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할인도서
닫기
교육철학잡기 5 [2022-2]: 비트겐슈타인의 <논리철학논고>, 헤세의 <나무>, 그리고 <주역>
신간
교육철학잡기 5 [2022-2]: 비트겐슈타인의 <논리철학논고>, 헤세의 <나무>, 그리고 <주역>
저자
신창호
역자
-
분야
할인도서 ▷ 교육
출판사
박영스토리
발행일
2023.05.25
개정 출간예정일
페이지
380P
판형
신A5판
ISBN
979-11-6519-417-8
부가기호
03370
강의자료다운
-
정가
22,000 19,800원

초판발행 2023.05.25


<교육철학잡기> 다섯 번째, 제5권이다. 

5권을 쓰고 있는 도중에, <교육철학잡기> 제3권이 우수도서로 선정되었다는 반가운 소식을 들었다. 여러 측면에서 부족한 것이 많지만, 기독교와 불교, 유교의 사유를 교육철학적으로 풀어낸 내용이 긍정적으로 비춰졌나보다. 좋은 책으로 남게 되어 기쁘다. 한편으로는 다른 훌륭한 저술도 많았을 텐데, 선정되지 않은 저술에 대한 미안함도 남았다. 우수도서가 상이라기보다는 채찍이라 생각하고, 더욱 분발해야겠다.

지난번 제4권에서는 이슬람교의 <꾸란>과 동학(東學)의 사유를 교육철학적 시선으로 다루면서, 일단 종교와 관련한 경전은 마무리하고, 당분간 접어두기로 했다. 

이번에는 동서양의 고전(古典), 특히 철학적 저술을 중심으로 글을 썼다. 

먼저, 비트겐슈타인의 <논리철학논고>를 전반적으로 독해하며 교육철학적 의미를 부여하려고 고심했다. 하지만, 비트겐슈타인이라는 천재 철학자의 난해한 사유만큼이나 독해가 쉽지 않았다. 그래도 그의 세계관과 논리를 다시 보며, 생각은 더욱 깊어진 것 같다. 

다음으로는 헤르만 헤세의 ‘나무’이야기에 귀를 기울였다. 세계적인 문호(文豪)지만, 헤세는 문학에 그치지 않았다. 그의 사유는 심오했다. 내면을 파고드는 힘이 심금을 울렸다. 나무에 얽힌 그의 인생관과 세심한 관찰력에서 우러나오는 교육적 시선은 참으로 따스했다.

마지막으로는 <주역>에 드러나는 교육적 사유를 추출해 보았다. <주역>의 여러 ?괘(卦)?에 나타난 몇몇 구절은 건전한 생(生)을 유도하는 삶의 대처 방식이었다. 달리 말하면, 교육이 감당해야 하는 인생철학으로 느껴졌다. 수시변역(隨時變易)의 질서가 시대정신을 일깨우는 듯했다. 

이렇게 텍스트를 즐길 수 있는 나날이 고맙다. 무엇보다 고전(古典)을 남겨 준 인류의 선조들과 그것을 시대에 맞추어 해석했던 여러 선학들에게 감사한다. 그분들이 갈망한 사유의 세계가 세상을 아름답게 만드는 것 아니겠는가! 그렇게 고전은 개인과 사회를 지탱하는 인생 미학으로 빛난다. 


