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닫기
정부와 기업의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
정부와 기업의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
저자
이연
역자
-
분야
사회학/미디어/언론
출판사
박영사
발행일
2010.08.30
개정 출간예정일
페이지
399P
판형
크라운판
ISBN
978-89-6454-079-4
부가기호
강의자료다운
-
정가
27,000원
초판 2010. 8. 30.



2010년은 1월 4일 새해 벽두부터 함박눈이 폭설로 변하여 수도권이 온통 교통마비로 아수라장이 되었다. 어떤 기업인은 자동차에서 6시간이나 갇혀 시무식에 참석하지 못해 결국 차안에서 핸드폰으로 직원들에게 신년 인사를 하기도 했다. 또한, 연초부터 전국적으로 지진이 잦아지기 시작하더니, 마침내는 수도권인 경기도 시흥시에서 진도 3의 지진이 일어나 우리 국민들이 놀란 가슴을 쓸어내리기도 했다. 그렇잖아도 아이티 지진이나 칠레, 중국, 타이완 등의 대지진으로 세계의 지구촌이 지진 공포로 떨고 있던 터라, 그 충격은 더욱 컸다. 게다가 지난 4월에는 ‘천안함’의 침몰로, 46명의 장병들이 희생당하여 남북 간은 일촉즉발의 전쟁위기로까지 치닫기도 했다.

독일의 사회학자 울리히 벡(Ulrich Beck)이 현대 사회를 “위험 사회(Risk Society)”라고 규정할 정도로 우리 사회는 대형 재해와 재난이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다. 미국은 지난 2001년 9ㆍ11 테러 이후 국토안보성을 신설하는 한편, 재난관리청(FEMA)의 기능을 대폭 강화한 바 있다. 그러나 미국 경제는 2008년부터 불어닥친 서브 프라임 모기지 사건(Sub Prime Mortgage)으로 금융위기를 맞는가 하면, 세계 경제를 온통 위기 속으로 몰아넣기도 했다. 마침내는 유럽경제도 뒤흔들리고, 그리스 재정도 파탄나게 되었다. 그러자 그리스 총리 게오르게 파판드레우(George Papandreou)는 5월 16일(현지시간) 한 방송을 통해 유로존의 경제 파탄에 원인을 제공한 미국의 투자은행들에 대해 조사하겠다고 선언하기도 했다.

한편 우리나라도 지난 1998년 IMF 금융위기를 맞았으나, 이후 “금모으기 운동” 등으로 허리띠를 졸라매면서 이를 극복한 바 있다. 이것이 예방주사가 되었는지, 미국의 모기지 사건은 우리 경제를 치명적 위기로 몰아넣지는 못했다. 의외로 이러한 경제위기 속에서도 우리 정부와 기업은 발 빠른 외환 대책으로 선방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다른 한 편으로, 삼풍백화점 붕괴사건이나 성수대교 붕괴사건, 2003년 대구 지하철 가스폭발사고 등 대형 재해ㆍ재난의 다발로 ‘사고 공화국’의 오명으로 얼룩져 있기도 했다. 이와 같은 오명이 채 가시기 전에, 또 다시 2007년 12월 태안의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 사고”, 2008년 1월 “이천 냉동창고 화재 참사”, 같은 해 2월의 국보 1호 “숭례문 방화사건”, 4월의 “김제 AI발생” 등의 대형 재난이 연이어 터지기도 했다. 또한, 2009년에는 “신종 인플루엔자” 확산으로 온 국민이 감염 공포로 불안에 떨기도 했다. 이는 당국의 준비 부족에서 초래된 것으로, 국가적인 위기 상황에서 신속하고 기민한 대응책을 내놓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게다가 당국은 지진이나 천안함 참사에서도 속수무책인 모습을 드러내어, 온 국민은 위기관리 무방비상태에서 불안감을 감추지 못했다.

앞에서 언급한 천안함 참사에서 동료를 구출하기 위해 차디찬 바닷물 속에 목숨 걸고 뛰어든 한준호 원사에서부터, 구조 부탁을 받고 기꺼이 출동한 98금양호 선원들에 이르기까지, 장렬히 사망한 희생자들은 국가 위기 극복에 살신성인으로 기여한 사람들이었다. 자식의 시신 앞에서 통곡하는 어머니, 아빠의 죽음에도 해맑게 뛰노는 어린아이의 모습을 보면서, 나도 모르게 눈시울이 뜨거워졌다. 왜 우리는 위기관리에 소홀했는가? 언제까지 이런 원시적인 방법으로 대응하여 참사가 반복되어야 정신을 차리겠는가? 중동이나 외국 건설 현장에서 땀 흘려 벌어들인 달러를 순간의 부주의로 수천억 원씩 날려버린 위기관리 시스템이 원통하고 한스럽다. 왜 우리는 G20 의장국에 걸 맞는 선진국형 위기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지 못할까 라는, 항상 안타까운 마음에서 이 책을 집필하게 되었다.

