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닫기
교과 및 교과 통합 서술형 평가의 실제
신간
교과 및 교과 통합 서술형 평가의 실제
저자
조호제, 김자영, 김정숙, 김정윤, 김현정, 노선임, 박은하, 이경미, 채은경, 최성이
역자
-
분야
교육학
출판사
박영스토리
발행일
2023.03.15
개정 출간예정일
페이지
354P
판형
크라운판
ISBN
979-11-6519-382-9
부가기호
93370
강의자료다운
-
정가
23,000원

초판발행 2023.03.15


출구가 보이지 않던 기나긴 팬데믹의 터널을 지나며 학교 현장은 예고 없이 앞당겨진 미래교육을 서둘러 맞이하느라 깊은 고민 속에 숙고하며 분주했다. 우리 교사들은 마치 이런 지각변동을 예측이라도 하고 있었던 듯 민첩하게 변화에 적응했고 교육의 질을 사수하고자 했던 교사들의 역량과 열정은 그 어느 때보다 빛을 발하였다. 이러한 노력의 결실로 학교 현장은 일견 안정을 되찾은 듯 보였지만 그 안에서 우리 교사들은 새로운 물음으로 다시 숙고의 시간을 보내고 있다.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가? 왜 그것을 가르쳐야 하는가? 그리고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가? 하는 근본적인 물음이 그것이다. 주어진 것을 가르치고 주는 대로 배우는 교육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 ‘미래교육’이라 명명하던 그 시기가 예상보다 훨씬 빨리 우리 눈앞에 도래했다는 자각과 함께 교사들의 마음을 더욱 분주하게 만들었다. 시기적절하게도 우리 교사들의 이러한 고민을 담은 새 교육과정이 우리 손에 넘겨졌다. 포용성과 창의성을 갖춘 주도적인 ‘사람’을 길러 달라는 새 교육과정의 비전은 마음에 깊은 울림을 남긴다. 사회에 도움이 되는 쓸모있는 ‘인재’로 길러내는 교육의 가치에서 진정 행복할 권리를 가진 한 ‘사람’의 내면의 성장을 눈여겨 보아달라는 가치의 전환이 몹시도 뭉클한 감동으로 다가오는 한편 막중한 책임의 무게감은 교육의 본질에 대한 고민을 남긴다.

이 책은 이러한 고민을 공유한 교사들의 흔적이다. 저자들은 개념 기반 교육과정을 통해 다음의 세 가지에 답을 하려고 시도하였다. 

앞으로 급격한 변화를 감내해야 할 학생들의 삶을 관통할 가치 있는 지식은 무엇인가?

어떻게 가르쳐야 학생들이 새로운 상황이나 맥락에서도 자신의 지식을 활용하고 실천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질 수 있는가?

그리고 이것은 수업에서 어떻게 구현될 수 있을 것인가?

개념 기반 교육과정은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단순한 사실적 지식 습득의 차원을 넘어 개념을 기반으로 학습의 깊이를 더하고 미래역량 함양을 위해 도입되는 교육과정이다. 개념 기반 교육과정은 실제 세계에서 필요로 하는 지식과 기능을 학습한다. 이 교육과정은 개념적 이해와 비판적 내용 지식, 수행 능력의 발달을 강조한다. 따라서 개념과 관련된 핵심 기능의 이해를 통한 실제적인 수행을 중요하게 다루게 된다.

이 책에서는 먼저 개념 기반 교육과정의 이론과 교수·학습 설계의 핵심 요소인 평가 문항을 개발하여 제시하고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이해중심교육과정과 IB PYP 교육과정을 살펴보았다. 1장부터 개념 기반 교육과정, 개념 기반 교육과정과 평가, 개념 기반 교육과정과 평가 설계 및 적용, 이해중심교육과정, IB PYP 기반 교육과정의 순으로 이론과 실제를 제시하여 공통적으로 강조하고 있는 개념, 이해, 지식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교실 장면에서 학생들은 여러 교과에서 사실(facts)을 학습하게 된다. 학생들에게 무엇을 학습하는가도 중요하지만 어떻게 학습하느냐에 따라 세상을 바라보는 안목이 달라질 수 있다. 학생들이 학습하게 되는 지식은 단편적인 지식을 넘어서는 좀 더 넓은 세계를 이해하기 위한 것이어야 하며 개념을 통한 학습을 통해 좀 더 넓고 깊게 확장될 필요가 있다.

