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닫기
공덕귀: 생애와 사상
신간
공덕귀: 생애와 사상
저자
김명구
역자
-
분야
학술 단행본
출판사
박영사
발행일
2022.11.24
개정 출간예정일
페이지
584P
판형
신A5판
ISBN
978-89-10-98030-8
부가기호
03300
강의자료다운
-
정가
28,000원

중판발행2023.12.15

초판발행 2022.11.24


이 책은 여성운동과 인권운동, 민주화운동 중심에 있던 공덕귀 여사의 생애와 사상을 기록한 평전이다. 필자가 <해위 윤보선, 생애와 사상>을 발간한 지 11년 만에 대한민국 제4대 대통령의 영부인인 공덕귀 여사의 평전이 만들어진 것이다. 

공덕귀에 대한 관심은 <해위 윤보선, 생애와 사상>을 집필하면서부터이다. 그것은 공덕귀가 신학자였기 때문이다. 그런 이유로 이 책은 공덕귀의 신학사상과 구체적 활동에 맞추어졌다. 공덕귀의 사상을 깊이 파헤칠 수 있었고, 아울러 윤보선의 정치철학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도 알게 되었다. 여느 부부와 같이 두 사람은 서로 사상적 교류를 했다. 

집필을 시작할 때, 공덕귀의 활동이 어디에서 비롯되었고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알고 싶었다. 또한 어떤 방식으로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도 살펴보려 했다. 공덕귀를 알기 위해서 그의 삶 전체를 조명해야 했고, 그 삶을 꿰뚫고 지나가는 사상을 찾아내야 했다. 이를 위해 먼저 출생지인 통영과 그의 가계, 시대 상황을 살펴보았다. 그에게 지대한 영향을 끼쳤던 호주장로교회에 대해서도 연구했다. 당시의 일본 지식사회와 신학계의 흐름을 살펴보았고, 삶의 전반부 활동의 무대가 되는, 김천 황금동교회와 조선신학교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해위 윤보선과의 결혼과 아산의 해평 윤씨 문중의 전통이 공덕귀에게 어떻게 사상적으로 영향을 끼쳤는지, 아울러 공덕귀의 신학 사상이 해위 윤보선의 정치철학에 어떻게 전달되고 각인되었는지도 알고 싶었다. 이후에 벌였던 여성운동과 인권운동, 민주화운동의 내용과 동력(動力)이 무엇인지도 확인하고 싶었다.

 

집필을 통해 호주장로교회의 신학적 주제인, 영적구원의 영역과 송창근 등 공덕귀에게 영향을 끼쳤던 인물들의 신학, 공덕귀가 유학했던 당시의 일본 대학사회의 흐름을 알게 되었고 자연스럽게 일제 강점기의 사상도 일방적으로 하나가 아니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메이지시대’(明治時代)와 ‘다이쇼시대’(大正時代), ‘쇼와시대’(昭和時代)의 사상적 흐름이 어떻게 달랐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그 강압의 시대에 한국 지식인들의 고뇌와 사상적 대응이 어떠했는지도 알게 되었다. 해위와 결혼을 하고 시대에 저항을 하며 공덕귀의 사상이 더욱 확장되었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곧 영적구원과 사회구원에 머물러 있던 신학사상의 폭이 국가구원의 영역과 기독교민주주의 의식까지 넓혀진 것을 확인한 것이다. 

 

공덕귀의 고백처럼 그 활동은 영부인의 자리에서 내려오면서 빛이 났다. 안동교회의 여전도회에만 머물지 않았고 그 영역을 예장 여전도회 서울연합회, 한국교회여성연합회 등으로 넓혔다. 도시산업선교회와 관계를 맺었고 산업선교 현장을 찾아다녔다. 여성 노동자 생존권 투쟁 지원, 빈민선교 지원 운동, 기생관광 반대 운동 등에 나섰고 원폭 피해자 돕기 운동을 비롯해 재일?재미교포를 위한 민족차별 저항운동 등에도 적극 힘을 썼다. 

노동자들에 관한 관심이 “빨갱이 짓”으로 비치던 그때, 공덕귀는 “사회적 약자를 누가 보호할 것인가”라는 물음에, “기독자가 아니면 안 된다”고 응답했다. 그리고 모두가 애써 외면하던 문제에 서슴없이 나섰다. 민청학련사건에 연루되어 구속자 가족들을 위해 ‘구속자가족협의회’를 만들고 ‘목요기도회’도 주도했다. 유신정부가 저지르는 만행을 과감히 고발했고 구속자 석방을 앞장서서 부르짖었다. ‘양심범’ 가족들의 우산 역할을 했고 보호자가 되었으며 함께했다.