우리나라도 청와대나 국무총리실, 방송통신위원회, 행정안전부, 국방부, 보건복지가족부, 국토해양부, 소방방재청, 기상청 등을 중심으로 국가위기나 재난 발생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고는 있으나, 재난정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분석ㆍ전달하는 시스템은 미비한 상태다. 게다가 각종 재난정보 전달 시스템에 대한 ‘가이드라인이나 매뉴얼’, 그리고 재난정보 컨텐츠에 이르기까지, 아직 개선해야 할 점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2009년 신종플루 사태의 경우에서도 효과적인 재난정보 시스템의 미비로 국민들은 6개월 가까이 불안해하기도 했지 않은가? 또한, 작년 임진강 참사의 경우도 재난정보 전달 시스템의 문제로 피해가 훨씬 더 커지기도 했다. 이번 ‘천안함 참사’와 같은 일련의 재난 사건들이, 국가적인 ‘위기관리 컨트롤 타워’가 얼마나 중요한가를 새삼 깨닫게 해 주었다. 참사 초기부터 정부가 효과적으로 재난에 대응하지 못해, 정부 발표에 혼선이 있었는가 하면 각종 추측이나 설만 난무하여 유언비어가 양산되기도 했다. 대형 재난 발생시 가장 중요한 것은 한 목소리(One Voice)로 국민들이 정부 당국을 전적으로 믿고 따르게 하는 것이다. 즉, 정부의 발표를 절대적으로 믿게 해야 하는 것이다.

한편, 우리나라는 러시아ㆍ중국ㆍ일본ㆍ북한ㆍ미국 등 초강력 국가들의 이해관계가 얽혀 있는 특수한 지정학적인 지역 환경에 놓여 있다. 더욱이 북한이 2차 핵실험을 할 정도로 휴전선을 중심으로 심각한 대결구도가 벌어지고 있다. 국가안보 개념도 통상 탈냉전 이전까지는 전쟁 억제를 위한 군사적 위기관리체제였다면, 9ㆍ11테러 사태를 겪으면서 전시 또는 평시 구분 없이 군사적ㆍ비군사적 안보 위기에 동시에 대처하지 않으면 안 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지진이나 풍수해 및 각종 인재 등의 인간의 생명을 위협하는 사건들이 빈번하게 일어나자, 안보의 개념도 미국과 같이 포괄적으로 바뀌면서 군사적 위기관리 외에도 정치ㆍ경제ㆍ사회ㆍ문화ㆍ환경ㆍ종교 등 비군사적인 산업 분야에까지 위기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최근 지역이나 이념, 계층 등에서는 심각한 수준의 ‘사회갈등’ 현상을 겪고 있다. 이러한 사회갈등 현상은 2004년 3월 12일 노무현 대통령의 국회 탄핵(제16대) 결의를 계기로 우리 사회에 분출하기 시작했다. 이는 2008년 5월 미국산 광우병 쇠고기 파동 등으로 인한 촛불집회, 2009년 5월 23일 노무현 전 대통령의 조문 정국 등을 둘러싸고 절정을 이루었고, 우리 사회 내의 계층이나 이념 갈등의 위험성을 적나라하게 보여 주었다. 실제로 한국의 사회갈등 지수는 OECD 회원국 중 제4위로 최상위권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우리나라는 사회 갈등 위기로 인해 1인당 GDP의 27%가 소모된다고 하니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마지막으로 국가위기 관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소통의 커뮤니케이션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는 점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2008년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와 광우병 파동 등에서도 국민들의 지역 간ㆍ계층 간 소통의 부재가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에 문제를 초래하였다. 국가위기 발생 시에는 정확한 정보가 신속하게 전달되어야 하고, 전달된 메시지는 신뢰성을 갖추어야 한다. 더욱이 유언비어나 허위보도는 위기관리 수습에 있어서 최대의 금기로 여겨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실은 소통의 부재로 인한 불신과 반목, 대립으로 얼룩져 있어, 갈등 관리에 대한 지출이 수조원에 이르고 있다. 따라서 정부는 청와대를 중심으로 국가위기와 재난을 총괄하는 ‘위기관리 컨트롤 타워’를 설치해 이를 제도적인 시스템으로 해결해야 한다.