2023. 1. 대한(大寒) 절기에

청옹정사(淸瓮精舍)에서 신창호  


신창호

현) 고려대학교 교수


7월 1

비트겐슈타인 1 – 더 이상 말할 수 없는 것, 그 신비의 세상 2

비트겐슈타인 2 – <논리철학론>의 머리말, 헛소리가 아니길 5

비트겐슈타인 3 – <논리철학론> 1: 세계 8

비트겐슈타인 4 – <논리철학론> 1: 사물, 사태, 그리고 사실 10

비트겐슈타인 5 – <논리철학론> 1: 개개 사실들 14

비트겐슈타인 6 – <논리철학론> 2: 연관 가능성, ‘독립-의존-대상’의 형식 16

비트겐슈타인 7 – <논리철학론> 2: 대상; 단순함과 불변의 형식 21

비트겐슈타인 8 – <논리철학론> 2: 긍정적 사실과 부정적 사실, 그 전체 현실 23

비트겐슈타인 9 – <논리철학론> 2: 사실들의 그림, 묘사 형식 27

비트겐슈타인 10 – <논리철학론> 2: 그림, 현실의 모사 32

비트겐슈타인 11 – <논리철학론> 3: 사고, 논리적 그림 35

비트겐슈타인 12 – <논리철학론> 3: 명제와 의미 그리고 공간 37

비트겐슈타인 13 – <논리철학론> 4: 사고와 명제, 그리고 언어 40

비트겐슈타인 14 – <논리철학론> 4: 명제와 현실, 그 교육의 그림 44

비트겐슈타인 15 – <논리철학론> 4: 철학에 관한 인식①-인간 탐구 47

비트겐슈타인 16 – <논리철학론> 4: 철학에 관한 인식②-사유의 명료화 52

비트겐슈타인 17 – <논리철학론> 4: 철학에 관한 인식③-실재와 표상 57

비트겐슈타인 18 – <논리철학론> 4: 철학에 관한 인식④-내적 속성과 언어 60

비트겐슈타인 19 – <논리철학론> 4: 철학에 관한 인식⑤-명제변수와 형식적 개념 63

비트겐슈타인 20 – <논리철학론> 4: 요소명제와 사태의 존립 69

비트겐슈타인 21 – <논리철학론> 4: 요소명제와 함수 73

비트겐슈타인 22 – <논리철학론> 4: 세계와 명제 75

비트겐슈타인 23 – <논리철학론> 4: 진리의 가능성 77

비트겐슈타인 24 – <논리철학론> 4: 동어반복과 모순① 80

비트겐슈타인 25 – <논리철학론> 4: 동어반복과 모순② 82

비트겐슈타인 26 – <논리철학론> 4: 동어반복과 모순③ 84

비트겐슈타인 27 – <논리철학론> 4: 동어반복과 모순④ 86

비트겐슈타인 28 – <논리철학론> 4: 동어반복과 모순⑤ 87

비트겐슈타인 29 – <논리철학론> 5: 진리-함수 89

비트겐슈타인 30 – <논리철학론> 5: 진리함수의 계열화 92

비트겐슈타인 31 – <논리철학론> 5: 명제의 구조, 내적 관계 95

비트겐슈타인 32 – 경험의 역할 97

비트겐슈타인 33 – <논리철학론> 5: 연역의 선천성 99

비트겐슈타인 34 – <논리철학론> 5: 요소명제의 추론 불가 100

비트겐슈타인 35 – <논리철학론> 5: 인과관계라는 미신 101

비트겐슈타인 36 – <논리철학론> 5: 의지의 자유, 자유의지 103

비트겐슈타인 37 – <논리철학론> 5: 명백함과 논리적 참 106

비트겐슈타인 38 – <논리철학론> 5: 전자와 후자 사이에 선 ‘교육목표 도식’  107

비트겐슈타인 39 – <논리철학론> 5: 동어반복과 모순 110

비트겐슈타인 40 – <논리철학론> 5: 연산의 특징① 113

비트겐슈타인 41 – <논리철학론> 5: 연산의 특징② 116

비트겐슈타인 42 – <논리철학론> 5: 진리함수와 ‘진리치-연산’의 결과 120

비트겐슈타인 43 – <논리철학론> 5: 일반 논리형식과 세계의 본질 124

비트겐슈타인 44 – <논리철학론> 5: 상황과 명제 126

비트겐슈타인 45 – <논리철학론> 5: 세계의 완전한 기술과 명제의 합성 128

비트겐슈타인 46 – <논리철학론> 5: 경험과 논리학 130

비트겐슈타인 47 – <논리철학론> 5: 일상 언어의 논리적 질서 134

비트겐슈타인 48 – <논리철학론> 5: 나의 언어 세계의 한계 136

비트겐슈타인 49 – <논리철학론> 5: 논리와 세계, 그 한계 140