 

집필을 통해 공덕귀의 삶을 움직였던 것은 ‘기독교 신앙’과 ‘신학’이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관통하는 주제가 영혼구원이라는, 영적 영역의 바탕 아래 이루어지는, 이 땅에서도 이루어져야 하는 ‘하나님의 나라’였다는 것도 확인했다. 공덕귀는 이런 신학적 에너지를 가지고 여성운동, 인권운동, 민주화운동에 나선 것이고 불의한 시대에 저항을 할 수 있었다. 

 

그동안 여러 책을 집필했지만, 이번 책에서도 쉽지 않다는 독백을 했다. 쉬운 집필은 없는 것이다. 아울러 신앙의 거목을 조명하는 일이 한 사람의 의견이나 일방적 접근만으로 완전히 충족될 수 없다는 고백을 하지 않을 수 없다. 한국교회사를 전공한 신학자요 역사가이기는 하지만, 한 사람의 해석으로 공덕귀를 완전히 판독할 수는 없다. 앞으로 많은 학자가 다양한 시각에서 더욱 광활히 연구하고, 그래서 공덕귀의 생애와 사상의 폭이 넓혀지기를 기대한다.


이 책에 전념할 수 있도록 여러 지원을 아끼지 않으셨던 해위 윤보선 대통령의 장남이신 안동교회의 윤상구 장로님께 감사한다. 기도해주시고 격려를 아끼지 않으신 한국영성협회 이규학 감독님과 일본의 자료를 열심히 찾아 준 일본 영광교회(?光??) 소대섭 목사님께 고마움을 표한다. 깊은 학문적 성찰로 격려해주신 윤보선민주주의연구원의 김학준 초대 원장님, 그리고 김용호 원장님과 박찬욱 교수님 등 운영위원들께도 감사를 드린다. 

집필 장소를 배려해 주신 서울YMCA 김인복 이사장님과 조규태 회장님께도 감사를 드리지 않을 수 없다. 함재봉 박사를 비롯한 서울YMCA 서평모임의 연구위원들의 학문적 제안은 이 책을 집필하는 데 적지 않은 도움이 되었다. 공덕귀 여사의 교회학교 제자로, 얼마전 소천하신 신당중앙교회 원로목사셨던 허재철 목사님은 김천 황금동교회시절을 소상히 알려주셨다. 자료수집과 학문적 의견을 해 준 김정회 박사와 김석수 박사, 교정을 맡아주신 김일환 박사, 서울장신대 박사과정에 있는 이동일 목사와 이준구 목사, 박현준 목사 등 제자들께도 감사를 전한다. 이 책의 출간을 허락해 주신 박영사 안종만 회장님께도 인사를 드린다. 끝으로, 가장 고마움을 표해야 하는 사람은 아내이다. 지금의 나의 모습과 위치에 이르기까지 묵묵히 내조해주었다. 


2022년 11월

서울YMCA 월남(月南)시민문화연구소에서

정우(丁于) 김명구(金明九)


김명구

김명구 교수는 2003년, 연세대학교에서 신학박사(Ph.D) 학위를 취득했고 서울장신대와 연세대학교 이승만연구원 교수였다. 감리교회 목사로 창천교회 소속이기도 하다. 현재 서울YMCA병설 월남시민문화연구소 소장, 해위민주주의연구원과 종로목요서평 운영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월남 이상재의 기독교 사회운동과 사상>을 시작으로, <서울장신 50년사>, <창천교회 100년사>(공저), <해위 윤보선-생애와 사상>, <서울YMCA운동사 100-110>,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100년사>(공저), <복음, 성령, 교회-재한선교사들 연구>, <한국기독교사 1>, <한국기독교사 2> 등 공저와 번역서를 포함해 20여 편의 책을 썼다.

여러 중요한 논문을 발표했고, 2011년에 저술한 <해위 윤보선-생애와 사상>은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역사부분)에 선정되었다. 영국 에든버러대학(University of Edinburgh)은 2013년 그의 영어 논문 Nationalism, Religion and  Democracy를 책으로 발간했다. 2019년 6월에는 에든버러대학 저널(University of Edinburgh Journal, No.1 Vol.49-Summer 2019)에 그의 논문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Edinburgh with a focus on Yun Posun이 등재되었다.


