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SITEMAP
전체메뉴닫기
닫기
교육, 젠더와 사회이동: 한국사회 계층화의 성별 차이는 줄어들었는가?
신간
교육, 젠더와 사회이동: 한국사회 계층화의 성별 차이는 줄어들었는가?
저자
신광영, 김창환
역자
-
분야
교육학
출판사
박영스토리
발행일
2021.03.15
개정 출간예정일
페이지
184P
판형
신A5판
ISBN
979-11-6519-110-8
부가기호
94370
강의자료다운
-
정가
11,000원

초판발행 2021.03.15

중판발행2024.02.05


이 책은 한국에서 이루어진 교육제도의 변화가 교육기회와 관련하여 남성과 여성에게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지를 분석하고, 그러한 변화가 남성과 여성의 사회이동과 임금에 미친 효과를 분석한다. 지난 반세기 동안 한국에서 교육기회는 급속도로 확대되었다. 초중등 교육기관과 고등교육기관이 늘어나면서, 교육을 받는 학생들의 비율도 빠른 속도로 높아졌다. 그러나 교육기회는 계급과 계층에 따라서 뿐만 아니라 젠더에 따라서도 다르게 영향을 미쳤다. 가족배경과 젠더에 따라서 교육기회가 다르게 주어졌다. 가부장제 사회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교육기회를 더 많이 이용하였으나, 자녀수의 감소로 이러한 차이는 사라지고 오히려 여성의 고등교육 진학이 남성을 능가하는 ‘젠더 역전’이 나타났다.
그러나 여성의 대학진학률과는 달리, 노동시장에서의 남녀 임금불평등은 크게 약화되지 않았다. 대학에 진학한 남학생과 여학생의 전공이 다르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라는 가설이 강력하게 등장하였다. 전공분리가 강하게 유지되면서, 이러한 전공분리가 남녀 임금격차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본다. 임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한 모든 변수를 포함한 분석에서 20대 대졸자 여성은 대졸자 남성에 비해서 17% 정도 적은 임금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결혼이나 출산으로 인한 경력단절 이전에 이미 노동시장으로 진입하는 시기에 채용과 업무 할당 과정에서 존재하는 여성에 대한 차별의 결과 때문이라는 점을 논의한다.
교육은 사회이동에도 또 다른 영향을 미쳤다. 가부장제 사회에서 교육이 남성에게는 직업 획득과 관련하여 영향을 미쳤지만, 여성에게는 교육이 결혼을 통한 사회적 지위의 획득과 관련하여서도 영향을 미쳤다. 가부장제 사회에서 여성들의 경제활동이 제한이 되었기 때문에, 교육은 동질혼이 강한 사회에서 고학력 배우자를 만날 가능성을 높이는 조건으로 기능하였다. 그러므로 여성의 경우, 교육을 통한 사회이동은 직업 활동을 통한 사회이동과 결혼을 통한 배우자를 매개로 하는 사회경제적 지위 획득 두 가지로 나타났다. 이 책은 대학교육이 남성과 여성의 사회이동에서 어떤 차이를 만들어 냈는지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이 책의 1장, 2장, 4장은 신광영 교수가 집필을 담당하였고, 3장은 김창환 교수가 집필을 담당하였다.

신광영, 김창환

신광영
신광영은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에서 학사, 미네소타대학교(University of Minnesota-Minneapolis) 사회학 석사, 위스컨신대학교(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사회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한림대학교와 중앙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를 거쳐서 현재 중앙대 사회학과 CAU-Fellow로 재직하고 있다.
 
김창환
김창환은 서강대학교를 졸업한 후 텍사스대학교(University of Texas  at Austin)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캔사스대학교(University of  Kansas)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노동시장, 교육, 소득불평등, 통계방법론, 아시아계 미국인이 주 연구 분야이다.

CHAPTER 01 교육, 젠더와 사회이동: 문제제기 3
1. 교육의 의미 3
2. 교육과 기회의 불평등 6
3. 교육기회는 누가 이용하는가?  15
4. 젠더, 교육과 사회이동 29
5. 맺음말 33

CHAPTER 02 젠더 교육격차: 조용한 혁명의 실체 39
1. 교육기회의 확대와 젠더 39
2. 가족배경, 젠더와 교육기회 53
3. 남녀 대학 전공분리 현상 57
4. 교육 이후와 경제활동 63
5. 맺음말 70

CHAPTER 03 성별전공분리와 20대 대졸자 성별소득격차 75
1. 왜 청년층의 성별소득격차를 측정하기 어려운가?  77
2. 어떻게 분석할 것인가?  83
3. 대졸 청년층의 졸업 직후 성별소득격차  85
4. 대학 졸업 직후 성별소득격차를 낳는 노동시장 기제 90
5. 전공 계열별로, 학교 명성에 따라 성별소득격차가
   어떻게 달라지는가?  94
6. 여성들이 지방근무와 초과근무를 하지 않기 때문인가? 97
7. 다른 나라도 다 마찬가지 아닌가?  99
8. 결론 99

CHAPTER 04 교육, 결혼과 사회이동 113
1. 사회이동의 다섯 가지 경로 113
2. 가족배경, 교육과 직업  120
3. 결혼과 사회이동 131
4. 맺음말 136

CHAPTER 05 한국에서 교육은 성별에 따라서 어떻게 다르게 작동했는가? 143
1. 교육을 통한 사회이동에서 성별격차는 줄었는가? 143
2. 젠더, 교육과 사회이동에서 나타난 한국사회의 특성 147

미주―149
참고문헌―153
찾아보기―162