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닫기
변화하는 세상, 미리 가본 미래
신간
변화하는 세상, 미리 가본 미래
저자
김한곤 외10
역자
-
분야
인문학/교양/어학
출판사
박영사
발행일
2025.01.05
장정
무선
페이지
336P
판형
신A5판
ISBN
979-11-303-2133-2
부가기호
93300
강의자료다운
-
색도
1도
정가
22,000원

초판발행 2025.01.05


머리말


이 책의 집필은 영남대학교에서 비슷한 시기에 정년퇴직한 8명의 교수가 함께 모여 미래 연구를 주목적으로 하는 협동조합을 만들면서 시작되었다. 각자 다른 전공영역을 가진 8명의 교수가 함께 모여 수십 년 동안 쌓은 지식과 전문성을 ‘미래’라는 하나의 키워드로 공동의 관심사를 풀어낼 방법을 찾다가 미래 전망서를 쓰기로 하였다. 그리고 책의 내용과 구성을 고민하다가 8명이 모두 소화하기 어려운 부분에 대해서는 영남대학교 명예교수들 가운데 3명을 추가로 초대하여 책을 함께 쓰기로 했다. 

오늘날은 세계 곳곳에서 하루가 다르게 새로운 과학혁명과 기술혁신이 일어나고 있다. 그리고 과학혁명과 기술혁신은 빠르게 상용화로 연결되면서 긍정적 효과 못지않게 사회적 부작용도 우려되고 있다. 예컨대 인공지능(AI)과 로봇 기술의 발달은 고용 없는 성장을 초래할 수도 있고, 노동의 소멸과 인간 존엄성의 문제로까지 확대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으로 인간의 탐욕과 자원의 남용으로 인한 기후 위기도 계속되고 있다.

인류는 불확실성의 시대에 살고 있고, 세계도 기회와 위기를 함께 맞이하고 있다. 이 책은 오늘날 세상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상을 다양하게 조망하고, 다가오는 미래를 전망하기 위해 집필되었다. 아울러 이 책은 우리 인류의 미래를 준비하기 위한 방향을 모색하고, 미래의 세상을 어떻게 만들 것인지 논의한다.

이 책은 과학기술의 혁신이 세상을 어떻게 변화시킬 것이지, 그리고 인류가 직면한 새로운 위기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지 논의한다. 이 책은 총 3개의 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에서는 인간과 미래 사회를 다룬다. 여기서는 오늘날 우리나라에서 국가적 위기로까지 치닫고 있는 저출산으로 인해 초래되는 인구절벽과 다가올 세상을 살펴보고, 시간과 관련된 철학적 담론을 살펴보기 위해 『주역』의 시간관과 미래 예측을 다룬다.

제2부에서는 사회환경 시스템의 미래를 다룬다. 여기서는 기업경영의 미래와 도시의 미래를 다루고, 이상기후가 초래할 우리나라 자연환경의 미래와 인간의 삶을 살펴본다. 그리고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이 초래하고 있는 연결사회의 미래를 살펴본다.

제3부에서는 과학혁명과 기술혁신이 이끌 미래를 살펴본다. 여기서는 로봇 기술의 진화와 로봇이 바꿀 미래를 살펴보고, 컴퓨팅의 발전과 미래, 바이오화학 산업의 미래, 그리고 인공지능(AI)과 의료기술의 미래를 전망해 본다. 아울러 마지막으로 모든 인간의 최대 관심사인 장내 미생물과 미래의 건강에 대해 살펴본다.

그리고 이 책의 마지막(나가는 글)에서는 인류의 미래를 여는 데 두뇌와 같은 역할을 하는 기초적이고 범용적인 기술로, 과학혁명과 기술혁신을 이끄는 인공지능(AI)이 바꿀 미래 세상을 살펴보고, 우리가 준비해야 할 것에 대해서도 짚어본다.

이 책이 출간되기까지 총 11명 저자들의 협력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11명의 저자 각자가 집필한 원고를 서로 돌려가면서 읽어보고 피드백을 거친 후 수정 및 보완하는 과정을 몇 차례 거쳤다. 이 책의 집필부터 출간까지는 오랜 기간이 걸렸으나 각자의 역할을 충실하게 수행하고, 분담하면서 무리 없이 일을 추진할 수 있었다.

이 책은 저자들의 다양한 노력과 협업으로 빛을 보게 되었지만, 다소의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책 내용의 구성에서 빠진 부분도 있을 수 있고, 내용의 난이도 역시 장마다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급변하는 국내외 환경 속에서 새로운 기술은 계속 출현할 것이고, 새로운 트렌드(trend)도 어김없이 나타날 것이다. 그만큼 인류가 당면할 미래는 불확실하다고 볼 수 있다.