또 한 가지는 우리나라도 이제 연간 2조원 대에 달하는 재난피해를 줄이기 위해서 하루속히 선진형 ‘재난정보미디어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국가적으로 시급한 과제라고 생각된다. 실제로 지난 1월 4일 ‘서울 경기지역의 폭설정보’나 ‘숭례문 방화사건’, ‘태안의 기름유출사고’ 등 최근 대형재난이 일어날 때마다 많은 피해가 발생되고 있으며, 이런 대형재난의 경우, 재난정보 전달시스템의 문제로 피해가 훨씬 더 커지기도 했다.

재난방송 주관사인 KBS는 물론이고 기존의 미디어인 지상파방송, 위성방송, 케이블방송과 뉴미디어로 부각된 DMB, IPTV, 와이브로, 3세대 이동통신, 트위터에 이르기까지 미디어는 신속한 재난정보 전달에 최선을 다해야 할 책무가 있다. 신문이나 잡지, 인쇄매체까지도 방재기관으로서 미디어의 사명을 다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이를 전달할 효과적인 체계, 콘텐츠, 전문성 부족과 제도의 미비 등으로 해마다 막대한 재산 피해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안타까운 현실에 직면해, 필자는 늦게나마 한국재난정보 미디어 포럼을 통해서 미국이나 일본 등 선진형 재난정보 미디어 시스템을 연구하는 한편, 뉴미디어 환경 하에 신속ㆍ정확한 재난정보 전달을 위해 재난정보 매뉴얼이나 컨텐츠 개발에도 적극 나서고자 한다. 아울러 우리나라의 종합적인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을 성공시키기 위해서는 정부나 관련 부처, 그리고 국회, 방재기관 및 한국방송통신위원회 방송사, 통신기관 등의 적극적인 협조 없이는 불가능하기에, 필자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고자 한다.

이 저서를 위해 10여년 가까이 자료를 수집하고 원고를 집필하다 보니 또 다른 한편으로는 새로운 행정부서가 생겨난다든가 법령의 개정 등으로 내용을 계속 수정해야 하는 어려움 때문에 오랜 산고를 겪었다. 일정이 촉박한데도 불구하고 방대한 원고의 출판을 쾌히 수락해 준 박영사 안종만 회장님과 안상준 팀장, 이정은 대리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또 원고를 세심하게 수정해 주신 박규태 선생님께도 깊은 감사의 말씀 전해드린다. 마지막으로 국가와 기업의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에 대해 독자들의 많은 성원과 이해를 부탁드리고자 한다.


2010.7.18.
이 연 올림
이 연 교수는 현재 선문대학교 언론광고학부 신문방송학과에 재직하고 있으며, 한국재난정보미디어포럼 회장을 맡고 있다. 그가 위기관리와 커뮤니케이션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1984년 日本上智大學 大學院 新聞學硏究科에 유학하면서부터이다.

그 후 동 대학 修士, 博士課程(新聞學博士)을 졸업하고, 1995년 고베지진을 계기로 본격적으로 ‘위기관리’에 대해 연구하게 된다. 그 동안 학회활동으로는 한국언론학회집행이사, 한국언론학회국제담당이사, 한국방송학회이사, 충청언론학회회장, 행정안전부 자문교수, 소방방재청 자문교수, 日本上智大學 客員敎授, 일본 NHK자문교수(릿포로) 등이 있다.
제1부 국가의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

제1장 미국의 위기관리체제와 커뮤니케이션
제2장 일본의 위기관리체제와 커뮤니케이션
제3장 한국의 위기관리체제와 커뮤니케이션
제4장 국가위기와 소통의 정치,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제2부 기업의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

제5장 선진 기업의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
제6장 기업의 방재업무에서부터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에 이르기까지
제7장 기업의 위기관리체제와 커뮤니케이션
제8장 기업의 위기관리와 정보전쟁
제9장 기업의 위기관리 교육ㆍ훈련 및 평가
제10장 재해대책본부의 조직과 역할 및 긴급비상연락체제
제11장 기업의 홍보와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