비트겐슈타인 50 – <논리철학론> 5: 유아주의, 세계와 나의 삶 144

비트겐슈타인 51 – <논리철학론> 5: 나는 소우주다 148

비트겐슈타인 52 – <논리철학론> 5: 주체, 세계의 한계 150

비트겐슈타인 53 – <논리철학론> 5: 형이상학적 주체와 지식 153

비트겐슈타인 54 – <논리철학론> 5: 생각하지 말라! 단순히 보라! 156

비트겐슈타인 55 – <논리철학론> 5: 유아주의와 실재주의, 그리고 진실 159

비트겐슈타인 56 – <논리철학론> 5: 자아의 세계 162

비트겐슈타인 57 – <논리철학론> 6: 논리학의 명제들 164

비트겐슈타인 58 – <논리철학론> 6: 논리학 명제의 특징 168

비트겐슈타인 59 – <논리철학론> 6: 세계의 골격, 삶의 딜레마 172

비트겐슈타인 60 – <논리철학론> 6: 세계의 거울상 177

비트겐슈타인 61 – <논리철학론> 6: 법칙과 법칙의 형식 179

비트겐슈타인 62 – <논리철학론> 6: 세계와 나 182

비트겐슈타인 63 – <논리철학론> 6: 세계의 뜻, 우연 183

비트겐슈타인 64 – <논리철학론> 6: 윤리학의 명제와 실천 187

비트겐슈타인 65 – <논리철학론> 6: 윤리와 의지 190

비트겐슈타인 66 – <논리철학론> 6: 무시간성, 삶과 죽음의 수수께끼 193

비트겐슈타인 67 – <논리철학론> 6: 세계, 한계 지어진 전체 198

비트겐슈타인 68 – <논리철학론> 6: 물음과 답변, 회의주의의 의심 201

비트겐슈타인 69 – <논리철학론> 6: 철학의 방법, 사다리를 버려라!  205

비트겐슈타인 70 – <논리철학론> 7: 침묵의 진실 209

<주역> 산책 1 – 변(變)과 화(化); 성명(性命)의 확충과 개척  212

<주역> 산책 2 – 원형이정(元亨利貞)의 역동성①; 생애(生涯)에 걸친 사업  216

<주역> 산책 3 - 원형이정(元亨利貞)의 역동성②; 생기유행(生氣流行)의 순환   219

<주역> 산책 4 - 원형이정(元亨利貞)의 역동성③; 합리(合理)를 추구하는 시공간  221

<주역> 산책 5 – 자강불식(自彊不息); 스스로 힘쓰고 쉬지 않는 삶  224

<주역> 산책 6 – 진덕수업(進德修業); 인격 함양, 사업 실천 226

<주역> 산책 7 – 성덕위행(成德爲行); 인간의 품격과 행실  229

<주역> 산책 8 – 학문관인(學問寬仁); 배움과 물음에 터한 너그러운 사랑의 구가   230

<주역> 산책 9 – 교육받은 인간, 대인(大人); 시중(時中)으로 가는 길목 232

<주역> 산책 10 – 대인(大人)의 도리; 그 길은 정해졌는가! 235

<주역> 산책 11 – 다시, 대인(大人)을 향한 집념; 사욕(私慾)의 경계 237

<주역> 산책 12 – 학습(學習)과 순습(順習); 배움과 좇음의 익힘 239

<주역> 산책 13 – 교육받은 인간의 학문; 내외직방(內外直方) 242

<주역> 산책 14 – 공부의 성공; 어릴 때부터 바름을 243

<주역> 산책 15 – 과행육덕(果行育德); 교육의 과감성 244

<주역> 산책 16 – 교육의 호응(呼應); 순수에서 받아들이는 품격 246

<주역> 산책 17 – 작사모시(作事謀始); 처음에 잘 도모해야 하는 이유 247

헤르만 헤세와 나무 1 – ‘상강(霜降)’ 절기에 나무를 다시 보다 249

헤르만 헤세와 나무 2 – 위대한 고독의 힘  250

헤르만 헤세와 나무 3 – 거룩한 모범 253

헤르만 헤세와 나무 4 – 나무가 들려주는 삶의 법칙 255

헤르만 헤세와 나무 5 – 나무의 믿음 258

헤르만 헤세와 나무 6 – 내면에 깃든 고향 261

헤르만 헤세와 나무 7 – 새로운 삶을 찾는 그리움 263

헤르만 헤세와 나무 8 – 고향, 그리고 행복 265

헤르만 헤세와 나무 9 – 약한 온기, 작은 정성 267

헤르만 헤세와 나무 10 – 너도밤나무의 생명 순환 268

헤르만 헤세와 나무 11 – 흔들리는 삶의 놀이 271

헤르만 헤세와 나무 12 – 갈망과 형성 272

