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닫기
김정환의 민족과 종교와 교육
신간
김정환의 민족과 종교와 교육
저자
김정환 저, 우정길 편저
역자
-
분야
교육학
출판사
박영스토리
발행일
2021.10.09
개정 출간예정일
페이지
300P
판형
신A5판
ISBN
979-11-6519-178-8
부가기호
93370
강의자료다운
-
정가
19,000원

초판2쇄발행 2022.10.20

초판발행 2021.10.09


김정환(1930-2019)은 ‘인간주의 교육사상’을 구상하고 체계화하여 제안한 교육철학자이며, 아울러 자신의 이러한 교육학적 사유가 이 땅의 교사들에게 가닿아 ‘인간화 교육, 교육의 인간화’라는 열매를 맺도록 혼신의 노력을 기울인, 수많은 교사들의 스승이기도 하다. ‘인간주의 교육사상’으로 불리우는 그의 교육적 사유의 형성 과정과 그 의미에 관하여는 한 편의 논문(우정길, 2020. 이 책의 부록 참조)이, 그리고 그의 학자적 삶과 사제동행(師弟同行)의 아름다운 문화에 대하여는 <김정환 선생님 추모학술제 자료집>(고려대 교육사철학회·안암교육학회, 2020)이 길라잡이가 되겠거니와, 그의 목소리를 더욱 직접적으로 듣고자 한다면 총 30여 권에 달하는 그의 저서와 역서 그리고 총 40여 편에 달하는 그의 논문을 열어 보기를 권하는 바이다. 그의 어느 저서를 펼치더라도 ‘인간주의 교육사상’이라는 단단하고 온화한 대지를 경험하게 될 것이며, 그의 어떤 글을 읽더라도 ‘인간화 교육, 교육의 인간화’를 향한 그의 경건한 진심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그의 글은 언제나 반듯하고, 열정으로 가득하며, 생기가 넘친다. 아울러 그만의 아름다운 문체는 마치 육성(肉聲)을 재현한 것 같은 특별한 체험을 선사하기에, 그 울림이 깊고 오래간다.
이 책은 교육철학자 김정환의 방대한 연구 중 20세기 전반(前半)의 대한민국을 살고 사유하며 실천하였던 4인의 교육사상가들에 대한 11편의 연구논문을 선별하여 묶은 논문집이다. 이들 4인이란 외솔 최현배, 도산 안창호, 김교신, 함석헌으로서, 김정환은 이들 각각의 교육사상을 ‘겨레얼 일깨움의 한글교육론’, ‘주인의식 각성교육론’, ‘섭리적 민족지리관에 근거한 민족적 자아발견 교육론’, ‘섭리적 민족사관과 씨ㅇㆍㄹ사상에 근거한 인격혁명론’으로 명명하고, 그 세부적 체계들을 정리하였다. 아울러 이들을 엮어서 민족교육론이라는 상위 개념으로 승화시켜 내었고, 이것을 다시 자신의 ‘인간주의 교육사상’의 중요한 기둥의 하나로 세우는 데까지 나아간다. 이 책에 실린 11편의 논문들은 그 내용과 여정을 담은 30년간의 보고서이자 ‘인간주의 교육사상’의 주춧돌들이라 할 수 있다. 이 연구들의 연구사적 의의와 교육학적 의미 그리고 교수적 활용에 관한 상세한 해설은 이 책의 “서문 ? <김정환의 민족과 종교와 교육>에 대하여”에 제공되어 있으니 필요에 따라 참조하시기를 바라거니와, 더욱 직접적 음미를 위하여는 이 책에 실린 김정환의 글들을 탐독해 보시기를 권한다.
이 책의 기획은 편저자의 책장에 오랫동안 꽂혀 있었던 한 권의 미간행 강의록 사본이 계기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 책의 서문에서도 언급하게 될 이 미간행 강의록에는 “敎育思想家論(講義錄). 金丁煥 1993”이라는 제목이 붙여져 있으며, 그 안에는 그가 존경의 마음으로 탐구하였던 교육사상가들에 관한 옥고들이 수록되어 있다. 이 연구들의 내적 체계와 연구사적 의의를 편저자가 집중하여 재음미하게 된 것은 2019년에 들어서이다. 2019년은 3·1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수립 100주년을 기념하는 해이자, 그 교육학적 의의를 탐구하기 위하여 김정환이 회장을 역임(1981-1982)한 바 있는 한국교육철학학회가 “일제강점기, 저항과 계몽의 교육사상가들”이라는 주제로 연차학술대회를 개최한 해이며, 동시에 김정환이 하늘의 부름을 받고 가족 친지와 제자들에게 작별을 고한 해이기도 하다.
이렇게 기념의 은유들과 상실의 슬픔이 포개어지던 그해 내내, 편저자는 그의 오래된 강의록을 책상 맡에 두고서, 대면하여 뵌 적은 없으나 문헌을 통해 이미 친숙하였던 스승의 ‘교육사상가론’을 그의 논고들을 통하여 수강하게 된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민족과 종교와 교육에 대한, 혹은 민족교육과 종교교육의 통합적 사유에 대한 그의 열정 어린 안내와 엄밀한 가르침이었다. 이 강의로부터 얻은 영감과 가르침은, 공적 영역에서는 2019년 한국교육철학학회의 연차학술대회의 기획 전반에 걸쳐 소중한 나침반이 되어 주었고, 개인적 차원에서는 “일제강점기 한국 교육사상가에 대한 연구현황 고찰”(2019)과 “김정환의 ‘인간주의 교육사상’의 형성과 의미에 관한 고찰”(2020)이라는 연구의 친절한 길라잡이가 되어 주었다.
이제 지면을 빌려, 그의 선구적 연구들에 대하여 그리고 그가 강의록의 행간에서 보여준 인간에 대한 깊은 애정과 교육을 향한 열정에 대하여 존경과 감사의 마음을 표하고자 한다. 아울러 이 책에 실린 글들을 통해 그가 즐겨 불렀던 ‘민족과 종교와 교육의 노래들’이 오늘날 인간의 교육을 고민하는 모든 교육인들의 사유와 실천 속에서 메아리치기를 진심으로 소망한다.
이 책의 기획 단계에서 조언해 주신 강선보 교수님, 그리고 출판에 흔쾌히 동의해 주신 유족 대표 김제완 교수님께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또한 오래된 원고들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도움을 주신 분들께도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마지막으로 이 책의 저자인 김정환 교수님과의 오랜 출판의 인연을 여전히 소중히 여겨 주신 박영사 안상준 대표님께도 감사의 뜻을 표한다.
 