1장과 2장에서는 지식의 구조를 이루는 요소가 무엇이며 이들이 어떻게 서로 연결될 수 있는가에 대한 교육과정 이론을 다룬다. 교과의 구조는 소재와 사실, 개념, 일반화의 원리로 이루어져, 소재와 사실로부터 개념, 일반화와 원리, 이론으로 향해간다. 학생의 개념적 이해와 일반화의 원리에 대한 심층 학습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귀납적 교수법과 탐구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낮은 수준의 단편적 사고와 높은 수준의 개념적 사고를 결합시켜 시너지를 내는 사고를 자극하고, 개인의 지적 능력을 개발시키게 된다.

3장에서는 단일 교과 혹은 여러 교과에 걸쳐서 개념 기반 교육과정 평가를 설계하는 방법을 안내하고, 4장과 5장에서 개념 기반 교육과정의 설계 유형인 이해중심교육과정과 IB PYP 기반 교육과정을 다룬다. 특히 3장에서는 여러 교과를 관통하는 개념을 추출하고, 핵심 아이디어와 핵심 질문, 개념적 렌즈를 교과에 적용하고 평가하는 수업 사례를 제시하였다. 실제 수업 활동을 규정짓는 핵심요소인 평가문항을 교과내, 혹은 두 개 교과, 세 개 교과를 통합하며 수행과제 형태로 제시함으로써 실질적인 자료를 제공한다. 

미래의 불확실성을 대비하기 위하여 이 시대의 교사에게 던져진 과제는 학생이 깊이 있는 학습을 통하여 급변하는 사회적 상황과 요구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도록 돕는 것이다. 깊이 있는 학습은 학생의 자기주도성을 토대로 자신의 삶 속에서 활용할 핵심 내용을 배우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교사는 핵심 아이디어를 중심으로 학습량을 적정화하고, 학생들이 경험해야 할 사고, 탐구, 문제해결 등의 과정을 학습내용으로 명료화하여 교수학습 및 평가방법을 고민하고 적용하는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미래교육에서 강조되는 교사의 역량은 능동적인 교육과정 개발자로서의 역량이다. 특정 교과 내용이나 교과 교육과정의 전체 내용을 간파해서 구조화시키고, 학생들이 스스로 원리나 일반화에 도달하는 데 필요한 사고 기능과 탐구과정을 가르칠 수 있는 수업을 설계하는 것이다. 저자들이 제안한 개념 기반 교육과정 평가로 이러한 교사교육과정 개발 역량을 키우고, 궁극적으로는 교사, 관리자, 교육과정 연구자 및 교사를 준비하는 학생들이 개념 기반 교육과정 수업을 설계하고 실천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끝으로 이 책의 출판을 흔쾌히 허락하고 애써 주신 박영스토리 관계자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2023년 저자 일동

▪조호제

(현) 고려대학교 및 숭실대학교 겸임교수

고려대학교 대학원 교육과정학(박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초등체육교육(박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교육과정학(석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초등체육교육(석사)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과(학사) 

2022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 심의위원장(교육부)

「개념 기반 교육과정과 수업 사례」 공저(2022)

「최신교육과정 재구성의 이론과 실제」 공저(2021)

「ON 교육과정 재구성」 공저(2020)

「체육과 교육과정」 공저(2008)

한국연구재단 등재 학술지 38편 게재

교육과정 총론 기준, IB PYP, 교수·학습과 평가 등에 관심을 가짐.


▪김자영

(현) 서울잠원초등학교 수석교사, 경인교육대학교 강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초등교육학(박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교육학(석사)

인천교육대학교 초등교육과(학사)

「최신교육과정 재구성의 이론과 실제」 공저(2021)

「ON 교육과정 재구성」 공저(2020)

「예술가의 창작과정에서 나타난 창의성 요소를 중심으로 한 창의교육 콘텐츠 개발」 공저(2020)

교사의 실천적 지식, 음악교육과정, 수학교육과정, 오케스트라 교육에 관심을 가짐.