이 책이 세상에 빛을 보기까지 음으로 또는 양으로 많은 분의 도움이 있었다. 우리들의 학문적 울타리가 되어준 은사, 선배 교수님, 동료 교수님들과 많은 성원을 보내준 후학들에게 감사드린다. 끝으로, 출판시장의 어려운 여건에도 불구하고 이 책의 출간을 위해 여러모로 애써주신 박영사의 안종만 회장님과 안상준 대표님, 장규식 차장님, 이혜미 과장님, 그 외 여러분께 고마운 마음을 표한다.

저자 소개


김한곤

• The University of Texas, Austin 사회학박사

• 한국인구학회 회장 역임

• 영남대학교 명예교수(사회학과)

• 연구 및 관심 분야: 저출산, 인구 고령화


정병석

• 대만 中國文化大學 철학박사

• 한국주역학회 회장 역임

• 영남대학교 명예교수(철학과)

• 연구 및 관심 분야: 유가철학, 주역


권영철

• Kent State University 경영학박사

•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회장 역임

• 영남대학교 명예교수(무역학부)

• 연구 및 관심 분야: 지속가능 경영, 국제경영학


윤대식

• The Ohio State University 도시 및 지역계획학 박사

• 국토교통부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위원,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위원 역임

• 영남대학교 명예교수(도시공학과)

• 연구 및 관심 분야: 교통계획, 교통수요분석, 계량도시분석, 도시경제학


손광익

• Utah State University 토목환경공학박사

• 대통령 직속 낙동강유역물관리위윈회 정책분과위원장

• 영남대학교 명예교수(건설시스템공학과)

• 연구 및 관심 분야: 수자원 관리, 지구환경 관리


신재균

• KAIST 기계공학박사

• 영남대학교 명예교수(기계공학부)

• 연구 및 관심 분야: 기계설계, 복잡계


이석규

•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로봇공학박사

• 영남대학교 명예교수(전기공학과)

• 연구 및 관심 분야: 로봇공학, 공장자동화, 인공지능(AI)


김종근

• 일본 電氣通信大學 정보공학박사

• 영남대학교 명예교수(컴퓨터공학과)

• 연구 및 관심 분야: 네트워크 & 분산처리, 컴퓨팅 사고, 기술혁신과 지식재산권


조무환

• Rutgers University 생물화학공학박사

• 영남대학교 명예교수(화학공학부)

• 연구 및 관심 분야: 미생물연료전지, 생물환경공학


이준하

• 영남대학교 응용물리학박사

• 영남대학교 명예교수(의공학과)

• 연구 및 관심 분야: 의료기기, 생체물리


강용호

• Texas Tech University 화학공학박사

• MD Anderson Cancer Center 연구원 역임

• 영남대학교 명예교수(생명공학과)

