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닫기
HRD 연구방법 가이드: 연구와 실무의 출발점
신간
HRD 연구방법 가이드: 연구와 실무의 출발점
저자
김희봉, 박상욱, 윤선경, 이은정, 이혜민, 전선호, 정승환
역자
-
분야
교육학
출판사
박영스토리
발행일
2022.05.11
개정 출간예정일
페이지
220P
판형
신A5판
ISBN
979-11-6519-279-2
부가기호
93370
강의자료다운
-
정가
15,000원

초판발행 2022.05.11


조직에서 인적자원개발(Human Resources Development, 이하 HRD)의 영역과 기능은 다양하다. 전통적으로는 구성원 개개인의 직책 및 직무수행과 관련된 역량을 개발하고 향상시키는 개인개발로부터 성과관리나 경력개발 그리고 조직문화 개선 등과 같은 조직개발에 이르기까지 그야말로 전방위적인 활동이 이루어진다. 이렇게 보면 HRD의 기저에는 구성원들의 성장(growth)과 조직의 성과(performance)가 자리잡고 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HRD에서 구성원의 성장과 조직성과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기 위해 필요한 것 중 하나는 자료수집과 분석에 있어 다양한 연구방법에 대한 이해와 적용이다. 예를 들면 구성원의 성장을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를 끄집어내고 어떤 내용을 다룰 것인지를 결정하며 어떻게 확인할 것인지 등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것 등이다.
이러한 연구방법을 큰 축으로 나누어 보면 양적인 방법(quantitative research method)과 질적인 방법(qualitative research method)으로 나타난다. 이를 단순화해서 보면 양적인 방법은 숫자(number)를, 질적인 방법은 말이나 글자(verbal, text)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은 각각 독립적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혼합해서 사용되기도 한다. 그리고 HRD분야에서 연구와 실무를 하는 이들에게 이러한 연구방법들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이며 기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에서 마주하는 다양한 연구방법들은 상대적으로 어렵게 느껴진다. 또한 막상 시도하고 적용해보려고 하면 어떻게 시작하고 어떤 과정들을 거쳐야 하는지 등에 대한 막막함을 마주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논문도 찾아보고 연구방법론에 대한 책을 펼쳐 보기도 하지만 여전히 아쉬움은 남아 있다.
필자들 역시 HRD에 대한 연구와 실무 현장에서 이와 같은 고충을 경험했다. 그래서 HRD와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거나 실무를 담당하는 이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고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연구방법들을 찾아보고 고민하기 시작했다.
그 결과 학교와 기업의 HRD분야에서 연구와 실무를 경험한 필자들의 고민과 경험이 녹아 있는 ≪HRD 연구방법 가이드≫를 기획하고 HRD 연구와 실무에 유용하다고 여겨지는 14개의 연구방법을 선별하여 정리했다.
이 책의 구성은 두 가지로 되어 있다. 1부 Fundamental Methods에서는 HRD 연구 및 실무에 있어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방법들을 다루고 있다. 양적인 방법으로는 설문조사를 비롯해서 t-test와 ANOVA 등이 있으며 질적인 방법으로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 심층면접, 개방코딩 등이 포함되어 있다.
2부 Practical Methods에서는 기본을 넘어 연구와 실무에서 다양하게 적용해 볼 수 있는 방법들을 다루고 있다. 양적인 방법으로는 Borich 요구도 분석과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및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등이 있으며 질적인 방법으로는 델파이 조사와 사례연구, 내용분석 및 포토보이스(photo-voice)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들은 교육체계 수립,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역량모델링, 콘텐츠 개발, 인식 분석 및 비교 등과 같이 HRD분야에서 주로 다루어지는 연구와 실무에 있어 바로 적용해 볼 수 있다.
이를 위해 ≪HRD 연구방법 가이드≫에서는 각각의 연구방법별로 개념과 구체적인 절차를 제시하였으며 예시와 간과하기 쉬운 주의사항 및 고려사항 등도 담겨 있어 글자 그대로 HRD 연구방법 가이드로서의 역할에 충실하고자 했다.
따라서 HRD에 대한 연구와 실무 현장에 있는 학생 및 담당자들은 수행하고자 하는 주제에 적합한 연구방법을 선택해서 살펴볼 수도 있고 전체 내용을 보면서 연구의 주제 및 실행의 아이디어를 도출할 수도 있다. 아울러 ≪HRD 연구방법 가이드≫는 연구와 실무를 직접 수행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연구방법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관점을 확대시켜 줄 수 있다는 측면에서 유용하다.
HRD는 매력적인 분야다. 다만 그 매력을 느끼고 연구와 실무에서의 즐거움과 의미를 찾기 위해서는 인문학적인 사고와 함께 과학적인 방법이 접목되어야 한다. 이 과정은 생각보다 오랜 시간이 소요될 수도 있고 원치 않는 시행착오를 겪을 수도 있다. ≪HRD 연구방법 가이드≫는 그 시간을 조금 단축시켜보고 시행착오를 줄여주는 데 일조할 수 있다.
이 책은 독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HRD를 조금 먼저 접해 본 필자들의 입장에서 작은 부분이지만 기본적인 내용에 대한 생각을 담았다. 모쪼록 ≪HRD 연구방법 가이드≫가 HRD에 대한 연구와 수행에 첫걸음을 내딛는 이들과 다양한 시도를 해보고자 하는 이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김희봉
공주대학교 사범대학에서 윤리교육과 영어교육을 전공하고 국방대학원 및 한양대학교에서 리더십(M.A)과 교육공학(Ph. D)을 전공했다. 20년이 넘는 시간 동안 군(軍), 대학교, 컨설팅사, 대기업 등 다양한 조직에서 각계각층을 대상으로 리더십 코칭과 강의를 하고 있으며 개인과 조직의 성장을 위한 HRD 컨설팅을 수행하고 있다. 이와 함께 지금까지 리더십과 팔로워십에 대한 10여 편의 학술논문을 저술하였으며 저서로는 ‘휴먼웨어101’, ‘다시 강단에서’, ‘리더스타그램: 리더십 포토보이스’가 있다.