▪김정숙

(현) 서울면남초등학교 교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석사)

청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과(학사)

「개념 기반 교육과정과 수업 사례」 공저(2022)

교육환경보호원(교육부) 생명존중예방 프로그램 개발(2021)

과정중심평가 문항 개발 및 적용(2020)

다문화 수용성 함양을 위한 놀이 중심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2020)

교사교육과정, 통합교육과정 설계 및 실천 등에 관심을 가짐.


▪김정윤

(현) 서울남성초등학교 수석교사, 서울대학교 객원연구원, 숙명여자대학교 강사

서울대학교 교육과정학(박사)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교육과정(석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초등영어교육(석사)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과(학사)

「개념 기반 교육과정과 수업 사례」 공저(2022)

개념 기반 교육과정, 통합교육과정, 교육과정 설계, 교육과정 실천 등에 관심을 가짐


▪김현정

(현) 서울잠현초등학교 교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교육과정학 박사(수료)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초등교육과정(석사)

경인교육대학교 초등교육과(학사)

교육과정 설계 방안 및 평가, 교원양성과정 등에 관심을 가짐.


▪노선임

(현) 서울갈현초등학교 수석교사

중부대학교 원격대학원 진로직업컨설팅학(석사) 

부산교육대학교 초등교육과(학사)

초등 3학년 사회과 마을교과서 공저, 서울특별시서부교육지원청(2022)

초등 3학년 사회과 마을교과서 공저, 서울특별시서부교육지원청(2021)

교사별 교육과정 설계 방안, 수행평가, 사회과 PCK 수업설계, 진로교육 등에 관심을 가짐.


▪박은하

(현) 서울봉은초등학교 교사

건국대학교 대학원 교육과정학(박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유아교육(석사)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과(학사)

「개념 기반 교육과정과 수업 사례」 공저(2022)

2009 개정 체육과 검정 교과용 도서 집필

교수·학습 설계 및 평가, 교사 교육 등에 관심을 가짐.


▪이경미

(현) 서울양명초등학교 수석교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초등음악교육(석사)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과(학사)

「그림책 활동 100」 공저(2023)

「개념 기반 교육과정 및 평가의 이론과 실제」 공저(2021)

그림책 「잠깐만」 번역(2022)

「마음이 머무는 그림책 한 문장」 공저(2022)

「뚝딱 일주일만에 영화수업 만들기」 공저(2019)

학생 그림책 창작 출판, 

개념 기반 교육과정, 교사 교육과정에 관심을 가짐


▪채은경

(현) 글벗초등학교 교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인구다문화교육 전공(석사)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과(학사)

초등 사회과와 도덕과에서 반영된 연령 통합 내용 분석(2020)

초등학교 사회 교과서 3-6(김영사, 2022)

IB PYP 프레임워크 적용을 통한 서울형 PYP 모델 구축 방안 연구(2021, 서울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어린이 초록마을, 나라, 세계(환경부, 2012)

초등학교 환경 3-6학년(2012, ㈜미래엔)

2007 개정 초등학교 사회과 교과서(2011, 교육부)

학교 교육과정 수립과 교사 공동체, 개념 기반 교육과정의 현장 적용에 관심을 가짐.


▪최성이

(현) 서울양원초등학교 수석교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겸임교원, 서울교육대학교 강사, 경인교육대학교 강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수학교육(박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초등영재교육(석사)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과(학사)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 공저(2015)

2009 개정 수학과 교과용 도서 집필

2015 개정 수학과 교과용 도서 집필

교육과정 실천, 수학교육과정 및 평가에 관심을 가짐.