• 연구 및 관심 분야: 미생물 생명공학, 휴먼 마이크로바이옴

차례


책을 펴내며 I


제1부 인간과 미래사회

제1장 인구절벽과 다가올 세상 / 김한곤 4

미래에 대한 관심 4

베이비부머의 은퇴 그리고 장래전망 6

출산율의 감소와 생태계 7

아이를 낳지 않는 세상: 아이들의 웃음소리가 들리지 않는다 9

결혼은 필수가 아닌 선택 11

싱글들의 전성시대: 1인 가구가 대세 13

싱글들을 위한 세상 15

전통가족의 붕괴 17

유치원의 반란과 초등학교의 미니화 18

사라지는 중고등학교와 무너져 내리는 대학교 20

줄어드는 경제활동인구, 어떻게 될 것인가? 22

노인들로 넘쳐나는 세상 23

아이를 낳지 않고 고령인구만 늘어가는 세상의 미래 24

초저출산, 초고령사회와 국민연금 26

인구절벽과 사학연금 27

초저출산, 초고령사회의 대응책 28


제2장 『주역』의 연속적 시간관과 미래 예측 / 정병석 32

불안사회와 『주역(周易)』의 소환 32

『주역』의 변화와 연속적 시간관 35

『주역』을 통해 본 미래 예측 42

『주역』의 점례(占例)를 통해 본 미래 예측 51

결론 - 『주역』을 통해 본 인류와 미래 59


제2부 사회환경 시스템의 미래

제3장 기업경영의 미래 / 권영철 66

미래 경영의 패러다임으로서 ESG 경영과 공유가치 창출 66

ESG 경영의 3대 축 68

기후 위기와 환경적 책임 69

기업의 사회적 책임 75

기업지배구조 개선 77

ESG 경영을 통한 공유가치 창출 79

ESG 경영의 진정성과 지속성이 중요하다 84


제4장 도시의 미래 / 윤대식 90

디지털 전환과 도시공간의 미래 90

초고령사회, 도시공간의 미래 92

1인 가구 증가와 도시공간의 미래 93

‘홈 오피스’ 시대, 주택의 변화 95

‘홈 오피스’ 시대, 도시는 무엇을 준비해야 하나? 98

집 안으로 들어온 소매점, 영화관, 책방, 만화방 99

전자상거래의 확대가 가져올 소매점과 물류의 미래 101

상업공간의 입지 변화는 계속될까? 103

공유 오피스가 불러온 업무공간의 진화 104

스마트 도시는 세상을 어떻게 바꿀까? 106

자율주행차와 도시의 미래108

자율주행차가 가져올 파급효과 111

도심항공교통(UAM)이 상용화되려면? 114


제5장 지구온난화와 인류의 미래 / 손광익 118

지구 전역에 나타나는 지구온난화 현상 118

기후변화 관련 용어 120

세계적 자연환경의 변화 사례 123

한반도에 나타나고 있는 자연환경의 변화 사례 125

지구온난화가 만든 나비효과 128

지구의 미래 기후변화 133

미래 한반도의 모습 136

우리가 선택할 인류의 미래 138


제6장 연결사회의 미래 / 신재균 142

듣는 대로 믿는 세상 142

세상은 6단계 146

정보확산도와 더 작아지는 세상 151

자기편 이야기만 듣는 세상 154

집단사고냐, 집단지성이냐? 157

단체대화방 속의 네트워크 162

정치적 양극화 사회의 미래 165


제3부 과학혁명과 기술혁신의 미래

제7장 로보 사피엔스 / 이석규 172

로봇의 현재 172

로봇의 용도 및 로봇 산업 전망 174

산업용 로봇 174

운송용 로봇 175

의료용 로봇 175

가정용 로봇 176

교육 및 연구용 로봇 177

환경 감시 및 보호용 로봇 177

우주 탐사 및 해양 탐사용 로봇 178

농업 및 목축용 로봇 179

건설용 로봇 179

군사용 로봇 180

기타 용도의 로봇 181

과학의 발달과 로봇 기술 183

AI와 로봇 기술 184

4차 산업혁명과 로봇 188

로보 사피엔스(Robo Sapiens) 190

인간과 로봇의 경계 192

로봇과 일자리 193

로봇 윤리 194

인간의 정체성 196

맺음말 197


제8장 컴퓨팅의 발전과 미래 / 김종근 200

컴퓨팅이란 무엇인가? 200

컴퓨터는 어떻게 발전될 것인가? 202

메모리와 시스템 반도체의 발전 203

입력장치의 미래 205

출력장치의 미래 207

소프트웨어의 발전 209

네트워킹의 발전 211

스마트폰의 발전 214

‘컴퓨팅 사고’는 문제해결 방법론인가? 217

미래 컴퓨팅: 양자컴퓨팅 219

미래 컴퓨팅: 칩 임플란트 220

미래 컴퓨팅: 빅데이터 222

미래 컴퓨팅: AI 223


제9장 바이오화학 산업의 전망 / 조무환 228

바이오화학 산업이란 무엇인가? 228

바이오화학 산업의 기술 동향 230

주요 바이오화학 제품 및 응용 분야 231

글로벌 바이오화학 산업 현황 231

바이오 기반 폴리머: 환경을 살리는 플라스틱 혁신 233

바이오연료: 나무로부터의 친환경 바이오에탄올 235

신재생 에너지의 미래: 바이오매스와 바이오연료 237

바이오매스 기반 바이오화학 제품의 응용 분야 238

오일리파이너리와 바이오리파이너리 239

바이오연료(biofuel) 241

바이오화학 산업의 시장 및 기술 전망 245

바이오화학 산업의 도전과제 246


제10장 인공지능과 의료기술의 미래 / 이준하 250

의료 분야의 인공지능 시대가 열리다 250

인공지능의 의료 분야 활용 현황 253

의료 영상의 인공지능 활용 국내 사례 257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의 인공지능 활용 262

디지털 치료기기의 인공지능 활용 264

정밀의료 분야의 인공지능 활용 267

인공지능 기술이 의사를 대신할 수 있을까? 270


제11장 장내 미생물과 미래의 건강 / 강용호 274

인체 미생물의 중요성 274

미생물의 자연생태계 276

인체 미생물의 정보 279

입안에 있는 박테리아 282

식도에 있는 박테리아 284

위에 있는 박테리아 286

소장에 있는 박테리아 287

대장에 있는 박테리아 293

미래의 건강을 위한 식생활 습관 298


나가는 글: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이하며 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