헤르만 헤세와 나무 13 – 삶의 광채가 창조로 빛나길 273

헤르만 헤세와 나무 14 – 인위적 건축물과 자연의 무구함 274

헤르만 헤세와 나무 15 – 은둔의 전사 276

헤르만 헤세와 나무 16 – 나무가 펼치는 시(詩) 278

헤르만 헤세와 나무 17 – 신의 선물 281

헤르만 헤세와 나무 18 – 거인나무와 난쟁이나무 283

헤르만 헤세와 나무 19 – 시든 잎에 이는 생명 285

헤르만 헤세와 나무 20 – 정신의 불멸성을 내려놓다 287

헤르만 헤세와 나무 21 – 부러진 나뭇가지 위의 끈기  289

헤르만 헤세와 나무 22 – 날아가는 낙엽 290

헤르만 헤세와 나무 23 – 꽃, 나무, 새 291

헤르만 헤세와 나무 24 – 만발한 꽃 293

헤르만 헤세와 나무 25 – 생성의 열기 295

헤르만 헤세와 나무 26 – 어른의 역할  296

헤르만 헤세와 나무 27 – 나무와 바람, 그 조화의 춤  297

헤르만 헤세와 나무 28 – 교육이 인생을 흔들 수 있을까   299

헤르만 헤세와 나무 29 – 그루터기 교육 300

헤르만 헤세와 나무 30 – 나무의 친구, 바람 301

<주역> 산책 18 – 수상불출(守常不出); 일상의 지속과 일탈의     위태로움 303

<주역> 산책 19 – 중정(中正); 가운데 서서 올바르게 실천함   305

<주역> 산책 20 – 의병(義兵); 험한 길을 좇는 숭고한 용기 306

<주역> 산책 21 – 근시수법(謹始守法); 출사(出師)의 도(道), 교육의 길 308

<주역> 산책 22 – 재약지강(才弱志剛); 제 자리에 관한 비가(悲歌) 310

<주역> 산책 23 – 논공행상(論功行賞); 교육이 경계할 덕목 311

<주역> 산책 24 – 결탁(決度); 삶의 결단과 헤아림 313

<주역> 산책 25 – 반관(反觀); 되돌아보는 인생 효험   314

<주역> 산책 26 – 상응(相應); 요청과 응대   317

<주역> 산책 27 – 성신(誠信); 교육적 믿음의 힘   319

<주역> 산책 28 – 불거불추(不拒不追); 열어주는 여유   320

<주역> 산책 29 – 무수무종(無首無終); 시작과 끝   322

<주역> 산책 30 – 지피지기(知彼知己); 냉철함에 관한 단상  323

<주역> 산책 31 – 유기무질(有氣無質); 바람의 분위기   324

<주역> 산책 32 – 극산극성(極散極成); 절정의 순간   327

<주역> 산책 33 – 각분민지(各分民志); 분수와 인생 지향   328

<주역> 산책 34 – 소리 왕(素履 往); 맨발 그대로 가라   331

<주역> 산책 35 – 유인(幽人); 그윽한 사람   335

<주역> 산책 36 – 화복미정(禍福未定); 교육의 성패(成敗)   337

<주역> 산책 37 – 교통(交通); ‘사귐’의 교육 미학   340

<주역> 산책 38 – 재성보상(裁成輔相); 이룸과 도움   341

<주역> 산책 39 – 복지(福祉); 행복하게 살 수 있는 환경   343

<주역> 산책 40 – 상인불식(相因不息); 인간의 길 가운데   344

<주역> 산책 41 – 상하상교(上下相交); 교육이 가져다주는 안정감   346

<주역> 산책 42 – 검덕피난(儉德辟難); 어려운 시간의 교육 자세   348

<주역> 산책 43 – 심려원계(深慮遠戒); 깊은 사유와 멀리 경계함   349

<주역> 산책 44 – 위‧망‧란(危‧亡‧亂); 교양인의 지혜   350

<주역> 산책 45 – 극이필반(極而必反); 정점에서 다시 돌아오는가?   352

<주역> 산책 46 – 리지상(理之常); 불통의 끝에 걸린 희망 353

<주역> 산책 47 – 광원무사(曠遠无私); 더불어 할 수 있는 조건   354

<주역> 산책 48 – 천지대동(天志大同); 세상이 가고 싶어 하는 그 곳   356

<주역> 산책 49 – 개과득길(改過得吉); 교육이 남긴 성과와 교훈들   360

<주역> 산책 50 – 원하지 않아야 얻게 되는, 역설의 미학   3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