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닫기
신국가안보론
신국가안보론
저자
황진환 외
역자
-
분야
정치/외교학 ▷ 정보과학
출판사
박영사
발행일
2014.03.10
개정 출간예정일
페이지
410P
판형
크라운판
ISBN
979-11-303-0061-0
부가기호
강의자료다운
정가
28,000원

중판 2022.04.12

중판 2020. 08. 10

중판 2018.08.25
중판 2017. 8. 30
중판 2017. 2. 15
중판 2015. 8. 20
초판 2014. 3. 10.



[국가안보론]을 2001년에 출간하고 13년이라는 시간이 흘렀다. 당시 국가안보론이라는 제목으로 국내에서 처음 출간된 책이었다는 이유에서 많은 점이 부족했음에도 그동안 독자들이 꾸준히 사랑해 주신 것에 대해 먼저 깊은 감사를 드린다. 반면, 그동안 독자들이 간간히 제기하였던 책의 난이도와 구성, 일부 주제들의 적실성 등에 대한 날카로운 지적들을 그때그때 수용하지 못한 점에 대해서는 정말 죄송한 마음을 금할 길 없다. 많은 교수들의 공저(共著)로 이루어졌다는 점이 적시에 개정판을 준비하기에 어려움을 더했다. 이 점에 대해서 독자 여러분의 너그러운 양해를 구한다.
이번에 출간된 [新국가안보론]은 다음 세 가지 점에서 기존의 [국가안보론]을 전면 개정한 성격을 띠고 있다. 첫째, 국제안보환경의 변화에 따른 이론을 보강하는 한편 각 장에 삽입된 사례들을 최신화하였다. 이론의 보강 측면에서는 탈냉전 시대에 안보개념의 확대 문제라든가 안보 연구패러다임을 보완하였고 자력방위론·군사동맹론·군사변혁론·위기관리론·안보정책결정론등은전면수정하였으며, 시민사회의 역할과 국가안보 부분은 새롭게 추가하였다. 또한 각 주제별로 예시된 사례들은 가급적 독자들이 이해하기 용이한 최근의 사례들을 사용하고자 하였다.
둘째, 구성을 국가안보의 정책수단 혹은 기제들을 중심으로 단순화하였다. 이 책에서는 안보방법을 절대안보, 공동안보, 협력안보 등으로 구분하고 국가안보를 달성하기 위한 정책수단을 자력방위, 동맹, 위기관리, 군사변혁, 군사외교, 군비통제, 집단안보 등으로 살펴보았다. 이와 함께 여기에 최근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시민사회의 역할을 안보 달성을 위한 중요 고려요소로 포함시켰다.
셋째, 장별·주제별 난이도를 학부 수준에서 이해가 용이하도록 조정하는 한편, 강의 및 학습에 편리성을 강구하였다. 이 점에서 특히 중점을 둔 것은 각 장별로 서두에 학습목표, 탐구중점, 핵심개념 등을 첨부하여 본문의 이해를 돕도록 하였으며, 말미에는 중요 개념이나 내용을 요약하고 ‘더 읽으면 좋은 글’을 추가하여 학습을 용이하게 하도록 한 점이다.
이 책은 총 10장으로 구성되었다. 제1장 ‘국가안보의 이해’에서는 국가안보의 개념과 국가안보 개념의 변화 추세, 그리고 국가안보 연구패러다임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2장 ‘자력방위론’에서는 자력방위의 개념과 조건, 그리고 구체적인 사례에 초점을 맞추었다. 제3장 ‘군사동맹론’에서는 동맹의 개념과 관리 문제, 동맹의 변화 요인을 제시하였다. 제4장 ‘군사변혁론’은 군사변혁의 개념과 등장배경, 그리고 미래전 양상에 중점을 두고 있다. 제5장 ‘위기관리론’에서는 위기관리의 개념과 전략, 천안함 폭침 사례를 기초로 한 위기관리 절차를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제6장 ‘군사외교와 협상’에서는 군사외교의 개념과 협상방법, 협상의 성공요인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7장 ‘군비통제론’은 군비통제의 개념과 군비통제 성립의 조건, 그리고 남북한 군비통제 사례에 대해 초점을 맟추었다. 제8장 ‘집단안보론’은 집단안보의 개념과 평화유지활동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제9장 ‘국가안보와 시민사회’ 부분은 시민사회의 개념과 시민사회의 안보 관련 기능에 대해 조망하였다. 마지막으로 제10장 ‘안보정책결정론’은 안보정책의 결정요인과 결정과정, 그리고 정책결정모형을 다루고 있다.
이 책의 각 장은 해당분야의 전공 교수들이 집필을 담당하였다. 책을 출간하기까지 그동안 공저자들의 적지 않은 노력과 기대에도 불구하고 아직 미진하고 보완할 필요가 있음도 부인할 수 없다. 이에 대해서는 독자 여러분의 아낌없는 조언과 애정어린 비판을 바랄 뿐이다.
끝으로 이 책이 나오기까지 많은 분들이 도움을 주었다. 공저자들과 함께 자료 수집 및 정리 과정에서 헌신적인 노력을 보여준 강정일, 박근재, 나웅하, 조선웅, 조원광, 이화준에게 심심한 사의를 표한다. 아울러 이 책을 기꺼이 출판해주신 박영사의 안종만 회장님과 편집과 출판 관계자 여러분께도 깊은 감사를 드린다.

