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닫기
직업능력 개발 훈련평가
신간
직업능력 개발 훈련평가
저자
이진구
역자
-
분야
교육학
출판사
박영스토리
발행일
2020.02.05
개정 출간예정일
페이지
352P
판형
크라운판
ISBN
979‒11‒6519‒047‒7
부가기호
93370
강의자료다운
-
정가
19,000원

중판 2022.03.10

중판 2021.02.23

초판 2020.02.05


일반적인 직업에서 직무수행에 필요한 능력을 갖추기 위하여 실시하는 훈련인 직업능력개발 훈련은 재직자와 실업자가 주 대상이다. 정부는 고용률을 높이고 기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매년 적지 않은 예산을 이러한 직업능력개발 훈련에 투자하고 있다. 그러나 직업능력개발 훈련을 실시하는 주체인 직업훈련기관이나 이를 지원하는 정부 기관에서 직업능력개발 훈련의 성과를 체계적으로 평가하는 것은 항상 어려운 과제 중의 하나였다. 또한, 많은 훈련기관의 기관장님이나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를 만나면서 훈련 평가를 어떻게 실시해야 하는지에 대한 질문들을 받을 때마다, 좀 더 이론적으로 평가를 소개하면서도 실무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교재의 필요성을 느껴왔다. 직업능력개발 훈련 평가는 훈련 이해관계자들과 훈련에 대한 성과를 확인하고 훈련프로그램의 잘된 점과 부족한 점을 파악하여, 다음 훈련프로그램에 대한 개선점을 찾는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특히, NCS를 기반으로 한 역량평가를 통해 훈련생에 대한 직접적인 훈련 성과를 파악하기 위해서도 직업능력개발 훈련 평가는 체계적으로 실시될 필요가 있다.
그동안 직접적으로 직업능력개발 훈련을 제공하는 훈련기관이나 훈련교사의 입장에서 직업능력개발 훈련의 평가를 어떻게 실시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이론적, 실무적인 가이드를 해 줄 수 있는 안내서는 많지 않았다. 본서는 이러한 필요성에 기반을 두어 잠재적인 직업능력개발 훈련교사, 현재 직업능력개발 훈련 기관에서 근무하는 다양한 종사자, 또는 직업능력개발 훈련 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하는 행정가 등이 상시적으로 두고 참고할 수 있기를 바라는 목적으로 준비되었다.


본서는 크게 3부로 구성하였다. 1부 ‘직업능력개발 훈련 평가와 직업능력개발 평가제도’에서는 직업능력개발 훈련 평가에 대한 이해와 직업능력개발 정책과 연관된 직업능력개발 평가제도를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직업능력개발 훈련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본적인 평가모형에 대해 소개하여 직업능력개발 훈련 평가에 관한 기본적인 이론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2부 ‘직업능력개발 훈련프로그램 평가’에서는 훈련기관에서 실시하는 훈련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고, 해당 모델에 따른 훈련프로그램 평가를 실시하는 구체적인 평가방법을 소개하였다. 특히, 훈련기관에서 직접적으로 훈련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하는 훈련교사나 행정가가 쉽게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하였다. 3부 ‘직업능력개발 훈련 역량평가’에서는 NCS 역량평가 근거하여 훈련생의 역량을 평가하는 다양한 평가방법을 역량평가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설명하였다. 3부의 내용은 현재 직업능력개발훈련기관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방법으로 잠재적인 훈련교사나 현역 훈련교사가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평가방법과 예시를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직업능력개발 훈련 평가에 대한 기초 이론, 훈련프로그램 평가에 대한 이론 및 사례, 역량평가에 대한 이론 및 사례 등 직업능력개발 훈련 상황에서 필요한 핵심적인 평가 이론과 방법을 담고자 노력하였다.
본서가 나오는 데 있어서 실질적으로 많은 도움을 주신 박영스토리에 감사드린다. 특히, 책이 나오기까지 인내심을 갖고 기다려준 안상준 대표님과 이선경 차장님, 그리고 꼼꼼하게 편집해주신 조보나 대리님의 수고에 깊이 감사드린다. 본 책은 몇 년간에 걸친 연구의 산물이기도 하다. 한국기술교육대학교 HRD센터의 2015년 ‘NCS에 기반한 교사용 역량평가 매뉴얼 개발 연구’를 통해 본서의 초석을 잡게 도와준 학문적 동지인 박용호 교수님, 박소연 교수님에게 감사드린다. 두 분의 교수님 덕분에 역량평가에 대한 연구를 재미있게 시작할 수 있었다. 2016년 ‘직무능력평가사 양성 프로그램 연구’에서 역량평가에 관한 실무적인 내용들을 훈련프로그램으로 개발하는 데 직접적인 도움을 준 김윤호 박사님, 신현봉, 정일찬, 최현숙, 김지영, 우혜정 선생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그리고 이 책을 만드는 데 있어 직접적으로 많은 도움을 준 든든한 박사과정 제자들인 정일찬, 정홍전, 오인용 선생님께 특별한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마지막으로 항상 묵묵히 참아주고 응원해주는 가족들에게도 사랑과 감사를 보낸다.