2021년 가을
편저자 우정길

저자  김정환(金丁煥. 1930-2019)
고려대학교 교수 및 명예교수(1970-2019). 고려대학교 사범대 학장 역임. 스위스 취리히대학 교육학부 객원교수 역임. 한국교육학회 교육철학분과회 회장 역임. 일본 히로시마대학교 교육학박사(1970).

<저서> <페스탈로찌의 생애와 사상>(1974). <김교신>(1980). <전인교육론󰡕(1982. 한국교육학회 학술상). <현대의 비판적 교육이론>(1988). <인간화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1995). <페스탈로치의 교육철학>(1995). <한국교육 이야기 백 가지>(2007). <백조의 노래> (2011). <전인교육의 이념과 방법>(2014) 외 다수.
<역서> <인간주의 교육학>(1985). <페스탈로치가 어머니들에게 보내는 편지>(1989). <몬테소리, 유아교육 첫걸음>(1992). <페스탈로찌의 숨은이의 저녁노을>(2000) 외 다수.


편저자  우정길(禹貞吉)
독일 Justus-Liebig-Univ. Giessen(Dr. Phil.). 독일 Justus-Liebig-Univ. Giessen 전임연구강사(Wiss. Mitarbeiter) 및 강의전임(LfbA) 역임. 현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

<저서> Handbuch der Erziehungswissenschaft(2007, 공저). Lehren und Lernen mit Bildern(2010, 공저). Lernen und Kultur(2010, 공저). <포스트휴머니즘과 인간의 교육>(2019. 세종우수도서). <비판적 실천을 위한 교육학>(2019, 공저. 세종우수도서). Confucian Perspectives on Learning and Self-Transformation(2020, 공저). <일제강점기, 저항과 계몽의 교육사상가들>(2020, 공저). <한나 아렌트와 교육의 지평>(2020, 공저. 대한민국학술원 우수도서). <포스트휴머니즘과 교육학>(2021, 편저)
<역서> <마틴 부버의 교육강연집>(2010)

I. 서문 <김정환의 민족과 종교와 교육>에 대하여(우정길) 1

II. “백조, 민족과 종교와 교육을 노래하다”(김정환) 17
1. 외솔 선생의 민족적 교육학(1973)  21
2. 김교신의 교사로서의 특질 분석(1974)  41
3. 김교신의 민족정신사적 유산 – <성서조선>의 일기를 중심으로 – (1976)  61
4. 도산(島山) 교육사상의 발전적 계승책(1986)  97
5. 최현배의 교육사상 연구(1988)  137
6. 김교신(Ⅰ) – 민족에 대한 그리스도교적 사랑(1989)  173
7. 김교신(Ⅱ) – 민족에 대한 그리스도교적 사랑(1989)  185
8. 함석헌(1991)  197
9. 외솔 교육사상의 틀 분석(1995)  209
10. 외솔 교육사상 분석(1997)  217
11. 김교신 – 민족적 기독교를 통한 종교입국 주창자(2002)  235

III. 부록 김정환의 “인간주의 교육사상”의 형성과 의미에 관하여(우정길) 249

찾아보기  2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