는 연구팀을 구성하고 3개월에 걸쳐서 교수들과 대학원생들이 함께 공부하면서 용어를 통일하고 서로가 갖고 있는 지식의 범위 안에서 차근하게 준비하는 과정을 거쳤다. 공부를 해갈수록 우리에게 미흡한 일본사회에서의 재난의 전과정에 걸친 사회복지의 관점, 역할, 개입방법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었던 것은 우리의 큰 성과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연구진 중에는 한국어를 잘하면 일본어가 서툴고, 일본어를 잘하면 한국어가 서툴러 여러 부분에서 번역을 옮기고 표현을 하는 데 있어 어려움을 겪었다. 열심히 하였지만 시간상의 촉박함과 더불어 재난과 사회복지영역에 대한 이해의 깊이가 부족하여 저자들의 생각을 올바르게 번역하였는가에 대한 두려움과 큰 책임감을 느낀다. 이 부분에는 앞으로 더욱 노력해 나갈 것이다.
이 책의 구성은 제1부 이론편에서는 제1장 재해복지의 개념, 제2장 재해시요원호자, 제3장 재해의 기억(재해발생의 역사와 그 내용 소개), 제4장 재해지원에 관한 법제도와 행정조직을 설명하고 있다. 제2부 실천편에서는 제5장 재해지원의 방법을 총괄적으로 기술한 후 제6장 재해 발생과 구호, 제7장 재해와 지역 네트워크, 제8장 부흥과 재해피해자 지원, 제9장 가족지원, 제10장 재해지원 자원봉사, 제11장 특별한 니즈를 가진 사람들에 대한 지원, 제12장 복지시설에서의 재해방지지원을 다룬다. 마지막 제3부 제언편에서는 제13장 재해예방과 경감을 위한 방향, 제14장 학교에서의 재해예방교육의 현황과 과제, 제15장 재해예방 네트워크의 구축을 설명하고, 보론에서 이 책의 부족한 부분과 초기저술 후 바뀐 관점들에 대해 약술하고 있다.
이 책은 사회복지학 분야에서 재난에 접근하는 데 있어 커다란 안목을 갖고싶은 열망을 가진 한국의 사회복지학자와 실천가, 재난현장전문가들, 대학원에서 공부하고 있는 학생들에게 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감히 자신있게 말할 수 있다.
이 책이 나오기까지 판권을 확보하고 많은 노력을 기울여 좋은 책으로 나올 수 있게 애써주신 박영사의 안종만 대표님과, 여러 선생님들께 감사드리고 이 책이 잘 번역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주신 학과교수님들과 대학원생들의 노고에 치하를 드린다.

2015년 7월
역자를 대표하여 최 송 식 적음





저자 약력

西尾祐吾(니시오 유우고)(2007년 기준)
간사이학원대학 문학부 사회사업학과 졸업
1991년 무코가와여자대학 단기대학부 아동교육학과 조교수
1992년 무코가와여자대학 문학부 교수
1995~1997년 무코가와여자대학 교육연구소 교수
1996~1997년 무코가와여자대학 교수
2005~2006년 후쿠오카의료복지대학 인간사회복지학부 교수
연구과제, 연구분야 : 사회학, 사회학(사회복지관계), 사회복지학
연구 키워드 : 빈곤, 사회불이익, 보건, 스티그마(낙인)의 감정, 조사, 정신장애인, 낙인, 정신의료, 정신장애, 사회복지, 앙케이트조사, 의료, 빈곤문화

大塚保信(오오츠카 야스노부)(2008년 기준)
간사이대학 법학연구부 공법학 석사
1975~1987년 고베여자학원대학 비상근강사
1977~1988년 모모야마학원 비상근강사
1979~1985년 오사카부립 노인종합센터 연구주임
1989~1994년 오사카체육대학부속복지전문학원 연구부장
1994~1997년 큐슈오오타니단기대학 교수
1998~2002년 일본소셜워크 학회 이사
1998~2002년 간사이사회복지학회 이사
연구분야 : 사회복지, 생활과학, 철학, 법학

古川隆司(후루카와 타카시)
1987.4~1991.3 붓교대학 사회학부
1991.4~1993.3 붓교대학대학원 사회학연구과 석사
1993.4~1994.3 붓교대학 사회복지학과 조수
1994.4~1995.3 간사이사회복지전문학교 전임강사
1995.4~2004.3 그리스도교 사회복지전문학교 전임강사
2004.4~2006.3 고각칸대학 사회복지학부 전임강사
2006.3~2008.3 오테몽가쿠잉대학 사회학부 전임강사
2008.4~ 오테몽가쿠잉대학 문학연구과 사회학전공 조교수
2008.4~ 오테몽가쿠잉대학 사회학부 사회학과 조교수
2012.9~ 일본사법복지학회 이사
2013.10~2014.3 일본사회복지학회 학회 동료평가 임시위원
연구분야 : 사회복지학
연구과제 : 지역생활정착지원센터, 사회적지원, 고령범죄자, 갱생보호시설, 갱생보호법인, 사회적지원, 연대, 경찰, 형사시설, 특별조사, 사회복지시설, 지역포괄지원센터

역자 및 연구분야

<교수>
최 송 식
부산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정신보건사회복지, 지역사회정신보건, 사회복지실천, 재난사례관리실천, 위기개입
류 기 형
부산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지역사회복지, 자원봉사, 지역사회조직
신 복 기
부산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사회복지행정, 사회복지법제, 노인복지정책론

<박사과정>
김 민 경
부산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박사과정 수료
북한이탈주민연구
이 진 열
부산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박사과정 수료
빈곤자의 자활, 사회복지경영과 마케팅

<석사과정>
카네가에카즈마
부산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석사과정 졸업
다문화와 사회복지
배 기 이
부산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석사과정 재학중
농촌복지, 기업사회공헌

제1장 재해복지의 개념
제2장 재해시요원호자
제3장 재해의 기억
제4장 재해지원에 관한 법제도와 행정조직
제5장 재해지원의 방법
제6장 재해발생과 구호
제7장 재해와 지역 네트워크
제8장 부흥과 재해피해자 지원
제9장 가족지원
제10장 재해지원 자원봉사-피난소.임시주택.부흥주택의 경험을 통해서-
제11장 특별한 니즈가 있는 사람들의 지원
제12장 복지시설에서의 방재지원-어린이집을 중심으로-
제13장 재해방지, 재해로 인한 피해경감을 위한 구조조성
제14장 학교에서의 재해방지교육의 현황과 과제
제15장 재해방지 연결망의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