2020년 3월 산학협력관 연구실에서
이진구


저자약력


이진구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졸업
펜실베니아 주립대학교 HRD/OD 전공 박사
前) 삼성카드 인력개발팀 근무
前) KT&G 인사혁신팀/인재개발원 근무
現)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교수


1부 직업능력개발 훈련 평가와 직업능력개발 평가제도


제1장
직업능력개발 훈련과 평가 3
 
01 직업능력개발의 이해 5
02 직업능력개발 사업 체계 7
03 직업능력개발 평가의 이해 13
04 활동지: 직업능력개발과 평가 21

제2장
국가직무능력표준(NCS) 및 직업능력개발 평가제도 23
 
01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이해 25
02 직업능력개발 평가제도 36
03 과정평가형 자격제도 42
04 일학습병행제 학습근로자 역량평가 45
05 활동지: 직업능력개발 평가의 종류  50

제3장
직업능력개발 훈련 평가모형 55
 
01 평가의 접근 모형 57
02 결과중심 평가모형 59
03 과정중심 평가모형 66
04 통합적 평가모형 73
05 활동지: 직업능력개발훈련프로그램 평가의 이론 79


2부 직업능력개발 훈련프로그램 평가


제4장
직업능력개발 훈련프로그램 평가모델 및 평가 핵심 요소 83
 
01 훈련프로그램 평가모델 85
02 훈련프로그램 평가의 핵심 요소 87
03 훈련프로그램 평가절차 88
04 훈련프로그램 평가영역 93
05 훈련프로그램 평가계획 94
06 훈련프로그램 평가도구 96
07 활동지: 훈련프로그램평가의 절차 103

제5장
직업능력개발 훈련프로그램 도구개발: 훈련만족도 평가 105
 
01 훈련만족도 평가의 개요 107
02 훈련만족도 평가지표 및 예시 110
03 훈련만족도 평가도구개발 113
04 훈련만족도 평가자료 수집 및 분석 123
05 활동지: 훈련프로그램 평가도구개발-만족도 평가 131

제6장
훈련 평가도구개발: 훈련성취도 평가 137
 
01 훈련성취도 평가 139
02 훈련성취도 평가의 설계 143
02 훈련성취도 평가도구개발 145
04 훈련성취도 평가결과 분석 165
05 활동지: 훈련프로그램 평가도구개발-성취도 평가 171


3부 직업능력개발 훈련 역량평가


제7장
역량평가의 이해 및 프로세스  175
 
01 역량의 이해 177
02 역량평가의 이해 180
03 역량평가 프로세스 190
04 활동지: 역량평가 및 NCS 이해 197

제8장
역량평가계획수립 199
 
01 NCS기반 훈련과정 교과목 내용 분석 201
02 역량평가 범위 선정 209
03 역량평가방법 선정 215
04 역량평가 증거자료 선정 217
05 활동지: 역량평가계획수립 221

제9장
역량평가 도구설계 및 개발1-인지 평가 중심 223
 
01 역량평가 도구설계  225
02 서술형 시험 / 논술형 시험 227
03 기타형 231
04 평가자 질문 235
05 구두발표 238
06 문제해결 시나리오 241
07 사례연구 244
08 평가문항 개발 시 유의사항 246
09 활동지: 역량평가 도구설계 및 개발1 249

제10장
역량평가 도구설계 및 개발2-실기 평가 중심 251
 
01 포트폴리오 253
02 일지 / 저널 257
03 역할연기(role playing) 259
04 작업장 평가 261
05 평가자 체크리스트 / 피평가자 체크리스트 263
06 활동지: 역량평가 도구설계 및 개발2 271

제11장
역량평가도구세트 및 평가기준 273
 
01 역량평가도구세트 275
02 평가기준 281
03 루브릭(rubric) 285
04 채점방식 288
05 활동지: 평가기준 292

제12장
역량평가의 실행 및 타당성 검토 293
 
01 역량평가 실행의 절차 295
02 타당성 검토 314
03 활동지: 역량평가의 실행 및 타당성 검토 318

제13장
직업능력개발 훈련 평가자 역할과 해외 역량평가자 양성 사례 321
 
01 직업능력개발 훈련 평가자의 역할 323
02 해외 역량평가사 양성교육 사례 334


참고문헌 3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