1장 개념 기반 교육과정

01 개념 기반 교육과정의 의미와 특징 3

01 개념 기반 교육과정의 등장 배경 3

02 개념 기반 교육과정의 의미 4

03 개념 기반 교육과정 이해를 위한 전제 조건 6

04 다시 살펴보는 개념적 렌즈와 지식의 구조 7

02 개념 기반 교육과정의 설계 방법 11

01 개념 기반 교육과정 교수 설계 절차 11

03 개념 기반 교육과정의 교수·학습 설계의 실제 13

01 개념 기반 교육과정 단원 설계의 실제 13

02 1단계: 단원의 주제 15

03 2단계: 개념적 렌즈를 통한 개념 확인하기 16

04 3단계: 단원 스트랜드와 스트랜드 안에서 단원 소재와 개념 파악하기 17

05 4단계: 단원 학습으로부터 도출하기를 기대하는 일반화 진술하기 17

06 5단계: 필수적인 질문(안내 질문) 만들기 20

07 6단계: 중요한 내용(내용 요소) 확인하기 22

08 7단계: 핵심 기능 파악하여 적기 23

09 8단계: 학습 활동 설계하기 25

10 9단계: 수행과제 평가와 채점 가이드 또는 루브릭 작성하기 25

11 개념 기반 교육과정의 단원 설계 사례 26

12 교육과정의 단원 설계에서의 이해중심교육과정과 개념 기반 교육과정의 비교 31


2장 개념 기반 교육과정과 평가

01 개념에 기반한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평가 방향 37

01 평가와 수업 37

02 2022 개정 교육과정 구성의 중점에 따른 평가 방향 38

02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평가 44

01 총론에 제시된 평가 기준 44

02 교과별 평가의 방향 및 평가 방법 45

03 핵심역량을 기르는 참평가(GRASPS) 방법 52

01 역량과 교과 역량 52

02 역량과 실제 상황에서의 평가 53

03 평가 계획 56

04 교과의 경계를 넘는 개념 기반 평가 58

01 지식과 지식을 연계한 평가 58


3장 개념 기반 교육과정과 평가 설계 및 적용

01 국어과(5~6학년) 평가의 실제 65

01 5학년: 쓰기 절차에 따라 ‘이야기책’ 쓰기 65

02 6학년: 우리는 어떻게 생각을 나누는가? 86

02 수학과(5~6학년) 평가의 실제 107

01 5학년: 가능성 탐구를 통해 예측한 미래 주거 환경 107

02 6학년: 비율 돋보기로 살펴보는 정의로운 세상 128

03 사회과(5~6학년) 평가의 실제 149

01 5학년: 자연·인문 환경의 변화가 우리 생활에 미치는 영향 149

02 6학년: 우리가 자연환경과 조화롭게 살아가려면? 173

04 과학과(5~6학년) 평가의 실제 194

01 5학년: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은 어떤 변화가 있는가? 194

02 6학년: 세상을 움직이는 자원과 에너지의 활용 215

05 영어과(5~6학년) 평가의 실제 237

01 5학년: 우리가 살고 있는 마을의 생태 환경과 쾌적한 생활 237

02 6학년: 우리가 속한 생활 공간의 탐구 258


4장 이해중심교육과정(Understanding by Design: UbD)

01 이해중심교육과정의 의의와 특징 285

01 등장 배경과 의의 285

02 이해중심교육과정과 개념 기반 교육과정의 관련성 286

03 우리나라 교육에 주는 시사점 286

02 이해중심교육과정의 설계 방법 289

01 이해중심교육과정의 특징 289

02 수업 설계 절차 291

03 이해중심교육과정 기반의 수업 실제 301


5장 IB PYP 기반 교육과정

01 IB PYP 교육과정의 의미와 특징 309

01 IB(International Baccalaureate) 개관 309

02 IB PYP(International Baccalaureate Primary Years Programme) 314

03 IB PYP의 활용 수업의 의의 317

04 IB PYP의 프레임워크 318

02 IB PYP 교육과정의 단원 설계 방법 326

01 탐구 단원 구성 원리 326

02 탐구 단원 설계 과정 327

03 IB PYP 평가 329

03 IB PYP 교육과정 교수·학습 설계의 실제 330

01 프로그램 개요 330

02 탐구 학습 과정 332

03 수업 계획 332

04 평가 계획 334

찾아보기/3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