공덕귀 평전, <공덕귀, 생애와 사상> 발문 i

서  문 v


PART 01 삶의 전반

-신학도가 되기까지-

01고향 통영 3

1. 경제적 상황 3

2. 정치․문화적 상황-저항과 자긍심의 고장 6

3. 일제 저항의 배경 9

02아버지 공도빈(孔道彬) 13

03호주장로교회의 통영 선교 19

1. 호주장로교회 한국 선교 19

2. 호주장로교회 한국선교, 그 신학과 정책-영적 복음과기독교 이데올로기의 전파 24

3. 대화정교회(충무교회)와 어머니방권악(방말선, 공마리아) 29

04탄생과 어린 시절: 막연한 저항 의식 41

05일신여학교 진학: 신앙과 역사의 합치 의식 배태 47

1. 인도선교사를 꿈꾸다 47

2. 공덕귀와 일신여학교 52

06송창근과의 만남, 그리고 부름(calling): 신앙의 영역과역사적 사명의 합치 의식 63

07유학을 가기까지 69

08일본 요코하마 교리츠여자신학교(共立女子神学校) 유학 과정 73

09공덕귀 시대의 일본 신학의 특성: 천황제와의 관계 77

1. 메이지시대(明治時代) 77

2. 다이쇼(大正)시대의 흐름 84

10공덕귀와 교리츠여자신학교(共立女子神學校) 103

1. 교리츠여자신학교설립의 기원 103

2. 요코하마 교리츠여자신학교 시절의 공덕귀-구령(救靈)의 기독교와 사회적 기독교의 합치 107

11김천 황금동교회 전도사 공덕귀 117

1. 황금동교회에서의 전도사 사역 117

2. 일제(日帝)의 핍박 123

3. 해방-감격과 왜곡 127

12공덕귀와 조선신학교 133


PART 02 정치인의 아내

-국가구원 의식의 이입(移入), 사명의 변화-

01덕수교회 전도사 145

02결혼과정 153

03윤보선 가문, 안동교회 그리고 윤보선 159

1. 윤보선 가문 159

2. 안동교회-국가구원 전통의 교회 165

3. 남편 윤보선-인간화의 일치 168

04안국동의 종부(宗婦)와 고위 관료의 아내: 정치 영향력에 대한 각성 175

056.25 전쟁 181

1. 공덕귀의 6.25 181

2. 대한적십자 총재 윤보선의 공헌과 이승만과의 결별 187

06영부인이 되기까지 193

07청와대 시절 199

08민주당 구파와 신파의 대립 207

095.16 군사정변과 하야(下野) 215

10윤보선에 대한 박정희의 두려움 221

1. 선거 상황 221

2. 갈등의 정치사상적 이유, 그리고 공덕귀 사상의 합류 225

11한일수교 반대운동: 정계와 교계의 가교 235

12염광회(鹽光會)의 발족 245


PART 03 신학도의 귀환, 신학적 정체성의 확인

01안동교회 여전도회장 공덕귀: 안동교회 설립 정체성복원 제안 253

02예장과 기장 분열의 여파 259

03여전도회 사명의 확장 265

04예장(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서울노회 여전도회연합회회장 공덕귀 271

05‘한국교회여성연합회’와의 연결: 신학적 저항의 도구 279

06매춘관광 반대 운동 285

07한국인 원폭 피해자에 대한 문제 제기: 민족애(民族愛)의확장 295


PART 04 민주화운동의 대모

01공덕귀 저항의 시대적 상황: 유신시대 309

1. 기독교계의 저항 311

2. 민주청년학생총연맹(민청학련) 사건 317

3. ‘명동사건’과 유신의 종말 322

02언론자유회복 운동의 지원: 그 한계 327

03세계 기독교와의 협력 견인 335

04구속자가족협의회 회장: 인권과 민주화의 문제 341

05총무 김한림 355

06남영나일론, 동일방적, YH사태: 인권과 생존권의 문제 361

1. 남영나일론사건 364

2. 방림방적임금체불사건과 동일방직사건 368

3. YH사태 375

4. 산업선교에 나타난 공덕귀의 신학 380

07신군부의 등장과 권력 장악: 갈등과 분리 385

08YWCA 위장 결혼식 사건: 윤보선과의 간극 조짐 391

09윤보선과 전두환 신군부, 그리고 공덕귀 399

1. 전두환의 회유, 그리고 안보와 반공의 문제 399

2. 윤보선과 공덕귀의 갈등과 사상적 분리 405

10윤보선과 공덕귀 정치사상: 기독교민족주의와기독교민주주의 409

1. 윤보선의 기독교민족주의 의식 410

2. 공덕귀의 기독교민주주의 의식 414


PART 05 삶의 종반

-삶을 정리하며-

01해위와의 미국과 유럽여행 423

02한국기독교1백주년기념사업과 신학적 상황 429

03한국기독교1백주년기념사업협의회 여성분과위원회 위원장공덕귀 437

1. 그 시작과 준비 437

2. 지역 여성대회 440

3. ‘통일을 위한 어머니의 금식기도회’-공덕귀의 통일관 443

4. 한국기독교100주년기념여성대회의 준비와 전개 448

5. <한국기독교 여성100년사> 편찬 사업과 종무예배 453

04해위 윤보선의 소천(召天) 459

05박순경 교수 사건 467

1. 박순경의 구속과 사상의 지향점 467

2. 박순경 통일운동의 사상적 근거와 공덕귀 472

06정리 481

1. 성지순례 481

2. 하와이 교회 복원운동 참여-윤보선과 이승만과의 관계복원 484

3. 자서전 출간 487


책을 나가며 491


참고문헌 497


찾아보기 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