2014년 2월
집필자를 대표하여
황 진 환 씀

공저자 약력

황진환(黃珍煥)
육군사관학교 정치학 교수
미국 남가주대학교(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정치학 석사 및 박사
저서: [한국의 안보와 군비통제], [미래전과 군사변혁], [아프간 전쟁의 교훈과 미국의 군사변혁](역서), [국가안보론](공저), [군사학 개론](공저), [북한학](공저) 등이 있다.

서춘식(徐春植)
육군사관학교 사회학 교수
연세대학교 사회학 석사, 영국 글래스고대학교 (University of Glasgow) 박사.
저서: [국가안보론](공저), [북한학](공저), [경영사령관의 리더십 노트](역서) 등이 있다.

윤정원(尹淨遠)
육군사관학과 정치학 교수
서울대학교 정치학 석사, 미국 조지아대학교(University of Georgia) 국제정치학 박사
저서: [한미동맹의 분석: 지속과 변화], [21세기 한반도 안보문제 분석], [국가안보론](공저), [북한학](공저), [안전보장의 국제정치](공저) 등이 있다.

김순수(金淳洙)
육군사관학교 정치학 부교수
중국인민대학 국제정치학 석사, 북한대학원대학교 북한학 박사
저서: [중국의 한반도 안보전략과 군사외교], [북한의 對중국 군사협력], [북한학](공저), [한국전쟁시 중공군의 전술 분석 및 평가](역서) 등이 있다.

김인수(金寅洙)
육군사관학교 사회학 부교수
연세대학교 사회학 석사, 미국 위스콘신대학교(University of Wisconsin) 사회학 박사
저서: [군대와 사회](공저), [군사학 개론](공저)등이 있다.

정성임(鄭聖姙)
육군사관학교 정치학 교수
이화여자대학교 정치학 석사 및 박사
저서: [북한의 당․국가기구․군대](공저), [조선로동당의 외곽단체](공저), [북한의 사상과 역사인식] (공저), [북한학](공저) 등이 있다.
제1장 국가안보의 이해 황 진 환

제1절 국가안보와 국가이익
제2절 국가안보 개념의 변화
제3절 국가안보 연구 패러다임

제2장 자력방위론 서 춘 식

제1절 자력방위의 의미
제2절 자력방위의 기본요소: 군사력
제3절 자력방위국의 유형

제3장 군사동맹론 윤 정 원

제1절 동맹의 개념
제2절 동맹의 목적
제3절 동맹의 분류
제4절 동맹의 특성과 한계
제5절 동맹의 관리
제6절 사례: 한미동맹의 변화와 지속

제4장 군사변혁론 황 진 환

제1절 군사변혁의 개념과 발전과정
제2절 군사변혁의 등장 배경: 정보혁명과 전쟁환경의 변화
제3절 미래전 양상과 군사변혁
제4절 미·일·중·러의 군사변혁 방향

제5장 위기관리론 정 성 임

제1절 위기의 개념, 특징, 종류
제2절 위기관리의 정의, 유형, 전략
제3절 단계별 위기관리 절차
제4절 한반도 위기의 특징과 유형
제5절 한반도 위기관리 사례

제6장 군사외교와 협상 김 순 수

제1절 군사외교의 개념과 기능
제2절 군사외교 전개 유형
제3절 협 상

제7장 군비통제론 황 진 환

제1절 군비통제: 개념과 기능
제2절 군비통제의 분류
제3절 군비통제와 국가안보정책
제4절 군비통제 결정요인: 이론적 변수군
제5절 사례: 남북한 군비통제

제8장 집단안보론 김 인 수

제1절 집단안보의 의미와 형성 배경
제2절 평화유지활동
제3절 한국의 평화유지활동

제9장 국가안보와 시민사회 김 인 수

제1절 시민사회의 개념과 기능
제2절 국방 NGO의 등장배경과 유형
제3절 국방 NGO와 안보정책 결정과정
제4절 시민사회와 국가안보의 관계

제10장 안보정책결정론 윤 정 원

제1절 안보정책 결정요인
제2절 안보정책 결정과정
제3절 안보정책 결정모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