박상욱
한양대학교 교육공학 박사(교수체제설계 및 기업교육연구 전공)로 현재 삼성물산 리조트부문에서 CS혁신 파트장으로 재직 중이다. 기업에서 CS전략 및 고객경험분석(CX), CS컨설팅, 교육기획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리더십, 팔로워십, 역량모델링, 측정도구 개발 등이다.

윤선경
한양대학교 교육공학 박사(교육체제설계 및 기업교육연구 전공)로 현재 한양대학교 IC-PBL교수학습센터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기업·공공기관·대학의 교육체계설계, 역량 모델링 및 교육과정개발, 컨설팅 등 다수의 프로젝트와 강의를 수행하고 있다. 저서로는 한국인력개발학회 발간 HRD학술총서 ‘전환기의 HRD, 연구의 흐름을 읽다(공저)’와 ‘전환기의 HRD 연구의 미래를 묻다(편저)’ 등이 있다.

이은정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영어와 중국어를 전공하고 한양대학교에서 교육공학 석사 및 박사과정을 이수했다. 현재 한림대학교 미래교육혁신원 연구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역량 기반 교육 체계 수립 및 교육 혁신 정책 연구를 담당하고 있다. 고등교육기관의 데이터 기반 교육 성과 관리, 역량 중심 교육 과정 설계 등과 관련한 다수의 프로젝트를 수행하였으며 대졸자 노동시장 전이, 초기 경력자 진로 개발, 미래 교육 핵심역량에 관심을 두고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혜민
성신여자대학교에서 교육학과 국어국문학을 전공하고 한양대학교에서 교육공학 석사 및 박사과정을 이수했다. 이화여자대학교 교육혁신센터 특임교수로 근무하며 이화형 교수학습모델을 개발 및 전파한 바 있다. 기업 및 공공기관의 교육체계수립, 역량모델링, 교육과정개발과 관련된 다수의 프로젝트를 수행하였으며 기업의 성과향상을 위한 리더의 비인격적 행동과 혁신에 관심을 두고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전선호
한양대학교 교육공학 박사(교수체제설계 및 기업교육연구 전공)로 20년간 기업에서 HRD업무를 수행했다. 인적자원분야와 리더십, 긍정심리자본에 대한 관심을 갖고 꾸준히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현재 ㈜나우러닝 연구실장으로 기업 및 공공부문 컨설팅, 연구 용역 등을 수행하고 있다.

정승환
한양대학교에서 세라믹공학을 전공한 후 같은 대학 교육공학 석사 및 박사를 전공하였다. 현재 동덕여자대학교 교육혁신센터 연구교수로 재직 중에 있으며 동덕여자대학교의 ARETE 역량체계를 수립하고 이와 관련하여 교내외의 역량체계수립, 교육성과분석, 교육과정관리 등의 프로젝트들을 수행하고 있다. 온라인 커뮤니티에서의 지식공유와 이를 통한 사회적 자본을 비롯하여 커뮤니티 내의 상호작용 양상 및 커뮤니티를 통해 이루어지는 팬덤문화 등에 대하여 연구하고 있다.


1부 Fundamental Methods
01 설문조사(Survey) 3
02 온라인 설문조사(Online Survey) 17
03 포커스 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26
04 심층 면접(In-depth Interview) 35
05 개방 코딩(Open Coding) 48
06 t검정(t-test) 59
07 분산분석(ANOVA) 75

2부 Practical Methods
08 Borich 요구도 분석(Borich Need Analysis) 91
09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중요도-수행도 분석) 방법 107
10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계층화 분석) 방법 122
11 델파이 조사(Delphi Method) 130
12 사례연구(Case Study Method) 147
13 내용분석(Contents Analysis) 169
14 포토보이스(Photo-Voice) 1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